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69%, 언론 자유 방향성 우려

뉴욕=김유진 기자     |  

ⓒChris Hardy/ Unsplash

ⓒChris Hardy/ Unsplash

미국인의 대다수가 미국이 ‘언론의 자유’ 문제에서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믿지만, 상당수는 자신이 불쾌하다고 여기는 견해를 검열하는 데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르면, ‘개인 권리 및 표현 재단’(Foundation for Individual Rights and Expression, FIRE)은 최근 미국인의 언론 자유에 대한 견해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여론조사는 FIRE와 다트머스대학교, 스탠포드대학교, 펜실베이니아대학교의 양극화조사연구소(Polarization Research Lab)가 협력해 진행했으며, 2024년 1월 12일부터 19일까지 미국인 1,000명의 응답을 기반으로 한다.

조사 대상자의 69%는 개인의 견해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지에 관해 미국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에 31%는 언론 자유의 분위기가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47%는 현재 미국의 언론 자유에 대한 권리가 “어느 정도 안전하다”고 말했다.

또 응답자의 29%는 미국의 언론 자유가 “전혀 안전하지 않다”고, 18%는 “매우 안전하다”, 7%는 “전적으로 안전하다”고 했다.

양극화조사연구소 소장인 션 웨스트우드(Sean Westwood)는 정당 소속에 따라 언론 자유에 대한 견해가 다르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민주당원의 약 절반이 언론의 자유가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공화당원은 26%에 그친다”며 “공화당원의 3분의 1 이상은 언론 자유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민주당원의 경우 그 비율은 17%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 연구에서 미국인의 거의 3분의 1(31%)은 언론 자유를 보장하는 미국의 수정헌법 제1조가 “지나치다”고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민주당원과 공화당원 양쪽에서 약 3분의 1이 동일한 의견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 준다.

“자신의 발언 때문에 누군가가 불평을 했을 때 직장을 잃을까 봐 얼마나 걱정되는지”에 대해 묻자, 다수인 36%가 실직에 대해 “전혀 걱정하지 않는다”고, 24%는 “별로 걱정하지 않는다”고, 16%는 “조금 걱정된다”고 했다. 조사 대상자 중 14%는 자신의 발언 때문에 직장을 잃을까 봐 “어느 정도 걱정된다”고, 나머지 10%는 “매우 걱정된다”고 했다.

이 조사는 또한 응답자들에게 지난 한 달 동안 자기 검열(self-censorship)을 얼마나 자주 시행했는지에 대해 질문했다. 31%는 “가끔, 몇 번씩”, 24%는 “드물게 한두 번”, 19%는 “한 번도 하지 않았다”고 했다. 17%는 “꽤 자주, 일주일에 몇 번씩” 자기 검열을 했으며, 8%는 “매우 자주, 거의 매일”이라고 했다.

한편 다수의 응답자들은 자신이 가장 불쾌하다고 생각하는 견해를 가진 사람이 지역사회에서 절대로 ‘공공 연설’(29%)이나 ‘대학 강의’(38%)를 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어느 정도 ‘공공 연설’(23%)이나 ‘대학 강의’(31%)를 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도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조사 대상자의 19%만이 불쾌한 견해를 가진 사람이 지역 대학에서 가르칠 수 있어야 한다고, 26%는 공공 연설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불쾌한 견해를 가진 사람이라도 지역 대학에서 강의나 공공 연설을 확실히 허용해야 한다고 말한 응답자는 각각 12%, 22%에 그쳤다.

그러나 응답자의 과반수(59%)는 공공도서관이 모욕적인 견해를 가진 사람이 쓴 책을 서가에 보관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71%는 그 사람이 해당 의견을 유지한다는 이유로 직장을 잃어서는 안 된다는 데 동의했다.

FIRE 수석 연구 고문인 션 스티븐스(Sean Stevens)는 성명에서 “이러한 결과는 실망스러웠지만 놀랍지는 않았다. FIRE에서는 언론 자유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는 많은 사람들이 개인적으로 불쾌하다고 여기는 신념에 대해서는 흔들리는 것을 오랫동안 관찰해 왔다”며 “그러나 미래에 당신의 발언을 보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오늘날 논란의 여지가 있고 공격적인 발언을 할 권리를 옹호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및 단일화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위기다. 대외…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대 촉구를 표명했다. 이들은 “김문수는 단순한 정치인이 아니다. 그는 노동자의 땀을 기억하는 정치인이다. …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사의 내한 이후 1985년까지 100년간 내한한 선교사 총 수는 약 3천여 명으로 파악된다(기독교역사연구소 조사). 내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