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엎친 데 팬데믹 덮쳐… 변화 의지 상실한 美 교회?

뉴욕=김유진 기자     |  

하트포드종교연구소, 58개 기독교 교파 설문조사

ⓒistockWirestock

ⓒistockWirestock

미국 하트포드종교연구소(Hartford Institute for Religion Research)가 최근 진행한 연구에서, 교회들이 청년들을 유치하며 생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코로나 팬데믹 이후 불안정한 시기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르면, 이 연구는 릴리엔도우먼트재단(Lilly Endowment Inc.)의 자금 지원을 받아 진행한 ‘전염병이 교회에 미치는 영향 탐구’라는 제목의 5개년 프로젝트의 일환이며, 2023년 1월부터 5월까지 미국 내 58개 기독교 교파 그룹에서 얻은 4,809개 설문 응답을 토대로 했다.

조사에 참여한 교회 3곳 중 1곳은 “2020년 팬데믹 이후 현재 출석률이 증가했다”고 했지만, 절반 이상은 “팬데믹 이전에 비해 출석률이 약간 또는 심각하게 감소했다”고 했다. 또한, 팬데믹 이전에도 교회들이 직면한 문제 중 하나는 ‘고령화된 목회자’와 ‘65세 이상 교인 비율의 증가’였다.

연구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3년까지 미국 교회의 주요 지도자들의 평균 연령은 57에서 59세로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동안 65세 이상 교회 신자의 비율은 33%에서 36%로 늘어났다. 주류 개신교회의 경우, 평균 교인의 약 절반이 65세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최근 3년 동안 35세 미만 참석자(어린이, 청소년 및 청년)의 비율은 2020년 37%에서 2021년 35%, 2023년 32%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고령화된 인구를 감안할 때, 교회들이 팬데믹 이후에 “새로운 도전에 대처하려는 변화에 대한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이 연구는 지적했다.

보고서는 적응과 혁신을 나타내는 지표와 관련, “교회의 약 50%가 이것에 강력히 동의했다. 그러나 2023년까지 이에 동의하는 교인 및 교회 수가 크게 감소했으며, 현재는 2020년 초 수준 아래에 있다”며 “분명히 지난 3년 동안 많은 교회에서 교인들의 역동성과 예배 방식이 바뀌었지만, 이번 결과는 팬데믹에 대응했던 이전의 유연성과 창의성이 감소하기 시작한 것”이라고 밝혔다.

변화에 대한 의지는 줄어든 반면, 대부분의 교회가 온라인과 대면 예배를 동시에 진행하는 ‘하이브리드 예배’(hybrid worship)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하이브리드 예배에 대해 “정적인 장소와 시간에 기반한 물리적 예배 공동체를, 벽을 넘어선 혁명적인 적응 가능성을 지닌 교인들로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전망했다. 연구에 따르면, 2019년에 온라인 스트리밍 예배를 제공한다고 답한 교회는 20%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약 73%가 대면 예배와 가상 예배를 모두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예배를 제공하는 교회가 평균 예배 출석률과 1인당 헌금액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들은 “교회가 가상 예배 참석자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예배 스트리밍, 종교 교육 및 기도 모임을 넘어 기술 활용에 더욱 투자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연구는 “가상 참석자의 헌신을 강화하는 방법을 찾는 것은 교회 리더십의 도전 과제이지만, 교회를 성장시키고 강화하는 데 큰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트포드연구는 미국 목회자들의 고령화 추세와 젊은 차세대 목회자 부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바나(Barna)그룹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개신교 목회자 중 약 75%가 “성숙한 젊은 기독교인 중 목사로서 일할 사람을 찾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는 의견에 “어느 정도” 동의했으며, 3명 중 1명은 “강하게” 동의했다. 이 수치는 2015년 24%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했다.

2022년 기준으로 개신교 담임목회자의 평균 연령은 52세이며, 40세 이하의 비율은 16%에 불과하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에디터 추천기사

행동하는프로라이프를 비롯한 59개 단체가 5일(수) 정오 헌법재판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헌법재판소(헌재)의 이중적 태도를 강력히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헌재, 낙태법 개정 침묵하면서 재판관 임명만 압박?”

행동하는프로라이프를 비롯한 59개 단체가 5일(수) 정오 헌법재판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헌법재판소(헌재)의 이중적 태도를 강력히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행동하는프로라이프 연대를 중심으로 바른교육교수연합, 자유와 정의를 실천하는…

1인 가구

“교회에서 ‘싱글’ 대할 때, 해선 안 될 말이나 행동은…”

2023년 인구총조사 기준으로 1인 가구는 무려 782만 9,035곳. 전체 가구 2,207만의 35.5%로 열 집 중 네 집이 ‘나 혼자 사는’ 시대가 됐다. 2024년 주민등록인구 통계상으로는 지난 3월 이미 1,000만 가구를 돌파했다고 한다. 2050년에는 전체의 40%로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

림택권

“오늘도 역사하시는 ‘섭리의 하나님’까지 믿어야”

“두 개의 평행선으로 이뤄진 기찻길이어야만 기차가 굴러갈 수 있듯, 우리네 인생도 형통함과 곤고함이라는 평행선 위를 달리는 기차와 같지 않을까 한다. 우리 앞날은 어떻게 될지 모르기에 그저 좋은 날에는 하나님께 감사드리고 곤고한 날에는 하나님이 우리에…

조혜련

방송인 조혜련 집사가 이야기로 쉽게 전하는 성경

생동감 있고 자세한 그림 1천 장 함께해 성경 스토리 쉽게 설명 재미 함께, 신학교수 감수 거쳐 조혜련의 잘 보이는 성경이야기 조혜련 | 오제이엔터스컴 | 614쪽 | 55,000원 CGN 에서 성경 강의를 할 정도로 성경을 많이 읽고 연구한 방송인 조혜련 집사가 ‘성경…

열방빛선교회 촤광 선교사

“수령 위해 ‘총폭탄’ 되겠다던 탈북민들, 말씀 무장한 주의 군사로”

“수령님을 위해 총폭탄이 되겠다던 북한 형제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죄를 깨닫고 회개하고 거듭나면서, 지금부터는 살아계신 하나님을 위해 남은 생명을 드리겠다고 고백하더라” 열방빛선교회 대표 최광 선교사는 지난 25년간 북한 선교와 탈북민 사역을 …

북한인권재단 출범 정책 세미나

“인권 말하면서 北 인권 외면하는 민주당, ‘종북’ 비판 못 피해”

재단 설립, 민주당 때문에 8년째 표류 중 정치적 논쟁 대상 아닌 인류 보편의 가치 정부·여당·전문가·활동가들 역량 결집해야 국민의힘 박충권 의원이 주최한 ‘8년의 침묵, 북한인권재단의 미래는’ 정책 세미나가 3일 오전 10시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