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선교사 갈수록 늘어… 노후 대책 시급

이대웅 기자  dwlee@chtoday.co.kr   |  

KWMA·KriM 집계 ‘2023 한국선교 현황’

은퇴 비율 1.25%, 연령 넘어도 못해
은퇴 후 사역 지속 비율 60.2% 달해

▲2023년 은퇴 선교사 현황. ⓒKriM

▲2023년 은퇴 선교사 현황. ⓒKriM

은퇴를 앞뒀거나 현재 은퇴한 선교사들의 노후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가 주관하고 한국선교연구원(KriM)이 조사해 7일 오전 KWMA 세미나실에서 발표한 ‘2023 한국선교 현황 보고’에서 드러났다.

178개 단체(79.8%)가 응답한 2023년 은퇴 선교사 비율은 1.25%로, 전체 선교사 수에 대입하면 2023년 274명의 장기 선교사가 은퇴한 것으로 추산됐다. 은퇴 대상자는 늘고 있지만, 실제 은퇴 숫자는 그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은퇴 후 사역을 지속하는 선교사들도 꾸준히 늘고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 은퇴 후 사역을 지속한 장기 선교사 비율은 60.2%에 달했다. 이 비율도 2020년 44.1%, 2021년 54.8%, 2022년 58.8%로 계속 늘고 있다.

은퇴 후 사역을 중단한 선교사의 80%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다. 은퇴 후 사역 지속 선교사의 70%는 해외에 거주하고 있다. 은퇴 후 거주지 비율은 국내 49.3%, 해외 49.3%, 기타 1.4% 등이다.

▲선교단체들의 은퇴 관련 재정 대책. ⓒKriM

▲선교단체들의 은퇴 관련 재정 대책. ⓒKriM

국민연금 가입 원칙 규정 34곳뿐
퇴직금·연금 단체도 22.2% 불과

선교단체들 중 은퇴 연령 규정이 있는 곳은 46.5%인 92개 단체로 2022년 91개 단체보다 한 곳 늘었고, 규정이 없는 곳은 53.5%인 106개 단체로 2022년 94개 단체에 비해 12곳이나 늘었다.

은퇴 선교사들이 늘면서, 노후 대책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설문에 응답한 150곳 중 국민연금 가입 원칙이 있는 선교단체는 34곳, 가입 보조를 해준 곳은 4곳에 불과했고, 가입을 권유한 곳이 40곳, 가입 규정이 없는 곳이 83곳이었다.

개인 연금은 더욱 미비해, 가입 원칙이 있는 선교단체는 5곳이었고, 가입 보조를 해준 곳은 없었다. 가입을 권유한 곳은 40곳, 가입 규정이 없는 곳이 104곳이었다.

퇴직금·은급금 제도 ‘위탁 운영’ 또는 ‘단체 또는 교단이 운영’하는 경우도 32곳에 불과했다. 이 항목에 응답한 단체 소속 선교사는 전체 선교사의 37.2%로, 응답한 단체 속 비율로는 22.2%에 불과했다.

은퇴 후 재정 대책에는 파송 교회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파송 교회와 관련 논의를 하지 않는 경우가 145곳 중 82.1%인 119곳이나 됐고, 17.9%인 26개 선교단체만 파송 교회와 논의나 협력 요청에 나섰다.

조사 결과를 발표한 홍현철 원장은 “각 선교단체와 교단은 장기 선교사 은퇴 규정과 함께, 은퇴 후 생활에 대한 대책을 파송 교회들과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선교사들의 은퇴 후 국민·개인 등 연금 제도에도 좀 더 많은 관심을 쏟아야 한다”고 밝혔다.

홍현철 원장은 “답변을 보내오지 않은 나머지 단체들이 국민연금 규정을 마련했다는 기대를 하기 힘들기에, 실제로 국민연금 규정 제정 단체 비율은 20%도 안 될 것”이라며 “이번 연금 관련 조사는 선교사 노후 대책 실태를 제대로 파악해 대안을 마련하자는 차원에서 실시했다”고 말했다.

▲2023년 사역 중단 상태인 선교사 비율. ⓒKriM

▲2023년 사역 중단 상태인 선교사 비율. ⓒKriM

사역 중단 선교사, 총 375명 추정
요인 ‘목회 사역 전환’ 가장 많아
50대 75명, 60대 43명, 40대 42명
임시 귀국 선교사는 134곳 880명

은퇴를 제외하고 2023년 사역을 중단하거나 단체에서 탈퇴한 선교사 비율은 1.71%이었다. 응답한 선교단체 153곳에서 사역 중단 선교사로 총 271명을 보고해, 전체 선교단체 비율로 환산하면 375명 정도로 추정된다.

요인으로는 ‘기타 개인 사유’가 93명으로 가장 많았고, ‘사역 및 직업 변경’ 64명, ‘선교사의 건강 및 질병’ 47명, ‘소명 및 자질’ 18명, ‘가족 및 재정 문제’ 17명, ‘선교지 환경’ 15명 순이었다. 세부 요인으로는 개인 사유가 44명으로 가장 많았고, 목회 전환 31명, 선교사 건강 31명, (현지·동료·단체 간 등) 갈등이 29명 순이었다.

▲선교사들의 사역 일시 중단 이유. ⓒKriM

▲선교사들의 사역 일시 중단 이유. ⓒKriM

사역 중단 연령을 기재한 189명 중에서는 50대가 75명으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43명, 40대 42명, 30대 19명, 70대 8명, 20대 2명 순이었다. 60대를 제외한 나머지 연령대에서 개인 사유를 제외한 가장 높은 요인은 ‘목회 사역으로의 전환’이었다.

임시 귀국해 대기 중인 장기 선교사(국내 사역으로 전환 제외)는 선교단체 134곳에서 880명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사역 일시 중단 선교사들의 연령 분포. ⓒKriM

▲사역 일시 중단 선교사들의 연령 분포. ⓒKriM

귀국 요인은 크게 사역지 환경과 개인적 이유 두 가지로 나뉜다. 치안·전염병·비자 거절·추방 등 부득이한 사유로 임시 입국한 선교사 비율은 19.0%로, 코로나가 끝나지 않은 2022년의 36.9%에 비해 많이 줄었다. 안식년, 건강, 모금, 방문, 국내 행사 등 개인적 이유는 81.0%로, 2022년의 63.1%에 비해 크게 늘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2024 부활절 연합예배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 4월 20일 오후 4시

예장 통합 총회장 사회, 예장 합동 총회장 설교, 대회장에 이영훈 목사 김정석 감독회장 인사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가 한국 기독교 선교 140주년을 맞아 부활주일인 오는 4월 20일 오후 4시, 서울 강남구 광림교회에서 개최된다. 올해는 1885년 4월 5…

이세종 심방

“심방, 가정과 교회 잇는 가장 따뜻한 통로입니다”

“2023년 12월, 울산교회 고등부 사역을 마무리하던 즈음 출판사에서 연락을 주셨고, 심방이 다음 세대 부흥에 어떤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글로 남겨보자는 제안을 주셨습니다. 그때 지난 사역 여정을 돌아보며 하나님께서 심방의 길을 열어주신 뒤, 한 영혼이 변화…

기독교한림원

선교 140주년, 한국교회의 진정한 역사와 역할은

한국교회 선교 역사, 140주년 이상 토마스, 칼 귀츨라프 선교사 기억을 암울한 시기 여명의 빛으로 떠올라 새로운 삶의 의미와 희망 가져다줘 근대 사회 진입에 큰 역할 잘 감당 지금도 자유민주주의 수호에 앞장 한국기독교한림원(이사장 조용목 목사, 원장 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