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아이들 36] 아이들 마음을 여는 법 (2)
1. 가르치기보다 대화하라
신앙 이야기 먼저 꺼내기보다
가르치려는 부담에서 벗어나
일상적 대화 하면서 다가가라
2. 아이들을 인정해 주라
어른이 아이를 인정해 줄 때
아이는 편안하게 문을 연다
공감은 아이들을 존중하는 것
아이들에게 공감하려면 아이들을 존중하는 마음을 가지고 대화해야 한다고 했다. 그렇다면 아이를 존중하는 대화는 과연 무엇일까?
첫째, 가르치려 하지 말고, 대화를 하자.
교사가 부담감을 가지고 있는 게 하나 있다. 아이들을 만났을 때 뭔가를 꼭 가르쳐야 한다는 부담감이다. 우리는 아이들을 만났을 때 가르쳐야 한다는 부담감에서 벗어나야 한다.
하루는 고등부 교사 한 명이 나에게 이렇게 말했다.
교사: 목사님, 저는 목사님이 부러워요.
나: 네?
교사: 목사님은 아이들한테 하고 싶은 말도 마음껏 하시잖아요.
나: (당황) 그게 무슨 말씀이신지….
교사: 저도 목사님처럼 아이들한테 말해줄 건 말해줘야 하는데 계속 아이들 눈치를 보게 되네요.
나:(이해함) 아…, 그러셨군요.
교사는 필자가 쓴 책인 <얘들아, 하나님 감성이 뭔지 아니?>를 읽고 난 뒤, 필자가 아이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마음껏 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 책은 필자가 평소에 아이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다 적어 놓은 책으로, 청소년이 연애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미디어를 어떻게 분별해야 하는지, 게임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등 아주 자세하게 적어놓았다.
하지만 필자가 아이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마음껏 한다는 것은 그 교사의 큰 착각이자 오해였다. 필자는 아이들을 만나면 아이들이 나에게 먼저 신앙 이야기를 물어보지 않는 한, 먼저 신앙 이야기를 꺼내지 않기 때문이다.
필자는 실제로 설교와 제자훈련 시간 외에는 아이들이 특별히 요청하지 않는 이상, 절대 신앙 이야기를 먼저 하거나 가르치려 하지 않는다. 필자는 아이들을 만나면 주로 일상 이야기를 한다. 평소 일어났던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그런데 많은 교사들이 아이들을 만나면 꼭 신앙 이야기를 하려 한다. 아이들을 가르치려 한다. 그러면 아이가 부담이 돼서, 다음부터 교사를 만나려 하지 않는다.
반대로 교사가 아이를 만났을 때 신앙 이야기를 먼저 하지 않고 아이 말을 들어주면서 일상에서 있었던 이야기를 하면, 아이들이 교사를 향해 이런 생각을 가진다.
‘아, 선생님도 나랑 같구나….’
아이가 교사를 향해 동질감을 느끼는 것이다. 그 뒤부터 아이들이 교사를 향해 마음을 열기 시작한다.
필자도 처음엔 아이들을 만나면 신앙 이야기를 해줘야 하고, 뭔가 좋은 가르침을 줘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아니었다. 오히려 그럴수록 아이들은 나를 더 어려워했다.
그런데 필자가 아이들에게 신앙 이야기를 하지 않고 가르치려 하지 않으니까, 오히려 아이들이 필자를 부담 없이 만나 주었다.
만약 반 교사가 아이들을 만나 매번 가르치려 하고 ‘넌 이렇게 저렇게 살면 안 된다’라고 이야기하면, 아무도 그 교사를 만나려 하지 않을 것이다. 아무리 맛있는 것을 사줘도 아이들은 만나려 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 함께, 가르치려는 부담에서 벗어나자. 아이들을 편안한 마음으로 만나자.
둘째, 아이를 인정해 줘야 한다.
아이들과 존중하며 대화한다는 것은 먼저 그들을 인정해 주는 일이다. 우리가 아이들을 인정하고 존중할 때, 아이들은 우리에게 마음을 연다.
예를 들어보자. 반 학생이 공과공부 시간에 스마트폰을 하고 있는 게 보인다. 처음엔 ‘조금 있으면 주머니에 넣겠지’ 생각하고 가만히 두었다. 그런데 그 학생은 시간이 지나도 핸드폰을 주머니에 넣지 않는다. 교사는 그 모습을 보고 ‘어떻게 저 친구에게 말해줘야 하나’라며 고민할 것이다.
이럴 때 우리에게는 여러 선택지가 있다.
① “OO아, 지금 공과공부 시간이잖아. 핸드폰 주머니에 넣어줄래?”(권면하듯)
② “OO아, 핸드폰 빨리 넣어. 당장 압수해 버리기 전에!”(강압적으로)
③ “OO아, 네가 예배 시간에 핸드폰 하는 거 엄마가 알면 얼마나 가슴 아파하시겠니?”(호소하듯)
그런데 이럴 때 학생을 인정해 주면서 핸드폰을 넣게 하는 방법이 있다.
④ “OO아, 지금 핸드폰 하는 거 보니까 엄청 바쁜 일이 있나 보네. 네가 얼마나 바빴으면 지금 스마트폰을 만지고 있었겠니. 이제 연락은 다 끝난 거야? 그럼, 핸드폰 잠깐 넣고 선생님 말 좀 들어볼래? 넌 평소에 집중력이 좋으니까 잘 들을 수 있을 거야.”
당연히 그 아이는 바쁜 일이 있지 않았을 것이다. 그저 스마트폰으로 놀고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필자가 말하고 싶은 것은, 아이를 인정해 주면 아이의 태도가 상당히 많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아이들을 만났을 때 인정해 줄 일이 있으면 언제나 그것을 표현한다.
① 오늘 OO이가 예배 지각을 안 했네? 봐~ 마음 먹으니까 잘할 수 있잖아. 일찍 온다고 수고했어.
② 오늘 학교에서 담배 피우다 걸렸다고? 아이고 조심 좀 하지. 목사님은 걱정이 된다. 네가 얼마나 많이 힘들었으면 학교에서 담배 피울 생각을 다 했을까. 오늘 학교 마칠 때 목사님이 학교 앞으로 갈게. 목사님이 집까지 태워다 줄 테니까 같이 간식 먹으면서 가자.
이렇게 어른이 아이를 인정해 줄 때, 아이는 어른에게 편안함을 느끼고 마음 문을 연다. 이처럼 아이들을 공감하는 것은 아이들을 존중하는 것이다. 아이들을 존중하는 것은 아이들을 가르치려 하지 말고, 아이들을 인정하는 것이다.
김맥 목사
초량교회 교구담당 및 고등부 담당 주일학교 디렉터
청소년 매일성경 집필자
저서 <얘들아! 하나님 감성이 뭔지 아니?>
<하나님! 저도 쓰임 받을 수 있나요?>
<교사는 공감이 필요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