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왜 예루살렘을 떠나지 말라고 하셨을까?

|  

[키에르케고어를 만나다] 죽음

▲이창우 목사. ⓒ크리스천투데이 DB

▲이창우 목사. ⓒ크리스천투데이 DB

예루살렘에 있었던 일들을 간단히 소개함으로써 출발해 보자. 부활하신 주님은 제자들에게 자주 나타나셨다. 일시에 500명의 제자들에게 나타나시기도 하였다(고전 15:6).

주님은 부활하시고 승천하시기까지 40일간을 지상의 제자들과 함께 교제하며 가르치셨다(행 1:3). 그는 "예루살렘을 떠나지 말고 내게서 들은 바 아버지께서 약속하신 것을 기다리라"고 하셨다. 약속하신 것은 무엇일까?

"보아라, 나는 내 아버지께서 약속하신 것을 너희에게 보낸다. 그러므로 너희는 위로부터 능력을 입을 때까지, 이 성에 머물러 있어라(눅 24:49)."

그러나 이 말씀은 제자들에게 순종하기 어려운 명령이었다. 예루살렘은 유쾌한 기억이 머무는 장소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바로 이 장소는 그들의 모든 비겁함과 무기력한 자신을 완전히 드러낸 장소였다. 이곳은 굴욕, 패배, 절망, 상처와 한의 장소였다! 그런데 이곳에서 기다리고 있으라니!

닭 울기 전에 주님을 세 번씩이나 모른다고 부인했던 베드로의 그 모습으로 있으라니! 그 자리에서 떠나지 말고, 의로우신 주님이 무력하게 죽어가는 그 처참한 패배의 기억을 떨쳐내지 말고 그대로 간직한 채 예루살렘에 남이 있으라니!

그것은 그 몸서리치던 수치와 패배, 낙담, 절망을 간직해야만 성령강림에 대한 기대를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들의 모든 인간적인 성공과 모든 야망은 주님의 십자가와 함께 완전히 못박혀야 했다.

주님께서 십자가에 달려 죽으실 때, 제자들의 꿈도 완전히 산산조각 났다. 주님이 십자가에 달려 죽으실 때, 그들의 믿음은 박살나야 했다. 주님이 죽으실 때, 그들의 소망은 절망이 되어야 했다. 주님이 죽으실 때, 그들의 사랑은 수치가 되어야 했다.

그렇다면 주님이 약속하신 것을 기다리라고 한 의미는 무엇인가? 아마도 다음을 의미했을 것이다.

"여러분은 실패한 그 자리, 인간성이 적나라하게 노출된 그 자리에 한 발짝도 물러서지 말고, 부릅뜬 눈으로 여러분의 바닥난 인간성을 응시해야 합니다. 그래서 여러분이 완전히 세상에 대하여 죽고 이기심에 대하여 죽을 때까지 예루살렘을 떠나지 말고 기다려야 합니다. 그때, 비로소 여러분은 부활의 증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제자들은 모든 이기심과 세상적인 야망에 대하여 완전히 죽어야 했다. 그들에게는 이제 어떤 믿음도 소망도 사랑도 없었다. 그들의 믿음은 진정한 믿음이 아님이 증명되었다. 그들의 소망 역시 참 소망이 아님이 드러났다. 주님께 고백했던 사랑은 위험 앞에 허무하게 무너져 내렸다. 그들 안에는 어떤 능력도 없다. 이제 모든 동력은 끊어졌다. 그런데 위로부터 오는 능력이 올 때까지 기다리라니!

그들이 세상의 모든 동력이 끊어졌을 때, 주님께서 약속하신 것은 성령이었다. 사도행전 2장에 보면 성령 강림 사건이 있다. 성령의 오심은 결국 그들의 "영적 죽음" 후의 사건이었다. 주님께서 십자가에 달리실 때, 그들 역시 자신들을 사로잡고 있었던 "시대정신"을 십자가에 못 박은 것은 아닌가?

따라서 우리에게도 역시 십자가 사건은 두 번 필요하다. 첫 번째는 '수동적으로' 십자가에 못 박히는 사건이다.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산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신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자신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갈 2:20)." 이 말씀처럼, 우리가 십자가에 못 박히지 않는 한, 그리스도 안에 살 수 없다.

두 번째로 '능동적으로' 우리 자신을 십자가에 못 박는 사건이 필요하다.

"그리스도 예수의 사람들은 육체와 함께 그 정욕과 탐심을 십자가에 못 박았으니라(갈 5:24)."

이때만 성령은 오시고 우리에게 역사하실 것이다. 얼마나 소름끼치는가! 성령이 일하시기 위해서는 우리가 먼저 죽어야 한다니! 사람들은 기독교가 부드러운 위로지 그렇게 사람들에게 겁박하는 종교가 아니라고 말한다. 물론, 기독교가 부드러운 위로라는 것을 부정하지 않는다. 단, 당신이 먼저 죽는다면야.

죽음 다음에 오는 생명은 새로운 생명, 곧 새 생명이다(롬 6:4). 문자 그대로 새로운 생명이다. 따라서 이 생명은 단순한 수명의 연장이 아니다. 이 새 생명이 오기 전에 죽음이 사이에 온다. 당신은 죽어야 한다. 생명을 주는 영은 당신을 죽이는 자다.

기독교를 망령되이 일컫지 않기 위해서는 이 죽음이 필요하다. 이 축제를 생각해보라. 오순절에 성령은 강림했다. 교회는 생명을 주는 성령이 사도들에 의해 전달되었기에 생겨났다.

어쨌든, 죽음이 먼저다. 이 죽음은 몸의 죽음이 아니다. 당신의 이기심에 대하여 죽는 것, 곧 세상에 대하여 죽는 것이다. 당신은 먼저 이 세상의 소망에 대하여, 모든 인간적 확신에 대하여 죽어야 한다. 왜냐하면 세상이 당신을 지배할 수 있는 것은 오직 당신의 이기심을 통해서만 가능하니까.

당신이 이기심에 대하여 죽는다면, 곧 세상에 대하여 죽는 것이다. 그때 당신은 세상을 이긴다. 세상은 이기심에 대하 죽은 자를 지배할 수 없으니까. 바로 이것이 믿는 자가 세상을 이기는 방식이다.

"무릇 하나님께로부터 난 자마다 세상을 이기느니라. 세상을 이기는 승리는 이것이니, 우리의 믿음이니라.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믿는 자가 아니면 세상을 이기는 자가 누구냐(요일 5:4-5)."

이창우 목사(키에르케고어 <스스로 판단하라> 역자, <창조의 선물> 저자)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2024 기독 출판 도서 신간

“개별 약진 있지만, 전체 판 바꿀 작가와 시도는 아직…”

박영선, 루이스, 팀 켈러 등 스테디셀러 베스트 상위권에 10위 내 신간 과반수 고무적 기독 출판인들과 함께 2024년 기독 출판계 주요 키워드들을 돌아보고, 2025년 트렌드를 예측했다. 출판인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지나간 2024년과 다가올 2025년 주요 키워드는 △…

헌법재판소

보수 기독교계 “탄핵심리 계속하면 무서운 시민 저항 일어날 것”

보수 기독교 단체들이 13일 “헌재는 탄핵심리를 당장 기각하라”는 제목의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대한민국기독교연합기관협의회, (사)한국기독교보수교단총연합회, (사)한국기독교총연합회, (사)전국17개광역시도·226개시군구 기독교총연합회 및 전국기…

윤석열 구속영장 서부지법

“서부지법 사태, ‘토끼몰이 수사’이자 검경의 국가 폭력”

토끼몰이 과잉수사 진상조사위원회(위원장 권용태 목사, 이하 조사위)가 13일 경찰과 검찰의 과잉수사에 대한 강력 항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조사위는 이 성명에서 “서부지법 폭력 사태를 빌미로 경찰과 검찰이 단순 참가자들을 ‘법원침입 폭도집단’으로 둔갑…

탁영철

“교회, 일 시키려는 목적으로 ‘싱글’에 다가가면 안 돼”

“싱글 미니스트리가 가장 잘 정착돼 있고, 이로 인해 교회의 중흥기를 맞는 나라가 있습니다. 바로 미국입니다. 1970년대 후반 존 트라볼타가 무대에서 춤을 추고 있는 동안(뮤지컬 영화 ), 미국교회는 골머리를 앓았습니다. 이혼율은 증가하고, 경력을 중시하는 …

언더우드 아펜젤러

합동·통합·기감, 선교 140주년 연합대회 어떻게 준비하나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통합과 기독교대한감리회가 함께 한국 기독교 선교 140주년을 기념하는 연합대회를 오는 4월 3일 서울 새문안교회에서 개최한다. 각 교단의 행정 및 선교 책임자들로 구성된 준비위원회는 지난 1월 8일(수)과 2월 4일(화), 각각 예장 통합과 …

조나단 웡

홍콩 목회자 “한국교회, 우릴 보고 사명 일깨우길”

2020년 국가보안법 제정 이후 부당함 맞서던 시위 강제 중단 자유와 인권, 복음 수호 위해 단결해 기도와 실천 대응해야 자유와 민주주의를 잃은 홍콩의 조나단 웡 목사가 공산권과 싸우는 한국교회를 향해 미국에 있는 정윤명 글로벌국제선교회 창립자 겸 회장…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