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종(Obedience)이란 나를 보호하고 있는 사람들의 지시에 좋은 태도로 즉시 따르는 것입니다.”(좋은나무성품학교 정의)
“한국에서 온 아이들은 선생님의 지시에 순응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교실 밖으로 나가자고 하면 가장 늦게 나오고, 교실 안으로 들어가자고 하면 가장 늦게 들어갑니다. 이것이 한국 국민의 국민성 때문입니까?”
오랜 세월동안 교육현장에서 느낀 소감이라며 말씀하시는 미국 교장선생님의 질문에 저는 부끄러운 마음을 애써 감추면서 그것은 국민성이 아니고 가정교육의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사실 문제는 한국 가정교육의 문제가 한국 사람들의 국민성으로 이어진다는 데에 있습니다. 어른들의 지시에 순응하지 않도록 방치하는 한국 부모들의 양육 태도는 사회곳곳에서 지켜야 할 약속이나 질서, 법 들을 무시하는 어른으로 자라게 하는 원인이 됩니다.
한국의 부모들은 성품보다는 성취를 중요시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사고방식이 버릇없는 다음 세대를 양육하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학교에서 엎드려 잠만 자고 있는 아이에게 교사가 주의를 주었더니 부모가 전화해서 “애가 학원 숙제하느라고 잠을 못 자서 피곤해 그러니 내버려 두라”고 말하는 것을 들어야 하는 현실입니다. 태도는 어떻든지 성과만 나오면 된다고 생각하는 한국 부모의 양육 태도가 다음 세대의 국민성을 부끄럽게 만들고 있습니다.
◈순종의 성품 가르치기
지금부터라도 이렇게 가르칩시다.
좋은 성품은 “나를 보호하고 있는 사람들의 지시에 좋은 태도로 기쁘게 따르는 것”이라고 말입니다. 이것이 바로 순종의 성품입니다. 순종의 성품을 소유한 사람은 나를 보호하고 있는 사람들이 누구인지 압니다.
그들의 현명한 지시를 즉각적으로 기쁘고 완벽하게 따르는 것이 결국 나를 보호하고 행복하게 해주는 것이라는 원리를 깨닫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이 속한 환경 속의 약속과 질서를 알아 순응하는 태도는, 훗날 자신의 인생을 거스르지 않는 행복한 시민으로 자라게 하는 원동력이 됩니다.
국제화 시대에 부끄럽지 않은 세계인으로 키우기 위한, 자녀 양육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할 때입니다. 귀한 자녀일수록 자녀가 하고 싶은 대로 내버려 두는 부모가 아니라 좋은 성품으로 그들의 생각과 감정과 행동을 변화시켜 나가는 ‘성품 이노베이션’을 시작해야 합니다.
자신을 보호하고 있는 사람들의 지시에 즉시 “YES!” 하는 법을 가르치십시오. 성품 좋은 사람들의 특징은 인간관계의 갈등을 잘 해결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입니다. 자신의 의견과 다를 때 어떻게 그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지 창의적인 문제 해결 방법을 가르치십시오.
바로 “YES 법칙”입니다. “YES 법칙”에서 Y는 지시에 즉시 YES하는 것입니다. E는 Earnest, 그리고 한번 진지하게 생각해 봅니다. S는 Suggestion, 내 생각과 다를 때 예의 바른 태도로 제안합니다.
“YES 법칙”의 효과는 정말 대단합니다. 우리 자녀들이 어리기 때문에 이 법칙을 이해하지 못할 것 같습니까? 실제 가르쳐 본 부모님들의 놀라운 사례가 좋은나무성품학교 홈페이지에 가득 차 있습니다.
◈“YES 법칙” 유아기 때부터
그 중 좋은나무성품학교 수원밀알유치원에서 올라온 일곱 살 유예린 어린이의 이야기가 기억에 남습니다. 매일 아침마다 엄마와 학교에 입고 갈 옷 때문에 서로 실랑이를 하던 예린이가 성품학교에서 순종의 성품을 배운 후, 어느 날 엄마가 선택해준 옷을 보더니 순순히 “네!”하고 밝은 목소리로 대답을 했습니다.
순간 엄마는 ‘아, 순종의 성품을 배워서인가보다’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씻고 나온 예린이가 예의 바른 태도로 “엄마, 그런데요. 저 오늘은 다른 옷 입으면 안 될까요?”라고 정중하게 묻더라는 것입니다. 그 모습이 얼마나 예쁜지 엄마도 기쁜 마음으로 아이가 선택한 옷으로 바꾸어 입혀 주었고 즐거운 마음으로 유치원으로 향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자신의 뜻을 정중하게 표현하면서도 관계를 깨뜨리지 않는 세련됨은 YES 법칙이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나를 보호하고 있는 사람들의 지시에 즉각적으로 YES! 그리고 조금 쉬고 생각해본 다음 예의 바른 태도로 자신의 생각을 말하게 하는 훈련입니다.
부모가 좋은 성품으로 자녀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모본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성품은 말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모델이 있어야 배울 수 있습니다. 부모가 먼저 YES 법칙을 사용해 보십시오. 부모의 성품은 자녀에게 거울이 됩니다.
세계가 하나로 점점 좁혀지고 있는 이 시점에서 부모가 성공하는 다음 세대를 양육하기 위해서는 성취와 성과를 강조하던 눈높이를 바꾸어야 합니다. 풍성한 인간관계 속에서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성품 좋은 지도자가 세상을 바꾼다는 것을 꼭 기억하십시오.
프로필
사단법인 한국성품협회 좋은나무성품학교 대표
KBS 생방송 오늘, 행복한 교실, 교육을 말합시다
MBC TV 특강, 꾸러기 식사교실, 해피해피 라디오
SBS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 EBS 60분 부모, 라디오멘토 부모 출연
조선일보 부모성품코칭 칼럼니스트
청와대, 교육청, 학교 명사초청 강연
국가보훈처,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산하 성품교육 세미나 주강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 박사학위 취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과 겸임교수 역임
잠실, 수원 밀알유치원 설립 (1986~현재)
유럽, 중국 Kosta 강사
저서
한국형 12성품교육론 | (도) 좋은나무성품학교. 2011
유아, 유치, 초등, 청소년 성품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 | (도) 좋은나무성품학교. 2005~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성품’ | 두란노. 2007
성품 좋은 아이로 키우는 자녀훈계법 | 두란노. 2008
성품 좋은 아이로 키우는 부모의 말 한 마디 | 예담프랜즈. 2009
창의로운 인성을 키우는 성품 이야기-행복을 만드는 성품 | 두란노. 2010
성품양육바이블 | 물푸레. 2010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