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명수의 교회사 이야기1]
아무도 모르는 낯선 나라로 복음을 전하기 위해서 떠난다는 것은 두려운 일이다. 비록 주님을 위해서 목숨을 바치기로 작정한 사람들에게도 이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더군다나 통신수단도 교통수단도 발달하지 못한 옛날에는 이런 결단을 내린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이것은 한국을 선교지로 삼아 처음에 온 선교사들에게도 예외가 아니다. 감리교인 아펜셀라와 더불어서 1885년 4월 5일 한국에 처음 온 선교사는 장로교인 언더우드였다. 언더우드는 뉴 브른스윅 신학교에 다니면서 선교사로 가기로 작정하였다. 1882-1883년 겨울 동경의 명치학원에서 가르치고 있던 올트만스 박사(Dr. Albert Oltmans)가 뉴 브룬스윅에 와서 최근 서양각국과 새롭게 조약을 맺고 개항하기 시작하는 조선이라는 은둔의 나라에 대해서 이야기 해 주었다. 그는 1882년 슈펠트 제독의 계약체결을 통하여 문호가 개방되었으나 교회의 무관심 때문에 아무도 복음을 전하지 못하여 천이백만의 백성들이 복음을 듣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언더우드는 원래 인도로 선교사로 가기로 작정하였기 때문에 만나는 사람들에게 한국에 선교사로 갈 것을 권고하였다. 하지만 1년이 지나도록 한국에 선교사로 가겠다는 지원자는 나타나지 않았다. 뿐만이 아니라 교회 지도자들도 한국선교는 시기상조라고 하면서 머뭇거리고 있었다. 이러는 가운데 언더우드의 마음 속에 “왜 너는 못 가느냐?”는 생각이 떠 올랐다. 언더우드는 인도에 가겠다는 생각을 바꾸어 한국으로 선교사로 가기로 작정하고 자신이 속한 화란계 개혁교회 선교부에 한국선교사로 지원하였다. 하지만 선교부의 대답은 자금이 없다는 것이었다. 얼마후 다시 한 번 간청하였으나 대답은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그는 계획을 바꾸어 장로교 선교부에 선교사로 가게해달라고 두 차례나 지원을 하였다. 그러나 대답은 쓸데없는 일을 계획한다는 핀잔 뿐이었다.
이렇게 선교사로 가는 길이 막히자 언더우드는 마음을 다시 바꾸었다. 그는 원래의 계획대로 인도로 가려고 하였다. 그러던 중 뉴욕의 한 장로교회에서 목사로 청빙을 받았다. 오랜 생각끝에 그는 청빙을 수락하기로 작정하고 답장을 썼다. 청빙수락서를 우체통에 넣으려고 하는 순간, 그는 “한국에 갈 사람은 없느냐?, 한국은 어떻게 할 것이야?”하는 음성이 생생하게 들리는 것 같았다. 그는 보내려던 청빙서를 다시 주머니에 넣고 한국에 가는 길을 다시 한 번 모색하기로 작정하였다. 그리고 장로교본부의 선교사무실을 찾았다. 때마침 전에 한국선교를 부정적으로 말하던 총무는 보이지 않고, 새로운 사람을 만나게 되었다. 그가 바로 엘린우드박사(Dr. F. F. Ellinwood)였다. 그는 언더우드의 이야기를 듣고 나서 자신도 한국선교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얼마 후에 언더우드는 엘린우드로 부터 회신을 받았는데 다음 본부회의 때 언더우드가 한국선교사로 임명될 것이라는 것이었다.
1884년 7월 28일 장로교선교본부는 언더우드를 한국최초의 선교목사로 임명하였다. 언더우드는 그해 12월 샌 프란시스코를 떠나 일본에 도착했다. 일본에서 언더우드는 한국선교의 전망을 살피면서 한국인 이수정을 만나 한국말을 배우기 시작했다. 얼마 후 언더우드는 한국에서 병원 부속학교에서 교사로 일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고 한국에 입국하였다. 이것이 1885년 4월 5일 부활절이었다. 한국의 선교는 이렇게 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우리는 종종 다른 사람에게 헌신의 삶을 살으라고 요구한다. 하지만 하나님은 우리에게 “왜 너는 못하느냐?”고 말씀하신다. 위대한 신앙의 역사는 이런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사람을 통해서 나타난다. “왜 너는 못하느냐?”
박명수 교수(서울신학대학교, 부설 성결교회역사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