스마트폰 과다 사용, 결혼 생활에 악영향… 신자도 예외 無

뉴욕=김유진 기자     |  

미국 2개 연구소, 기혼 부부 2천 쌍 설문조사

ⓒPixabay

ⓒPixabay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이 부부의 결혼 만족도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 정기적으로 교회에 다니는 부부에게도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르면, 가족연구소(Institute of Family Studies)와 웨트리연구소(Wheatley Institute)가 18세에서 55세 사이의 미국인 부부 2천 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기혼 미국인의 37%가 “부부가 함께 이야기나 다른 무언가를 하고 싶을 때, 배우자가 자주 스마트폰이나 스크린 기기를 사용한다”고 답했다.

이러한 현상은 젊은 부부와 저소득 가정 사이에서 특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35세 미만의 기혼부부 중 44%가 “배우자가 스마트폰에 너무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고 했으며, 35세에서 55세 사이의 부부는 34%가 그 같이 답했다. 스마트폰 중독 문제는 고소득 부부 중 31%, 저소득 부부 중 44%가 경험한다고 답했다.

또 대학 학위가 없는 기혼자(39%)는 학위가 있는 기혼자(34%)에 비해 “배우자가 스마트폰 사용에 많은 시간을 보낸다”고 답하는 비율이 높았다.

연구원들은 “남편과 아내는 배우자의 스마트폰 과다 사용으로 인해 소외감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며 “진보주의자나 보수주의자나, 정기적으로 교회에 다니는 사람이나 그렇지 않은 사람이나 같은 영향을 받는다”고 밝혔다.

얼마 전 발표된 보고서 ‘스크롤링이 많을수록 부부 문제 증가’의 저자 웬디 왕(Wendy Wang)과 마이클 토스카노(Michael Toscano)는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이 결혼 생활 문제의 원인인지를 확실히 판단하기는 어렵다. 스마트폰 중독이 이미 불행한 결혼 생활의 지표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두 저자는 “불만족스러운 배우자는 상대 배우자와의 대화를 회피하고 도피하기 위해 핸드폰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은 중독성을 갖도록 설계됐다”며 “가장 가능성이 높은 시나리오는 부부 문제와 스마트폰 중독이 서로를 강화하는 것이다. 스마트폰 중독이 해결되지 않는 한, 결혼 문제는 악화되며 해결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2016년 베일러대학교 연구원 제임스 A. 로버츠(James A. Roberts)와 메레디스 E. 데이비드(Meredith E. David)가 발표한 논문을 인용했다. 해당 논문은 ‘파트너 퍼빙(phubbing: Pphubbing)’이란 용어를 “연인과 함께 있을 때 개인이 자신의 휴대폰을 사용하거나 상대에게 주의가 산만해지는 정도”로 정의했다.

2016년 연구에서 145명의 미국 성인을 평가한 결과, 파트너 퍼빙이 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휴대폰 사용과 관련된 갈등’이 매개체라는 것을 보여 줬다.

이 보고서는 “개인의 애착 형태가 퍼빙과 스마트폰 간 갈등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불안한 애착형인 사람은 덜 불안한 애착형인 사람보다 스마트폰으로 인한 갈등이 더 많았다”며 “더 중요한 것은, 퍼빙이 관계 만족도에 있어 간접적으로 우울증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왕과 토스카노는 스마트폰 사용량과 결혼의 질 사이에 큰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했다. 만성적인 스마트폰 사용 문제를 겪는 기혼부부 중 59%가 결혼 생활에 “매우 만족한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스마트폰 사용이 적은 부부(81%)보다 낮은 수치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폰 문제로 방해를 받는 부부들이 결혼 생활에 매우 만족할 가능성은 다른 부부들보다 약 70%나 낮았으며, 이 부부들이 인식하는 미래의 이혼 가능성은 스마트폰 문제가 없는 부부보다 4배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연구원들은 부부들에게 스마트폰 사용에 관한 규칙을 정하고, 휴대폰 사용을 자발적으로 제한하도록 제안했다. 또한 소셜미디어 기업들에게 무한 스크롤과 같은 중독성이 강한 기능을 제거하고, 플랫폼을 재설계할 것을 권고했다.

보고서는 “의도적으로 함께 보내는 시간은 특히 저소득 가정의 결혼 생활에 매우 중요하다. 이들 부부의 연결이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기 쉽기 때문”이라며 “이러한 취약한 사회적 환경에서 배우자는 더 큰 심리적·관계적 부담을 짊어지게 된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은 (결혼) 실패의 원인이 돼 이혼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감리회

감리회 아펜젤러·스크랜튼 선교 140주년 기념대회, 4월 6일 개최

준비위원장 박동찬 목사 등 참석 우크라이나 사망자 수송용 희망의 구급차 & 아프리카 급식비 전달식 기독교대한감리회(감독회장 김정석 목사, 이하 감리회)는 오는 4월 6일(주일) 오후 3시 30분부터 국내 최초 감리교회인 서울 중구 정동제일교회(담임 천영태 목…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동대구역광장 가득 메운 탄핵 반대 국민들

부산·인천·춘천·구미·전주·대전 등 12지역서 일제히 “헌재, 국민 뜻 거역 못 해… 탄핵 인용한다면 반역” 서울선 젊은 연사들 대거 등장, 자유민주 수호 외쳐 대한민국 전역에서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외치는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가 8일 전국에서 동…

중증외상센터

<중증외상센터>로 보는, 기독 의료인들의 헌신과 지속 가능성

OTT 넷플릭스 시리즈로 호평받고 있는 는 웹툰 및 웹소설 기반 작품으로, 전장을 누비던 천재 외과 전문의가 유명무실한 중증외상팀을 ‘심폐 소생’하기 위해 부임하면서 벌어지는 통쾌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지훈(백강혁 역), 추영우(양재원 역), 하영(천…

부활절 연합예배 준비 기도회

“기도할 때, 탄핵 정국 끝나고 대한민국 새롭게 회복”

‘국가와 민족을 위한 부활절 준비 1차 기도회’가 2월 9일 오후 4시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순복음교회(담임 이영훈 목사)에서 개최됐다. 이날 예배는 한국교회 부활절연합예배 준비위원회(이하 준비위)가 개최했다. 준비위원장 엄진용 목사 사회로 정동균 목사(기…

서울교시협

서울교시협, 신임 대표회장에 이기용 목사

섬김과 플랫폼 은사로 조화 도모 하나님 나라 이뤄지도록 섬길 것 오세훈 시장 “성경적 가치 절실한 순간, 든든하게 일상을 지키겠다” 서울특별시교회와시청협의회(서울교시협) 신임 대표회장에 이기용 목사(신길교회)가 선출됐다. 2월 10일 오전 서울 영등…

CGN

차인표·최종상 <바울로부터>, 제41회 기독교출판문화상 대상

출판문화상 총 158종 출품돼 최우수 9종, 우수 27종 선정 제41회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대상에 최종상 선교사·차인표 배우가 쓴 가 선정됐다.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이하 출판문화상)은 한국기독교출판협회(대표 박종태 장로, 이하 기출협)에서 주관하는 기독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