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상화폐 광풍에 정부 규제 논란으로 연일 가상화폐에 대한 관심이 식지 않고 있다.
가상화폐 또는 암호화폐, 디지털화폐란, 금과 같이 교환가치 또는 가치 저장 기능을 지닌 일종의 자산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역사적으로 화폐는 오직 정부에 의해서만 만들어져왔으며,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창시자 또는 제작자는 국가의 화폐 통제와 관리 감독에서 벗어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상화폐는 누구나 채굴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이라는 개인 고유의 지갑 제도를 기반으로 거래된다. 블록체인은 투명성과 보안성을 보장하는 기술로 알려져있다.
가상화폐는 크게 '가상화폐 온라인 거래'와 '채굴' 등의 두 가지 방법을 통해 구입할 수 있다. 가상화폐 거래 방식은 우리가 알고 있는 주식 구매방식과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앞서 말한대로 빗썸(Bithumb), 코빗(Korbit), 코인원(Coinone) 등 가상화폐 거래소를 통해 지갑을 생성하고 일정 비용과 수수료를 지급한 뒤 매수, 매도 물량과 금액을 입력한 후 구입하거나 개인 간 거래를 통해 가상화폐를 송금 받는 형태로 구입 가능하다.
가상화폐 채굴 방식은 광산에서 금이나 석탄을 채굴하는 것에 빗대어 말한 것으로, 가상화폐 투자자가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공되는 복잡한 방식의 수학적 문제를 풀게 되면서 비트코인 1개가 생성되는 형태로 소유할 수 있다.
구체적 채굴 원리는 매 10분마다 생성되는 알고리즘을 풀어 얻게 되며 이는 마치 게임과 같은 원리로 64자리수의 암호 중 앞 19자리(무작위 값)를 맞히면 비트코인이 발행된다. 통상적으로 1문제를 풀기 위해선 1개의 컴퓨터가 쉬지 않고 5년간 돌아가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현재 1문제당 12.5 비트코인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한편, 현재 가상화폐 시장이 과열되면서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규제가 없고 익명성이 담보되기 때문에 범죄에도 악용될 수 있다. 이에 지난 11일 법무부는 최근 광풍이 불어닥친 가상화폐 거래에 대해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하는 법안을 준비 중"이라고 밝혀 가상화폐 투자자들로부터 반발이 거세다. 반면, 기재부 관계자는 "아직 정부 내에 통일된 입장이 있는 것이 아니고 더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히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