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가 르완다 대량 학살이 기독교인에게 주는 3가지 교훈에 대해 최근 소개했다. 이 글을 쓴 에드거 산도발(Edgar Sandoval Sr.)은 국제구호개발 NGO 월드비전(World Vision) 미국 지부의 회장이다.
산도발 회장은 칼럼에서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르완다를 1994년 투치족에 대한 대량 학살에 관한 뉴스나 할리우드 영화를 통해 알고 있다. 그 해 4월부터 7월까지 약 100일 동안 이웃들이 서로 충돌해 최대 100만 명이 사망했다”며 “르완다 사회는 붕괴됐다. 거의 모든 시민이 대량학살의 피해자, 가해자 또는 유혈 사태의 목격자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런 역사를 알고서, 최근 방문했을 때 목격한 변화는 내게 감동과 경외심을 줬다”며 “사람들은 상상할 수 없는 고통 속에서 화해와 앞으로 나아갈 길을 찾아냈다. 그리고 국가는 교육 및 기본 서비스 이용 등의 분야에서 놀라운 진전을 이루었다”고 했다.
그는 “르완다인들이 지난 30년 동안 성취한 것은 단순히 기분 좋은 이야기 그 이상”이라며 “이는 미국 기독교인들에게 분열, 통합 및 신앙의 역할에 대한 경고와 영감을 주는 최고의 수업”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해당 칼럼의 요약.
제1과: 우리의 말이 중요하다
여행 중에 나는 대량학살 추모관과 박물관을 방문했고, 우리의 단어 선택이 얼마나 쉽게 불화와 분열을 심는지에 대해 엄중한 경고를 받았다. 오늘날 르완다인들은 더 이상 서로를 후투족이나 투치족이라고 부르지 않고, 모두가 그저 ‘르완다인’(Rwandan)”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대량학살이 일어나기 몇 년 전부터 후투족은 투치족을 ‘바퀴벌레들’(cockroaches)이라고 불렀다. 이는 투치족을 이웃이나 친구가 아닌 다른 단어로 묘사한 첫 시작이었다. 이러한 변화는 점진적이지만 그 결과는 끔찍하다.
소셜미디어 시대에는 온라인에서 추악하고 상처를 주는 말들을 흔히 보게 된다. 사람들을 ‘우리’ 또는 ‘그들’ 중 하나로 구분하려는 유혹을 받는다. 내게 있어 르완다는 말이란 치유나 상처를 주는 강력한 도구임을 경고하고 일깨운다. 우리는 말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가?
제2과: 신앙은 치유와 연합에 중요한 요소이다
대량 학살 동안, 대게 안전한 피난처로 여겨지던 일부 교회들은 도살장으로 변했다.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사람들이 교회 건물 안으로 피신했지만, 대신 그곳에 갇혀서 더 많은 사람들이 살해되었다. 추모관에 있는 이 장면의 사진들을 보고, 생존자들의 영상을 듣고 있기 힘들었다.
하지만 르완다에서 신앙이 화해를 가져오는 데 어떤 도움이 되었는지를 보며 용기를 얻었다. 오늘날 모든 폭력과 트라우마에도 불구하고, 르완다인들은 이웃을 용서하고 함께 살 수 있게 되었다. 르완다는 메릴랜드 주의 크기와 비슷하지만, 인구는 두 배 이상 많은 나라이며, 신앙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30년 전, 대량학살의 공포 속에서 앨리스라는 여성은 아기와 오른손을 잃었다. 이때 후투족 무리는 마체테와 몽둥이를 들고 그녀에게 내려왔다. 그 폭행 속에서 그녀는 에마뉘엘이라는 한 남자를 알아보았다. 그들은 자라면서 같은 학교에 다녔기 때문이다. 그날 그는 마체테를 휘두르고 있었다.
월드비전과 교회 파트너를 통해 전국적으로 시작된 화해 노력 덕분에, 에마뉘엘은 과거를 직시하고 앨리스에게 용서를 구했다. 결국 그녀는 그를 용서할 수 있었다. 오늘날 그들은 서로를 친구로 여긴다. 그들은 서로의 집을 방문하고, 자녀들도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사람들이 이러한 잔학 행위를 용서한 방식은 하나님의 기적적인 능력임을 증거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우리를 공격하거나 가족을 죽인 사람과 함께 살거나, 교회에 다니거나, 함께 일할 수 없다. 나는 이것이 성령의 역사라고 믿는다. 또한 그 안에서, 상상할 수 없는 고통 가운데에서도 하나님의 임재를 느낄 수 있다.
제3과: 가장 어려운 상황에서도 진정한 발전이 가능하다
우리 세계의 일부 장소에는 ‘희망 소멸’(lost causes)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싶은 유혹이 든다. 매일 뉴스 보도에는 위기, 분쟁 및 극심한 빈곤의 사례가 가득하다. 도움을 준다는 것이 해변에 모래 약간을 더 부어서 쓰나미를 막으려는 것처럼 절망적이고, 노력할 가치가 없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내가 르완다에서 목격한 발전은 그러한 사고방식과 반대된다. 작년에 나는 르완다 정부 및 국민과 파트너십을 통해, 5년 만에 100만 명 이상에게 깨끗한 물을 이용할 수 있게 한 월드비전의 성과를 기념하기 위해 그곳에 있었다. 2018년에 이 목표를 세웠을 당시, 우리 모두는 르완다 전역에서 작업했다.
깨끗한 물에 대한 접근만 진전된 것이 아니다. 르완다는 세계은행(World Bank)이 정의한 대로 2035년까지 중소득 국가, 2050년까지 고소득 국가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는 시민들이 전기를 보편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는 30년 전, 르완다의 상황으로는 상상하기 힘든 미래다. 그리고 그들은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
오늘날 우리는 이 대량학살의 참상을 기억하며,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를 돌아보고, 협력과 신앙을 통해 가능한 것에 대한 영감과 경외심을 가지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