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월 14일은 발렌타인데이? ‘재의 수요일’

이대웅 기자  dwlee@chtoday.co.kr   |  

사순절 시작, 3월 31일 부활절까지

▲과거 못으로 만든 십자가 전시회 모습. ⓒ크투 DB

▲과거 못으로 만든 십자가 전시회 모습. ⓒ크투 DB

2월 14일은 흔히 ‘발렌타인데이’로 알려져 있지만, 2024년 올해 크리스천들에게는 사순절이 시작되는 ‘재의 수요일(Ash Wednesday)’이 먼저다.

이날부터 부활절인 오는 3월 31일까지, 주일을 제외한 40일간을 기독교에서는 ‘사순절(Lent)’이라 부른다.

사순절(四旬節)의 명칭 자체가 ‘40일(라틴어로 quadragesima)’이라는 뜻이다. 음력 기준이기에, 매년 재의 수요일과 부활절은 날짜가 달라진다.

부활절 날짜를 공식 확정한 325년 니케아공의회에서는 춘분(3월 20-21일) 이후 보름달이 뜬 날의 다음 주를 부활주일로 정했다.

초대교회에서는 부활절 새벽에 세례를 베풀었고, 세례 예비자들이 ‘회개’를 통해 세례를 준비하던 기간이 40일이었다. 이미 세례를 받은 신자들도 자신들이 받은 세례를 되돌아보고 자신을 갱신하는 일에 힘썼던 기간이다.

기독교에서 ‘40’은 대표적으로 상징적인 숫자다. 사순절의 40일은 예수님이 광야에서 시험받으신 40일을 상징한다. 또 모세는 40일 금식으로 기도했고, 예수님도 부활 후 40일간 제자들과 함께하셨다. 각 교회에서는 사순절을 맞아 ‘40일 새벽기도회’를 실시한다.

ⓒ영국성공회

ⓒ영국성공회

◈재의 수요일

사순절 첫날은 항상 수요일이다. 기독교는 이를 ‘재의 수요일(Ash Wednesday)’ 또는 ‘참회의 수요일’이라 부른다. 이날 예배에서 재(Ash)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재의 수요일’ 예배에서는 목사가 성도들의 머리 혹은 이마에 물에 적신 재를 갖고 십자 성호를 그으면서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갈 것임을 기억하라”는 순서를 가져왔다.

재의 수요일에는 인간의 죄와 유한성, 인생의 무상함을 분명히 인식하고 기억해 하나님의 용서와 도우심을 구하면서 살아갈 것을 깨우친다. ‘재’는 참회와 회개, 유한성, 정화와 순수, 농경문화에서는 새로운 생명과 성장을 위한 밑거름 등을 의미한다.

특히 재의 예식에는 1년 전 종려주일에 사용했던 가지를 태워 만드는데, 1년 전부터 이를 준비하면서 우리 자신을 온전히 태우는 헌신을 통해 온전한 제자가 될 수 있음을 말한다.

◈사순절의 시작, 주제

예수님께서 부활 승천하신 후, 초대교회에서는 부활절 전 하루나 이틀 금식하면서 부활주일을 준비했으나, 곧 부활절 전 한 주간을 통째로 거룩하게 지키는 ‘고난주간’의 관습이 생겨났다.

이후 후 한 주간이 3주간으로 길어졌고, 325년 니케아 공의회를 통해 최종적으로 6주간 40일로 정해졌다.

특히 사순절 마지막 한 주간은 부활절 준비의 절정으로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서방교회에서는 이를 ‘성 주간(Holy Week)’, 동방교회에서는 ‘성 대주간(Great Week)’이라 불렀다.

사순절 주제는 예수님의 고난과 이를 대하는 성도의 참회를 뚜렷하게 하는 것들로 채워진다. 전통적으로 사순절 주제는 첫째 주에 그리스도께서 받으신 유혹을 생각하고, 둘째 주는 죄를 물리치라는 명령을 생각한다.

셋째 주는 회개로의 요청을 묵상하고, 넷째 주는 치유와 회심을 생각한다. 이 넷째 주는 ‘장미 주일(Rose Sunday)’이라 불리기도 한다. 주일의 강조점이 죄인의 회개에서 그리스도의 치유 능력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다섯째 주일은 종려주일로 부활절을 미리 맛보는 주일이다.

몇몇 교단은 성경에 나와있는 절기가 아니고 로마가톨릭 당시 정한 절기라는 이유로, 사순절을 지키지 않는다. 대신 부활절 직전 한 주일 ‘고난주간’만 기념한다.

최근 사순절에는 ‘미디어 금식’이나 ‘장기기증 캠페인’, ‘북한 돕기 모금’ 등 예수님의 고난을 묵상하면서 이 땅의 약자들을 돌아보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고 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및 단일화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위기다. 대외…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대 촉구를 표명했다. 이들은 “김문수는 단순한 정치인이 아니다. 그는 노동자의 땀을 기억하는 정치인이다. …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사의 내한 이후 1985년까지 100년간 내한한 선교사 총 수는 약 3천여 명으로 파악된다(기독교역사연구소 조사). 내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