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신대, 개혁신학 기초한 새 UI 선보여

이대웅 기자  dwlee@chtoday.co.kr   |  

개교 123주년 기념식에서 선포

정체성 공고, 구성원 자긍심 고취
공식 결의로 UI 사용은 이번 처음
펼쳐진 세 겹 성경 속에 히브리어

▲총신대학교 학부와 신대원 새 UI 심볼(위쪽)과 시그니쳐. ⓒ총신대
▲총신대학교 학부와 신대원 새 UI 심볼(위쪽)과 시그니쳐. ⓒ총신대

총신대학교(총장 박성규)가 새로운 로고를 선보였다.

총신대는 학교 정체성인 개혁신학에 기초한 새로운 UI(University Identity)를 확정했다. 총신대가 소속된 예장 합동 총회(총회장 오정호 목사)는 8일 오전 실행위원회를 열고 새 UI를 추인했다.

올해 개교 123주년을 맞이한 총신대는 오는 5월 9일 양지캠퍼스 신학대학원과 5월 14일 사당캠퍼스에서 개교 123주년 기념예배 및 신규 UI 선포식을 각각 개최한다.

총신대는 작년 9월부터 개혁신학 정체성을 공고히 하며 구성원들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이를 학교 발전 계기로 삼고자 UI 제작 및 검토 작업에 착수했다.

그동안 사용한 심볼마크는 씰 도장으로 제작·사용하던 것으로, 공식 결의에 의한 UI 사용은 이번이 처음이다. 신규 UI 제작은 박성규 총장이 총괄했으며, 디자인 전문가인 김정열 교수를 비롯해 신학전공 보직교수 및 실무담당 교직원, 학계 전문가 등이 참여했다.

신규 UI는 심볼마크·시그니처·이니셜 로고·로고 타입 등 6가지로 구성됐으며, 모든 구성은 성경에 기초하여 제작됐다. UI 가운데 자리한 성경은 개혁신학 원리인 성경의 최고 권위에 기초한 학교 정체성(딤후 3:16)을 나타내며, 성경이 펼쳐진 모습은 개혁신학을 개혁신앙으로, 성경을 따라 살아가는 학교(시 119:105)를 상징한다. 세 겹의 성경 모양은 개혁신학이 고백하는 삼위일체 하나님(고후 13:13)을 상징한다.

성경 안에 적힌 히브리어 ‘람멜레크’는 ①그 왕을 위하여(for the King): 개혁신학 원리인 하나님의 통치를 받는 그 왕을 위한 총신대학교(고전 10:31) ②그 왕에 의하여(by the King): 개혁신학 원리인 하나님에 의해 통치받는 총신대학교(대상 16:31) ③그 왕의(of the King): 개혁신학 원리인 왕이신 하나님께서 소유하시고 주인 되신 총신대학교(롬 14:8) 등을 의미한다.

로고 하단 ‘1901’ 표기는 총신대 전신, 한국 첫 번째 신학교인 평양신학교 개교 연도로, 123년의 뿌리 깊은 역사를 자랑하는 총신대의 정통성을 나타냈다.

총신대는 신규 UI(안)을 놓고 학생들과 교수, 직원, 동문 등 교내외 구성원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이후 외부 전문가 자문, 대학정책위원회 심의, 대학, 신대원 교수회 보고, 이사회 및 총회 임원회 및 실행위원회 심의를 받는 등 신학적·디자인적 측면에서 UI를 검증하고, 구성원들과의 소통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반영했다.

신규 제작된 UI는 선포식 후 교내외 각종 공문서와 홈페이지, 교내 각종 홍보물, 사인몰에 적용되며, 저렴한 굿즈 제작을 통해 동문들의 자부심을 고취하고 구성원들의 정체성을 공고히 할 예정이다.

총신대는 학교 기업 CS+Design를 설립하고 신규 UI를 활용해 제작한 다양한 굿즈를 판매할 예정이다. 총신대 굿즈는 5월 14일부터 운영될 CS+Design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www.csplusdesign.com)에서 구입 가능하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성산생명윤리연구소

“망원경·현미경 발전, 진화론 허상 밝혀내는 중”

인본주의 매몰된 세계관 수정을 기독교 세계관과 삶으로 열매를 진화론 과학주의는 무신론 이념 생명 발생 불가능: 하나님 창조 지질연대표 잘못돼 사라지는 중 과학=진리 아님 성도들에 알려야 성산생명윤리연구소(소장 홍순철)는 지난 4월 12일 오후 ‘기독…

모세 파라오 바로 십계

성경 속 ‘빌런’, 나에겐 걸림돌 아닌 디딤돌 될 수 있다

성경 속 빌런, 구분하기 쉬워 비판적으로 성경 읽고 생각을 빌런 생각 지점, 일상에서 찾기 실수 유형 찾아내 해결책 적기 “악이란 시스템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철학자 한나 아렌트의 정의이다. 그가 나치 친위대 중령 아돌프 아이히만의 재…

영화 예수

영화 ‘예수’, 2,200번째 언어로 번역·상영돼… 세계 최다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 위치한 크루(Cru) 소속 사역 단체인 ‘예수 영화 프로젝트’(Jesus Film Project)가 영화 ‘예수’를 2,200번째 언어로 상영하는 이정표를 세웠다. 최신 버전은 서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에서 사용되는 쿨랑고어의 방언인 부나(Bouna)어로 번역됐다.…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