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태흔 칼럼] 중국옷 입은 테일러에게 동료들은…

이대웅 기자  dwlee@chtoday.co.kr   |  

중국 내지선교사 허드슨 테일러

▲ 송태흔 목사(엘림코뮤니오).

▲ 송태흔 목사(엘림코뮤니오).

중국 내지선교사 허드슨 테일러(Hudson Taylor)는 1832년 5월 21일 영국 요크셔 반즐리의 경건한 감리교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반즐리를 본부로 한 순회설교단 소속 탁월한 설교자였다. 허드슨은 어릴 때부터 아버지를 방문한 각지 목회자들이 자신의 집 응접실에서 중국 선교에 대해 대화하는 것을 들었다. 어린 허드슨은 어른들의 중국 선교 이야기에 귀를 기울였고, 자신도 때가 되면 훌륭한 중국 선교사가 되겠다고 다짐하곤 했다. 17세의 청년이 된 허드슨은 소책자를 읽다 감동을 받고, 어릴 때부터 가슴에 품어 온 중국 선교사의 꿈을 구체적으로 그리기 시작했다.

허드슨은 18세쯤 반즐리에 있는 회중교회 어떤 목사가 빌려 준 메드허스트의 <중국>이라는 책을 접했다. 그는 책을 통해 중국 선교를 위해선 무엇보다 의학을 공부하는 게 좋겠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는 즉시 헐에 사는 친척인 의사 하디 박사를 찾아가 그의 조수가 돼 본격적으로 의학을 공부하였다. 그는 아주 형편없는 집에 세들어 살면서도 모든 수입의 3분의 2를 가난한 이웃을 위해 사용했다. 점심은 빵과 사과로 때우면서도 ‘없이도 잘 지낼 수 있는지 한번 시험해보라’는 아버지의 유훈을 성도로서 실천했다.

1853년 9월, 그의 나이 21세에 허드슨은 항구에 마중 나와 기도하는 어머니를 바라보며 중국으로 가는 배에 올랐다. 1854년 이른 봄, 상해에 도착한 그는 중국 복음화선교회에 가입하고 공식적인 선교사 사역을 시작했다. 그때 중국은 태평천국의 난과 홍건적의 침입이 절정에 이르러 사회·정치적으로 매우 혼란스럽고 어려울 때였다. 총탄이 귓가로 날아오거나, 대포알이 집 근처에 떨어지는 경험은 다반사였다. 선교사 허드슨은 그런 가운데서도 무모할 정도의 담대함을 보였다. 오직 성경만을 손에 들고, 위험한 상해 전역을 돌며 10회 이상이나 전도여행을 감행했던 것이다.

상해지역 전도여행 중, 그는 신실한 부흥사 윌리암 번스와 행복한 만남을 갖게 됐다. 번스는 박학다식한 사람이며, 훌륭한 인격을 지닌 목회자였다. 번스는 허드슨의 영적인 아버지로 수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약 7개월간 중국 선교사로 동역했다. 이들은 험악한 날씨와 낯선 환경, 그리고 외국인에 대한 편견과 오해, 강도의 위협 속에서도 예수만을 전하고 다녔다. 위기가 올 때마다 허드슨은 동역자 번스와 함께 기도했고, 같이 울었다.

젊고 순수했던 허드슨의 눈에 비친 당시 중국 선교사 대부분은 필요 이상으로 물질적 낭비가 심했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고 있었다. 허드슨은 그러한 선교사들을 멀리 떠나 한적한 곳에서 중국 현지인들과 어울렸다. 당시 중국인들 문화인 변발을 하고, 중국 옷을 일부러 입고 생활했다. 동료 선교사들은 기이한 선교사 허드슨을 시기해 공격을 가하면서, 젊은이의 객기라며 비웃었다. 그러나 번즈는 테일러의 생각과 행동이 옳다고 여기고 자신도 변발과 중국 옷을 같이 입고 선교했다.

1860년 선교사 허드슨은 더욱 깊은 의학 지식을 터득하기 위해 장기 휴가를 얻어 영국에 들어갔다. 그 때 허드슨은 중국인 조수를 데려가 닝포 신약전서의 개역판을 만들었고, 중국 내지선교회를 설립했다. 중국 내지선교회를 위한 규정에는 중국에서의 선교 경험과 그의 강직한 성격이 그대로 반영돼 있다.

쓸데없는 간섭을 피하기 위해 교단을 탈퇴하며, 경험이 별로 없는 노동자 계급 출신들을 선발해 직원으로 썼다. 오직 하나님께만 매달리는 재정의 운영원칙을 세워 사람들에게 헌금을 호소하거나 인간적인 도움을 요구하는 것을 엄격히 금했다. 다른 단체와의 경쟁은 절대로 금했으며, 효율적인 현지 사역을 위해 선교본부는 영국이 아닌 중국 본토에 두기로 명문화했다.

위와 같은 선교회 원칙에 따라 중국 내지선교회는 중국 땅에서 1865년 정식으로 출범했다. 허름한 건물에서 시작한 교회의 교인 수는 이후 1년도 되지 않았던 1866년 크리스마스 무렵 이미 60명을 넘기는 기적을 낳았다. 그가 세운 병원에는 환자들이 하루 200명씩 몰려들었다. 시간이 흐르자 그가 세운 교회 성도 수는 1500명을 넘어섰다. 이후에도 수많은 영혼들이 병원과 교회로 몰려들어 엄청난 부흥을 경험했다.

그러나 선교사 허드슨에게도 어려움이 닥쳐왔다. 양조우 사건을 오해해 중국에서 일하던 선교사들에게 비난의 화살이 가해졌기 때문이다. 외국 선교사들이 대포와 총검으로 중국인들에게 기독교 신봉을 강요했고, 견디다 못한 현지 중국인들이 들고 일어나자 선교사들이 영국 함대에 보호를 요청하면서 중국과 영국이 전쟁 일보 직전에 와 있다는 소문을 중국 매스컴이 퍼트렸던 것이다.

테일러 일행은 비난의 대상이 될 만한 어떠한 행동도 한 적이 없었는데, 이로 인해 몇몇 후원자들의 지원까지 줄어들어 선교부 재정은 심각할 정도로 위기에 봉착했다. 그러나 오직 하나님만을 신뢰하기로 작정하고 나선 중국 선교사 허드슨은 오직 기도로 모든 문제를 원만히 해결했다. 1904년 6월 1일 허드슨은 72세의 나이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고, 시신은 중국 전장에 있는 가족묘지에 안장됐다.

사람을 바라보지 않고 오직 하나님의 능력만을 신뢰한 선교사 허드슨 테일러가 오늘 아침 유난히 그리워진다. 얼마 되지 않는 사람의 경험과 지식으로 매사를 해결하려 덤비는 현대 사회와 교회에 그의 신실한 삶은 귀중한 메시지를 던져주고 있다. 하나님의 방법으로, 성경에 나와 있는 방법으로만 사역할 때 우리는 참된 승리를 경험할 수 있다. 19세기 복음의 불모지 중국 땅에서 교파를 초월해 일한 허드슨의 선교 사역은 오늘 우리들에게 그대로 반추되고 있다.

[송태흔 목사의 <시사교회사> 지난 연재 바로 가기]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및 단일화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위기다. 대외…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대 촉구를 표명했다. 이들은 “김문수는 단순한 정치인이 아니다. 그는 노동자의 땀을 기억하는 정치인이다. …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사의 내한 이후 1985년까지 100년간 내한한 선교사 총 수는 약 3천여 명으로 파악된다(기독교역사연구소 조사). 내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