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께서 침묵으로 쓰신 시들, 소강석 목사가 받아 적어”

이대웅 기자  dwlee@chtoday.co.kr   |  

시집 <너라는 계절이 내게 왔다> 출판 북콘서트

▲북콘서트가 진행되고 있다.

▲북콘서트가 진행되고 있다.

‘시인 소강석 목사 시집 출판 북콘서트’가 12월 1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세빛섬 마리나파크에서 개최됐다. 소강석 목사는 최근 샘터사에서 시집 <너라는 계절이 내게 왔다>를 출간했다.

현악 5중주로 시작된 북콘서트는 이동준·차유주 아나운서 사회로 시인에 대한 영상 소개, 샘터사 김성구 사장의 북콘서트 소개 이후 시 낭송과 노래 공연, 북토크 등이 빈틈없이 오가는 시간이었다.

김성구 사장은 “샘터사는 53년째 잡지와 단행본, 어린이책을 만들고 있다. 소강석 목사님과의 인연은 2017년 ‘별빛 언덕 위에 쓴 이름’과 ‘다시 별 헤는 밤’으로 시작돼, 2019년 ‘사막으로 간 꽃밭 여행자’ 이후 4년 만”이라며 “이번 책 첫 장을 펼치는 순간 제게 봄이 확 왔다. 예전 시들과 차원이 완전히 달라져서 몹시 놀랐다”고 말했다.

북콘서트에서는 배우 김예령 성도와 배우 겸 성우 기연호 씨를 비롯한 새에덴교회 성수현 성도와 박승혁 목사, 이경희 전도사 등이 시집 속 봄3, 봄7, 여름2, 여름8, 소나기6, 무지개4, 가을4, 가을7, 겨울4, 눈송이2 등 시 작품들을 낭송했다.

시인의 시로 작사하고 제갈수영이 작곡한 노래 공연도 이어졌다. 봄을 알리는 듯 설레는 박자와 멜로디로 “눈 한번 돌리면 봄이다”라는 가사가 인상적인 ‘봄의 왈츠’는 박은석 뮤지컬 가수, 시원시원한 청량감의 ‘여름의 사랑’은 제갈수영 작곡 테너 박주옥 교수, 쓸쓸하고 서늘한 느낌의 ‘오시리’는 소프라노 임경애 교수가 각각 노래했다.

▲(왼쪽부터) 김종회 교수, 소강석 목사, 정호승 시인이 이야기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종회 교수, 소강석 목사, 정호승 시인이 이야기하고 있다.

이후 문학평론가 김종회 교수와 정호승 시인, 소강석 목사의 토크가 진행됐다. 김 교수는 “소 목사님의 시집은 기독교 사상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는 절제에 사유를 더해, 이전의 시 세계에보다 진일보·등일급한 성과를 이뤘다”고 말했다.

김종회 교수는 “직접적 표현을 쓰지 않음에도 하나님 사랑과 예수 그리스도의 용서와 평화가 느껴지면서, 목회자 시인들의 카테고리를 벗어나 있다”며 “마치 고전 영화 <벤허>가 예수님 얼굴을 한 번도 안 보여주면서 더욱 성스럽게 보이는 듯하다”고 평가했다.

정호승 시인은 “인생도 계절이 있는데, 또 하나의 계절이 있다는 걸 알게 됐다. 너라는 계절”며 “목사이면서 시인인 경우는 시문학사에서 많지 않다. 목사님의 시가 짧다는데, 인생이 짧으니 시도 짧을 수밖에 없지 않을까”라고 전했다.

정 시인은 “예수님도 시인이시라고 생각한다. 1989년 백두산 천지를 보는 순간, 하나님이 쓰신 시라고 생각했다. 그런 생각을 통해 다시 되짚어 보고 생각해 보니 이 사회는 하나님이 쓰신 한 권의 시집이고, 우리 각자는 한 편의 시”라며 “시의 본질은 은유다. 예수님께서 침묵으로 쓰신 시들을 소 목사님께서 받아 적으셨다”고 밝혔다.

▲김예령 배우가 시를 낭송하고 있다. ⓒ이대웅 기자

▲김예령 배우가 시를 낭송하고 있다. ⓒ이대웅 기자

창작 비결에 대해선 “시의 비밀은 인생의 비밀과 같다. 제가 생각하는 가장 큰 비밀은 출생이다. 탄생과 사랑과 죽음, 이 3가지를 인생의 비밀이라고 생각한다”며 “시의 비밀도 마찬가지로 우리 삶 속에 있다. 각 개인의 삶 속에 있다. 마더 테레사께서 모든 인간에게서 신을 본다고 했듯, 사랑의 마음이 없으면 시를 쓸 수 없다. 인간과 자연과 사물에 대한 사랑이 있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그는 소 목사의 시집 중 낭독하고 싶은 시로 ‘너에게 가는 길(120쪽)’을 꼽은 후 “여기 시적 화자가 있는데, 예수님이 아니실까”라며 “예수님 사랑을 전하고 싶으신 마음이 깔려 있는 것 같다. 시인이 뭐라고 썼듯, 시를 이해하는 것은 읽는 사람의 몫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소강석 목사는 “시는 사랑이다. 사랑하는 사람과 길을 걷는다면, 그 자체가 시이고 노래이고 음악일 것이다. 시인은 스스로 고통의 산실에서 외로움을 갖고 사랑의 꽃으로 피워내야 한다”며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모두 포이에마, 하나님의 시적 걸작품”이라고 했다.

소 목사는 “목사님들의 시 작품들에는 문학적 함축성과 은유, 낯설게 하기와 역설 등이 다소 부족해서 현대문학계에서 배제하는 경향이 다소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예전에는 봄을 좋아했지만, 지금은 겨울을 좋아한다. 제 시가 모쪼록 따뜻한 등불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시가 없는 삶은 얼마나 삭막하겠는가. 시가 없는데 어찌 음악이 있고 사랑이 있겠는가. 인생이 있는 곳에는 시가 있어야 한다”며 “시란 길 가다 주울 때도 있지만, 오지 않을 때도 있다. 그렇게 밤을 지새고 고독의 시간을 통해 시가 찾아 온다. 시를 쓴다는 것은 저만의 안식처일 수도 있고, 새로운 저 자신이 다시 태어나고 거듭나는 듯한 느낌을 갖는다”고 고백했다.

이후 북콘서트는 관객과의 질의응답, 소강석 목사 작사 ‘비가 꽃잎에게’ 축하연주 이후 소강석 목사의 인사말로 마무리됐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및 단일화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위기다. 대외…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대 촉구를 표명했다. 이들은 “김문수는 단순한 정치인이 아니다. 그는 노동자의 땀을 기억하는 정치인이다. …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사의 내한 이후 1985년까지 100년간 내한한 선교사 총 수는 약 3천여 명으로 파악된다(기독교역사연구소 조사). 내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