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인들 절반 이상 “과학보다 성경 신뢰”

이대웅 기자  dwlee@chtoday.co.kr   |  

한국리서치 1천 명 설문 결과… 타종교 대비 경전 신뢰도 매우 높아

기독교는 성경 55%, 과학 34%
천주교는 경전 29%, 과학 60%
불교인은 경전 16%, 과학 75%

▲ⓒ한국리서치

▲ⓒ한국리서치

기독교인들 절반 이상이 “과학의 가르침보다 성경의 내용을 더욱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리서치가 지난해 11월 24-27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종교 경전의 내용과 과학적 사실이 서로 다를 경우 무엇을 더 신뢰하는가”라는 질문에 기독교(개신교)인들은 55%가 종교 경전(성경)을 더 신뢰한다고 답했다. 34%는 ‘과학적 사실을 더 믿는 편이다’, 11%는 ‘모르겠다’고 각각 답했다.

천주교인들은 60%가 ‘과학적 사실’, 29%만이 ‘종교 경전’이라고 답했다(모르겠다 11%). 불교인들은 75%가 ‘과학적 사실’, 16%가 ‘종교 경전’을 골랐다(모르겠다 9%).

합하면 종교인들은 54%가 과학, 35%가 경전을, 비종교인들은 82%가 과학, 4%만이 경전을 골랐다.

그러나 해당 설문은 두 항목을 ‘종교 경전’과 ‘과학적 사실’로 표기해 ‘과학’이 영원한 객관적 항목처럼 보이게 했으며, 두 항목을 비교하는 자체로 종교와 과학이 대립한다는 인상을 주기도 했다.

▲ⓒ한국리서치

▲ⓒ한국리서치

◈종교 경전, 사회에 긍정적 영향

이 외에 성경 등 종교 경전이 개인의 삶과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데는 종교인과 비종교인을 망라해 다수가 공감했다.

전체 응답자들은 “종교 경전은 사람들을 위로하고, 살아갈 힘을 준다”에 74%가 동의했고, “종교 경전은 사람들이 올바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는 항목에도 71%가 공감했다.

“종교 경전 가르침은 현대 사회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64%, “종교 경전은 우리 사회가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를 알려준다”는 58%가 각각 동의했다.

이러한 응답도 기독교인들이 가장 많이 동의했다. 기독교인들은 “종교 경전은 사람들을 위로하고, 살아갈 힘을 준다” 93%, “종교 경전은 사람들이 올바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89%, “종교 경전 가르침은 현대 사회에 적용이 가능하다” 88%, “종교 경전은 우리 사회가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86%를 기록했다.

반면 천주교인들은 네 항목에 각각 87%, 87%, 76%, 70% 순으로 다소 낮았으며, 불교인들은 77%, 77%, 73%, 64%로 더 낮았다.

▲ⓒ한국리서치

▲ⓒ한국리서치

◈경전 신뢰도, 종교별 차이 커

‘종교 경전의 정의’에 대해 기독교인들은 “신(절대자)의 가르침이다”를 57%로 가장 많이 선택했고, “역사적 기록이다” 28%, “인간의 창작물이다” 9%, “모르겠다” 7% 순이었다.

그러나 다른 종교인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천주교인들은 ‘역사적 기록’을 35%로 가장 많이 골랐으며, ‘신의 가르침’ 29%, ‘인간의 창작물’ 26%, ‘모르겠다’ 9% 순이었다. 불교는 ‘인간의 창작물’이 43%로 가장 높았고, ‘역사적 기록’이 30%, ‘신의 가르침’은 15%로 가장 낮았다. 비종교인들은 ‘인간의 창작물’ 51%, ‘역사적 기록’ 23%, ‘모르겠다’ 19%, ‘신의 가르침’ 7% 순이었다.

▲ⓒ한국리서치

▲ⓒ한국리서치

“종교 경전의 해석이 시대나 개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지”도 질문했다. 먼저 개인적 신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느냐는 물음에 기독교인들은 “달라질 수 있다” 63%, “달라질 수 없다” 32%고 답했다. 천주교는 ‘있다’ 74%, ‘없다’ 23%, 불교는 ‘있다’ 87%, ‘없다’ 11%였다.

시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느냐는 물음에 기독교인들은 ‘있다’ 59%, ‘없다’ 37%라고 각각 답했다. 천주교는 ‘있다’ 75%, ‘없다’ 20%, 불교는 ‘있다’ 80%, ‘없다’ 18%였다. 개인적 신념이나 시대와 관계없이 해석이 달라질 수 ‘없다’는 응답은 기독교인들이 가장 높았고, 불교인들이 가장 낮았다. 기독교인들 10명 중 4명은 ‘해석이 달라질 수 없다’고 생각했다.

▲ⓒ한국리서치

▲ⓒ한국리서치

◈경전 읽기·실천도 기독교 1위

기독교인들은 천주교나 불교 신자들에 비해 종교 경전을 읽고 실천하는 비율도 더 높았다.

“나는 정기적으로 경전을 읽거나 묵상하는 시간을 갖는다”고 응답한 종교인들은 기독교인이 62%였던 반면, 천주교인은 36%, 불교인은 33%에 불과했다.

“종교 경전을 읽고 생각하는 것은 나의 종교생활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응답의 경우 기독교인들은 77%였으나, 천주교인들은 45%, 불교인들은 43%로 2배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나는 내 삶에서 종교 경전의 내용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응답도 기독교인들은 78%였으나, 천주교인들은 55%, 불교인들은 53%에 그쳤다.

한국리서치는 “종교 경전을 읽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신앙 활동이다. 그런데 종교인들 중에서 평소 정기적으로 경전을 읽는 사람은 절반이 되지 않는다”며 “전체 종교인 중 46%가 정기적으로 종교 경전을 읽거나 묵상하는 시간을 갖는다”고 소개했다.

또 “연령대가 높을수록 경전을 읽고 그 가르침을 실천하려 노력하는 사람들이 많다. 60세 이상 종교인 57%가 정기적으로 경전을 읽고, 69%가 경전 읽기가 종교생활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74%는 경전 내용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한다”며 “반면 18-39세 젊은이들은 3명 중 1명(34%)만 정기적으로 경전을 읽고, 41%만 경전 읽기가 종교생활에서 중요하며, 48%만 삶에서 경전의 내용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는 등 모두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하화1리에 위치한 하화교회의 산불로 인한 화재 전후 모습

120년 된 교회도 불탔다… 산불 피해 확산

예장 통합 소속 하화교회(담임 김진웅 목사)가 최근 발생한 산불로 전소됐다. 1904년 설립돼 약 120년의 역사를 가진 이 교회는 건물 전체가 불에 타 큰 피해를 입었다.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하화1리에 위치한 이 교회는 이 지역 산불 발생 나흘째인 3월 25일 강풍…

하화교회

예배당·사택 잃은 교회들… 산불 피해에 긴급 기도 요청

경북 지역을 휩쓸고 있는 대형 산불과 관련해, 한국교회 주요 교단들이 잇따라 목회서신을 발표하며 전 교회와 성도에게 긴급 구호와 중보기도에 동참해 줄 것을 요청하고 나섰다. 특히 피해가 집중된 지역의 일부 교회들은 예배당과 사택이 전소되는 등 실질적인 …

세이브코리아

“현 상황 분노 않으면, 거짓에 속는 국민 될 수밖에”

세이브코리아, 성금 2억 기탁 손현보·전한길 등은 울산으로 서울 등 전국 10개 도시 개최 매주 토요일 대한민국 정상화를 위해 기도하고 있는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이하 세이브코리아)가 3월 29일에는 특히 영남권에서 역대 최대 규모로 발생한 산불의 …

이 기사는 논쟁중

WEA 서울총회 개최반대연합회

“WEA 지도자들, 시간 흐를수록 다원주의로”

2025 WEA 서울총회개최반대연합회 기자회견이 3월 28일 오후 서울 강남구 예장 합동 총회회관 로비에서 개최됐다. 연합회장 맹연환 목사는 “총회 안에서도 WEA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시는 분…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