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웨이크 신학포럼 열려
제3회 웨이크(WAIC·총회장 정인찬 박사) 신학포럼이 ‘한국교회사에서 바라보는 역사신학자 민경배 박사’라는 주제로 5월 20일 오전 서울 동작구 CTS 아트홀에서 (사)국제독립교회연합회(총회장 정인찬 박사)와 웨이크사이버신학원(이사장 임우성 목사) 주최로 개최됐다.
이날 오전 시간에는 정인찬 총회장의 개회사 이후 이상규 박사(백석대 석좌교수)가 ‘민경배 교수의 생애와 학문’, 박명수 박사(서울신대 명예교수)가 ‘민경배 교수의 한국교회 사학에 나타난 <민족> 이해’, 류금주 박사(한국교회사학연구원 원장)가 ‘민경배의 한국교회사 서술의 구도: 신앙 내연(內燃)-외연(外延)’을 각각 발표했다.
◈민경배 교수의 생애와 학문
한국 교회사 연구 개척 최고 학자
오늘 교회사학 발전에 초석 놓아
<한국 기독교회사>, 최초의 통사
객관적·실증적 연구의 기초 제공
먼저 이상규 박사는 “민경배 박사는 백낙준 박사를 잇는 2세 학자로서 한국교회사 학계를 대표하는 최고 학자라는 점은 아무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라며 “그는 한국에서의 교회사 연구를 개척하고, 오늘의 교회사학 발전에 초석을 놓은 학자일 뿐 아니라, 그가 건축한 견고한 학성(學城)이 오늘 후학들의 연학(硏學)의 여정을 인도하는 등대가 되고 있다. 한국 신학도나 목회자 가운데 그의 책을 한 권이라도 읽지 않은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고 전제했다.
이상규 박사에 따르면, 민경배 박사는 한국교회사 전 영역의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개척했다. 한국교회 기원 문제부터 해방 후 교회 현실의 문제까지 새롭게 연구하거나 재해석했다. 한국 기독교의 시원을 서구형 기독교와 미국형 교파형 선교 두 갈래로 설명하고, 역사환경과 신앙형태의 구조적 차이를 석명한 역사지리학, 한국교회 찬송가사, 기독교 신앙과 민족 문제에 대한 접근 등은 다 독창적 연구이자 그가 개척한 분야였다.
이 외에 기독교와 동학, 기독교의 국학진흥 운동, 내한 선교사 연구, 북한 기독교 등 미개척 분야의 연구를 통해 후학들에게 토대를 제공했다. 특히 1968년 출판한 <한국 기독교회사>는 한국교회 역사에 대한 최초의 교본적 통사였다 이 책은 124쪽의 문고판으로 시작해 1973년과 1974년 중보됐고, 1982년 560쪽, 1993년 640쪽, 2007년 690쪽으로 각각 개정 발간됐다. 이 책에 대해 그는 “근대 이전 기독교와의 접촉부터 6.25와 1960년대까지 한국교회사에 대한 체계적인 최초의 통사”라고 했다.
민경배 교수의 역사 인식 혹은 역사관에 대해선 3가지에 주목했다. 먼저 ‘민족교회론’에 대해 “민족공동체가 주체가 되는 역사를 의도하지만, 민족주의적 해석이나 배타적 종족주의를 지향하기보다 민족의 역사와 고난을 함께하는 단일화된 교회를 말한다”며 “선교사를 파송한 나라 교회의 연장이 아닌, 우리가 주체가 되는 역사를 기술해야 한다는 새로운 접근이자 독창적 시도로, 선교사(史)적 방법의 장점은 이용하되 우리 ‘민족’의 현실에서 기독교회 역사를 새롭고 주체적으로 인식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교회관과 교회의 순결과 연합’에 대해선 “신사참배 강요와 공교회의 수난 등 황량한 교회의 비극을 인식하면서도, 새로운 노회 결성을 거부했던 주기철 목사의 입장을 지지했다. 또 해방 후 친일적 혁신 교단의 존속 시도를 교권과 정치적 야욕으로 평가하면서도, 교회 정화라는 이름으로 분리를 주장하는 일은 분파적 행위라고 인식했다”며 “민경배 박사는 눈에 보이는 교회를 절대시하거나 신성시하지도 않지만, 다른 한편 완전주의적 교회관도 부정하면서 두 가지 극단적 교회관을 부정한다”고 했다.
세 번째 ‘내연(內燃)과 외연(外延)의 현상학(現象學)’과 관련해선 “기독교 신앙의 내연, 곧 참된 신앙 혹은 신앙 행위가 불타오를 때 그 힘은 자동적으로 밖으로 표출돼 역사 변혁의 에너지로 나타난다는 해석으로, 이는 한국이라는 역사적 상황에서 순수한 신앙 행위가 결과적으로 민족운동, 도덕운동 혹은 사회변혁운동으로 나타나 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게 되었다는 역사 해석의 틀”이라며 “1903-1907년 한국교회 부흥이라는 신앙 내연의 구도가 1919년 이후 민족 독립운동으로 외연된 것이 대표적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상규 박사는 “민경배 박사는 한국교회와 학계, 신학계와 목회 현장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고, 그 학문적 결실들은 국내외 학자들과 외국 교회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그는 진정한 의미에서 한국교회 사학을 개척하고 발전시킨 선구자이자 독창적 역사관을 제시한 학자였다”며 “그의 연구를 통해 하기오그래피(hagiography·성인 열전같은 칭송 일색의 영웅주의 사관- 편집자 주)에 그쳤던 한국교회사 연구가 한 단계 발전됐고, 객관적·실증적 연구의 기초를 제공했다”고 정리했다.
◈민경배 박사의 ‘민족 이해’
반제국주의 이념 중심 민족 아닌
서구 기독교와 부강 현실적 개념
보수와 진보 양쪽에서 비판 받아
체험적 신앙 내연으로 외연 확대
이어 박명수 박사는 “‘민족’은 천주교와 달리 개신교의 핵심 단어였고, 우파의 단골 개념으로 빈부와 계급을 뛰어넘어 서구 제국주의에 맞서 국민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용어였다”며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좌익이 계급 외에 ‘민족’을 자신들에게 유리한 용어로 사용했다. 이런 상황 가운데 우리는 한국교회와 민족의 관계를 분명히 정립해야 할 시점”이라고 취지를 밝혔다.
박명수 박사는 “민경배 박사의 저작을 읽으면서 내린 결론은, 그의 민족 개념이 현재 사용되는 반제국주의적 이념 중심이 아니라 서구 기독교와 힘을 합쳐 민족을 부강하게 만드는 현실적 개념으로서, 매우 포괄적인 ‘열린 민족주의’라는 점”이라며 민경배 박사의 ‘민족교회 사관’과 그의 한국교회사 연구에서 드러난 ‘민족’ 개념을 소개했다.
먼저 민경배 박사의 ‘민족교회 사관’에 대해 “민경배 박사의 민족교회론은 보편 교회나 선교사(史)와 대칭되는 개념이 아니라, 오히려 보편 교회의 신학적 입장을 어떻게 한국교회가 주체적으로 소화했는가를 주목한다. 그런 점에서 토착신학과는 거리가 있다”며 “그에게 한국교회는 하나님 역사가 나타난 섭리의 장소로, 역사가는 섣부르게 비판하기보다 한국교회사에 나타난 하나님의 뜻을 찾는 것이 본연의 임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박 박사는 “민경배 박사의 민족교회 사관을 진보 진영에서는 민중을 무시한 엘리트 중심이라 비판하고, 보수 진영에서는 반(反)선교사적이거나 국수적 민족주의 또는 토착화 같은 진보 신학과 관련돼 있다고 오해한다”며 “그러나 그는 ‘내연과 외연’이라는 역사 해석으로 한국교회사와 한국사를 연결해 생각했다. 체험적 복음주의 곧 신앙의 내연을 한국 민족교회의 핵심으로 생각하고, 이것의 외연을 기독교의 민족운동으로 이해한 것”이라고 했다.
‘민족’ 개념에 대해선 “민경배 박사는 한국교회 선교를 서구 제국주의 선교와 구별되는 친민족으로 이해하고, 근대적 민족국가 형성에 기여했다고 평가한다”며 “또 한국 민족교회 형성에 복음주의 신앙이 크게 기여했다고 본다. 절대자와의 만남을 통해 형성된 신앙의 내연은 그것이 뿜어 나오는 외연력에 의해 역사 속에 참여하는 논리적 흐름으로 이어진다”고 분석했다.
박명수 박사는 “민경배 박사의 민족교회 사관은 한국교회사 연구의 중요한 계기를 만들었지만, 진보와 보수 진영 모두에게서 올바른 평가를 받지 못하는 것 같다”며 “한국 민족교회의 핵심적 신앙 형태를 1907년 대부흥운동으로 보는 민 박사의 민족교회 사관은 체험적 신앙을 내연으로 해서, 한국교회 반경을 외연으로 확대해 나가려는 시도”라고 결론내렸다.
◈한국 교회사 서술의 구도
연세대와 한국교회사학연구원
민경배 박사 연구의 두 거점
선교사관·민중사관 대별되는
민족사관으로 한국교회사 정리
신앙 불타올라 역사 변화시켜
내연 관계없는 민족운동 소멸
끝으로 류금주 박사는 “솔내(松川, 황해도 장연군 장연읍 송천리)는 민경배 박사의 호이자 고향으로, ‘한국교회의 잊을 수 없는 요람’이다. 민 박사는 태생부터 한국 교회사학자의 천직을 갖고 태어났다”며 “솔내의 한국 교회사 연구의 두 거점은 연세대 신학과와 한국교회사학연구원이었다. 민 박사는 연구원 초대 원장이자 동북아기독교사학협의회 상임회장으로, 한국교회사 연구를 동북아 3국을 비롯한 세계 무대에 펼쳤다”고 전했다.
류금주 박사는 “백낙준 박사가 선교사관, 주재용 박사 등이 민중사관에 대해, 민경배 박사는 그와 대별되는 ‘민족사관’으로 한국 교회사를 정리했다. 선교사관과 민중사관이 ‘선교·민중’ 입장에서 사관을 정해놓고 역사에 접근하는 연역적이라면, 민족사관은 귀납적”이라며 “한국 교회사를 연구해 보니, 1960년대까지는 신앙과 함께 민족이 각 시대의 실체로 부각됐다는 말”이라고 해석했다.
류 박사는 “민경배 박사가 민족교회 사관으로 한국 교회사를 서술하면서 발견한 사실은, 교회와 민족이 한국사에서 초월적 신앙 차원에서도 묘하게 긍정적 교섭이 확인됐다는 것”이라며 “상반된 방향을 지향했던 교회와 민족이 일제하 역학 함수 관계를 벗어나, 긍정적으로 교섭했다는 말이었다. 요컨대 일제하에서 가장 민족을 사랑했던 사람들은 민족주의자들이 아니라, 다만 신앙을 억세게 지켰던 보수 경건자들이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들 보수 경건주의자들의 가슴 속에 불탔던 내연(內燃)의 신앙이, 당시 일제가 보기에 일본의 국체를 변혁하고 정면 도전하는 국가 반역 음모로서 외연(外延)된 것”이라며 “이 ‘내연-외연’은 신앙이 안에서 불타오르면, 자동적으로 바깥으로 이어진다는 뜻이다. 구체적으로는 신앙이 먼저 내면에서 불타올라, 저절로 바깥으로 이어진다. 내연한 신앙은 그 자체로 에너지가 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또 “‘내연-외연’은 신앙의 현상학으로 이어진다. 안에서 불타오른 신앙이 외연되는 역사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현상화한다는 말로, 안에서 폭발한 신앙의 에너지가 그대로 신앙 운동이 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도덕 운동이나 민족 운동, 사회 변혁력으로 작동하기도 한다는 것”이라며 “민경배 박사는 신앙의 현상학을 역사적 사건이 상징하는 바가 매우 다양하다는 ‘역사의 현상학’으로 발전시켰다”고 전했다.
류금주 박사는 “민 박사는 1885년은 개인 신앙, 1895년은 민족 운동으로 내연과 외연이 분리된 경우였으나, 1905년 신앙 내연-외연 구도가 정통으로 확립되면서 개인 신앙 차원이 아닌 공동체 신앙 차원이 확보됐다고 분석했다”며 “1920년대 들어 내연과 관계없는 민족운동이 진행되는 한편, 보수 경건주의 교회에서는 신앙부흥 운동을 통해 내연의 에너지가 축적됐다가 신사참배 거부로 폭발했다. 결국 내연과 관계없는 민족운동은 한국 교회사의 주류에서 사라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