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주민 인권보다 김정은 정권 유지에 관심”
‘북한 인권 운동의 대모’로 불리는 수잔 숄티(Suzanne Scholte) 미국 디펜스포럼재단 대표가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이 김정일을, 문재인 전 대통령이 김정은을 살렸다”고 강력히 비판했다.
북한 인권 운동에 뛰어든 지 30년째를 맞은 수잔 숄티 대표는 최근 월간조선과의 인터뷰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이 아니었다면, 북한 정권은 1990년대 후반 붕괴했을 것이라 생각한다”며 “문재인 정부가 아니었다면 그간 들어간 많은 정보로 인해 북한 사회가 많이 흔들렸을 것이다. 북한 주민들은 김씨 정권 수립 이래 어느 때보다 바깥의 많은 정보를 접하고 있었으나, 문재인 정부가 북한 주민들이 더는 정보를 얻지 못하고 다시 고립되도록 도왔다”고 폭로했다.
숄티 대표는 “이명박·박근혜 대통령은 북한 인권에 대해 열정적으로 접근했지만, 문재인은 그간의 북한 인권에 대한 진전을 없앴다”며 “한국은 문재인 정부 당시인 2019-2022년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공동제안국에 참여하지 않고 북한 인권 문제를 외면했다”고 지적했다.
수잔 숄티 대표는 “문재인은 탈북어민을 강제 북송(北送)했다. 문재인 정부가 한국 헌법과 국제 조약상 의무들을 위반해 북한 난민들을 송환한 것에 큰 충격을 받았다”며 “문재인은 김정은의 독재 정치 유지에 더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닌가 싶었다. 저는 하나님(신)이 나중에 문재인 대통령을 심판할 것이라 믿는다”고 강력히 성토했다.
숄티 대표는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 주민들의 인권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으면 좋겠고, 한국인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북한 문제에 목소리를 냈으면 좋겠고, 남한에 사는 탈북민들은 북한 주민들에게 진실을 전달하기를 바란다”며 “북한이 붕괴되는 날은 머지 않았으니까”라고 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