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지에서도… 모든 것은 나에게 스승이 되었다

|  

이윤재 선교사의 ‘아프리카에서 온 편지’ (12) 스승의 날에

▲ⓒpixabay

▲ⓒpixabay

어느 날
삶의 모든 경우에,
살아가는 모든 날에
나는 항상 무엇을 배웠는가라고 묻기로 결심한 날부터
모든 것은
나에게 스승이 되었다

선교를 결정하고도
차마 말을 꺼내지 못하던 나에게 어머니는
‘세상에는 두 종류의 자식이 있지.
가까이 있는 착한 자식과 멀리 있지만 자랑스러운 자식이 있지.
너는 자랑스런 자식이야.’
그때부터 나는 얼떨결에 자랑스런 자식이 되었다.
어머니는 나에게 무조건적으로 사랑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가르친
스승이었다.

월급 대신 성미를 주던 가난한 시절
시골 교회 사모님이 말했다. ‘난 가난이 싫어. 그렇지만
그렇게 살아야 한다면 살아야지 뭐.’
가난한 사모님은 나에게 가난이 우리에게 자랑거리는 아니지만,
우리가 이 땅에 사는 동안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제자됨의 한 표지임을 가르쳤다.
그때 가졌던 가난한 목회자의 꿈은 내가 어디를 가든지 따라 다녔다.

아직은 어린 중학생 시절
우연히 나간 새벽기도에서 나는 아침 일찍 일어나
정장을 하고 제단에서 무릎 꿇고 기도하는 은명기 목사님을 보았다.
나중에 알았지만
그날은 그가 삼선개헌 반대운동으로 한국교회 사상 처음으로 투옥되던 날이었다.
그로 인해 나는 행동과 존재, 행동하는 양심과 기도하는 묵상, 그리고
선구자의 외침과 수도자의 기도가
우리의 신앙안에 항상 같이 있어야 함을 배웠다.

신학교 3학년때 만난 이중표 목사님,
나는 그에게서 교회의 존재과 성장에 대한 끊임없는 열정, 민족과 영혼에 대한 연민,
그리스도에 대한 지고 지순한 사랑, 그리고 죽음을 넘어선
영원한 세계에 대한 동경과 눈물을 배웠다.

그가 아직은 더 살아야 할 나이에 ’할렐루야‘ 하며 홀연히 세상을 떠났을 때
아직도 미련이 남은 내 목회를 떠나는 것과
아프리카에서 작은 섬김으로 남은 생을 드리는 것이
그리스도가 나를 위해 죽으신 희생에 비해 지극히 작은 것임을
그의 삶과 죽음을 통해 배웠다.

신자들은 삶으로 나를 가르친 스승이었다.
늘 말만 하고 그렇게 살지 못한 나에게
신자들의 말없는 실천과 치열한 삶은 매번 나를 부끄럽게 했다.

신자들은 다만 설교 듣는 사람이 아니라
말없는 침묵과 삶으로 설교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안 뒤부터
나는 차라리 내 설교를 내려놓고, 그들의 삶에서 우러러 나오는 진정한 설교를 듣고 싶었다.

내 인생의 가장 큰 감사는
교회마다 하나님이 내 목회의 스승들을 많이 예비해 놓으신 것이다.

자연은 침묵의 소리로 말하는 스승
나는 가끔 내가 너무 힘들다고 느낄 때 하늘의 별을 보고
가끔 내가 너무 외롭다고 느낄 때 들에 핀 작은 꽃을 본다.

자연은 소리없는 아우성, 장엄한 서서시, 위대한 웅변
나는 매일 걷기를 통해
매번 만나는 나무와 사람과 들풀을 통해
까만 눈을 동그랗게 뜨고 나를 바라보는 학생들을 통해
작은 소리로 크게 말하는 스승의 소리를 듣는다.

자녀는 나에게 고마운 스승
나는 그들이 어릴 때 부모였고
그들이 자랄 때 코치였고 그들이 장성한 후에 그들의 친구가 되었다
그러나 그들은 항상 나의 스승이었다.
그들의 고통을 통해 나는 내 젊은 날의 고통을 기억하고
그들의 슬픔을 통해 내 부모도 나를 위해 얼마나 술퍼하셨는지
그들의 이루어지지 않은 꿈을 보면서
하나님도 나를 보며 얼마나 안타까워 하셨는지 알게 되었다.

그들을 통해 나는 하나님도 그의 자녀들을 사랑한다는 것을 알았고
내 자녀를 사랑하는 것과 세상의 다른 자녀를 사랑하는 것이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나에게 한 가지 기도가 있다면
내가 하나님의 부름을 받는 그 순간까지
어떤 경우에도, 삶의 모든 순간에
성공했느냐 실패했느냐 보다 슬픈 일이냐 기쁜 일이냐 보다,
내가 그 일을 통해 무엇을 배웠는가를 먼저 묻는 것과
그때마다 배운 것을 작게 나마 실천하는 것
그리고 일생 나를 가르치는 스승이 나에게서 끊이지 않기를 기도하는 것이다.
이 기도가
나와 같이 기도하는 모든 사람에게도
이루어지기를.

2024년 5월, 스승의 날에

▲이윤재 선교사 부부.

▲이윤재 선교사 부부.

이윤재 선교사

우간다 쿠미대학 신학부 학장
Grace Mission International 디렉터
분당 한신교회 전 담임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2024 기독 출판 도서 신간

“개별 약진 있지만, 전체 판 바꿀 작가와 시도는 아직…”

박영선, 루이스, 팀 켈러 등 스테디셀러 베스트 상위권에 10위 내 신간 과반수 고무적 기독 출판인들과 함께 2024년 기독 출판계 주요 키워드들을 돌아보고, 2025년 트렌드를 예측했다. 출판인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지나간 2024년과 다가올 2025년 주요 키워드는 △…

헌법재판소

보수 기독교계 “탄핵심리 계속하면 무서운 시민 저항 일어날 것”

보수 기독교 단체들이 13일 “헌재는 탄핵심리를 당장 기각하라”는 제목의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대한민국기독교연합기관협의회, (사)한국기독교보수교단총연합회, (사)한국기독교총연합회, (사)전국17개광역시도·226개시군구 기독교총연합회 및 전국기…

윤석열 구속영장 서부지법

“서부지법 사태, ‘토끼몰이 수사’이자 검경의 국가 폭력”

토끼몰이 과잉수사 진상조사위원회(위원장 권용태 목사, 이하 조사위)가 13일 경찰과 검찰의 과잉수사에 대한 강력 항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조사위는 이 성명에서 “서부지법 폭력 사태를 빌미로 경찰과 검찰이 단순 참가자들을 ‘법원침입 폭도집단’으로 둔갑…

탁영철

“교회, 일 시키려는 목적으로 ‘싱글’에 다가가면 안 돼”

“싱글 미니스트리가 가장 잘 정착돼 있고, 이로 인해 교회의 중흥기를 맞는 나라가 있습니다. 바로 미국입니다. 1970년대 후반 존 트라볼타가 무대에서 춤을 추고 있는 동안(뮤지컬 영화 ), 미국교회는 골머리를 앓았습니다. 이혼율은 증가하고, 경력을 중시하는 …

언더우드 아펜젤러

합동·통합·기감, 선교 140주년 연합대회 어떻게 준비하나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통합과 기독교대한감리회가 함께 한국 기독교 선교 140주년을 기념하는 연합대회를 오는 4월 3일 서울 새문안교회에서 개최한다. 각 교단의 행정 및 선교 책임자들로 구성된 준비위원회는 지난 1월 8일(수)과 2월 4일(화), 각각 예장 통합과 …

조나단 웡

홍콩 목회자 “한국교회, 우릴 보고 사명 일깨우길”

2020년 국가보안법 제정 이후 부당함 맞서던 시위 강제 중단 자유와 인권, 복음 수호 위해 단결해 기도와 실천 대응해야 자유와 민주주의를 잃은 홍콩의 조나단 웡 목사가 공산권과 싸우는 한국교회를 향해 미국에 있는 정윤명 글로벌국제선교회 창립자 겸 회장…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