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진의 기호와 해석] 렘브란트, ‘돌아온 탕자’
우리에게 낯설지 않은 이 그림은 낯익은 만큼이나 선입견에 지배당하기 십상인 작품이다. 그냥 모던해 보이기 때문이다.
집 나간 아들이 돌아와 아버지 품에 안기는 광경은 너무나 평이한 주제가 아니던가.
하지만 그런 편견을 박살내는 작품 중 하나가 바로 이 렘브란트의 <돌아온 탕자>이다. 이 그림은 성경에서의 원 이야기를 압도한다. 그 어떤 주석가보다 본질을 꿰뚫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이 그림에는 잘 알려진 코드 몇 개가 있다.
첫째, 바로크 시대의 거장 렘브란트는 빛의 화가이다. 어두운 배경에서 빛을 통해 중요한 것들을 배열하는 화풍을 구사한다. 이 그림에서 아버지의 얼굴은 그 빛의 진원지이다.
두 번째는 아버지의 손이다. 분석가들은 아버지의 양 손이 다르게 생겼다는 것에 주목한다. 왼손은 가늘고 길다. 반면 오른손은 넓적하고 커 보인다.
그래서 왼쪽 손은 여성성이고, 오른쪽 손은 남성성이라는 도식적인 분할을 가한 다음, 하나는 섬세한 사랑을, 다른 하나는 넓은 사랑을…, 이런 식의 적용을 한다.
그리고 세 번째, 탕자의 형이다. 어디를 봐서 탕자의 형인 줄 알까. 아버지의 빛에서 곧바로 반사되는 빛은 다른 엑스트라와는 달리, 그가 장자임을 지목한다. 아버지의 얼굴에서 빛을 받고 있으며, 같은 색, 같은 스타일의 유대인 복장, 특히 이렇게 옷이 길다는 것은 상속자임을 의미한다.
통상 일꾼의 옷은 소매와 옷자락이 짧다. 일을 해야 하니까. 이를테면 창세기에서 요셉의 옷은 채색 옷이었다고 기록하는데, 그 채색 옷이란 말은 이렇게 긴 옷이란 뜻을 포함한다.
한 마디로 요셉은 상속자였던 셈이다. 그것이 형제로 하여금 모함의 원인이 되었다. 여기서는 형이 그 긴 채색 옷을 입고 있다. 눈살을 찌푸리고서.
그리고 말이 없다. 이 그림 속 장자는 원래 본문과 달리 말이 없다. 이것이 네 번째 특징이며, 이제 우리가 세밀하게 살펴야 할 핵심 도상이다.
누가복음에서 탕자의 형은 뭐라 뭐라 말이 많았는데, 이 그림 속 장자는 말이 없는 것이다.
“내가 여러 해 아버지를 섬겨 명을 어김이 없거늘 내게는 염소 새끼라도 주어 즐기게 하신 일이 없더니 아버지 살림을 창녀들과 함께 삼켜 버린 아들이 돌아오매 이를 위해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나이다”.
누가만이 기록하고 있는 이 유명한 이야기의 전통적 이해에 따르면, 유대교 이스라엘과 이방인 사이에서 하나님 아버지의 입장을 표명한다는 것이 1차적인 대전제이다.
이방인은 어차피 내쳐진 종자들인데 그들을 구원하신다 하니, 가당치 않은 그 가르침에 분개하는 전통 유대인의 심정이 드러나 있고, 또 그것을 지적하는 비유인 셈이다.
그런데 본문에서 아버지는 큰 아들에게 이렇게 말한다.
“얘, 너는 항상 나와 함께 있으니 내 것이 다 네 것이다.”
이것은 마치 모든 재산을 몽땅 큰 아들에게 준다는 뜻으로 오해하지만, 유대인에게는 ‘장자의 분깃’이라는 개념이 있다.
‘분깃’은 재산 실물을 표현한 말로서, ‘장자의 분깃’은 통상 그 두 배를 말한다. 아버지가 재산 상속을 받을 자격이 있는 성원들에게 분배를 하면서, ‘장자’에게는 두 배를 줬던 것이다. 그러면 그 두 배를 언제 받느냐.
아버지가 죽어야 받을 수 있다.
그러니까 장자의 분깃이란 그에게 돌아오기로 되어 있는 아버지의 몫을 말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자기 몫을 미리 챙겨나간 둘째 아들은 극악무도한 죄는 아니다.
단지 장자가 보기에 참 싸가지가 없었을 따름이다. 그런 장자의 심정이 성서와 같은 구어체는 아니지만, 이 그림에서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잘 묘사되어 있다.
그의 손을 주목해 보시기 바란다.
아버지의 양손이 각기의 다른 손으로 보이는 것처럼, 이 아들의 양손도 다르다. 한 손은 어둡고, 한 손은 밝다. 어두운 오른손이 왼쪽의 밝은 손을 짓누르고 있다.
이것이 아버지의 활짝 반기는 양손과 대조를 이룬다. 아버지의 얼굴에서 빛은 받았지만, 자신의 그 빛나는 손을 짓누르는 어두운 손(그 이중의 손)을 통해, 내면의 복잡한 심정을 대변하는 것이다.
다섯 번째, 이와 같은 왼쪽과 오른쪽의 대비가 이제 동생 탕자의 오른쪽과 왼쪽에 대한 대비로 이어진다.
동생의 왼쪽 발은 신이 벗겨져 있다. 발이 완전히 나와 있다. 정말로 남루하기 이를 데 없는 발로서, 그의 비참했던 상황을 그대로 반영한다.
그렇지만 오른발은 신을 신고 있다. 어찌하여 왼발만 신을 벗고 있는 것일까? 우연일까?
결코 우연이 아니다.
지금까지 이 그림의 주된 구조가 왼쪽과 오른쪽의 대조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에서 알 수 있듯, 이 동생의 오른발에 신이 신겨져 있는 어색함은 다름 아닌 그의 오른편 허리춤에 차고 있는 작은 칼과 관계를 이룬다.
이 칼은 왜 차고 왔을까. 집안에 누구 죽일 사람이 있었을까? 아니면 오랜 세월 험한 야생 생활 탓에 호신용인가?
이 칼은 그런 칼이 아니다. 이 칼은 바로 신분을 표지한다. 자신의 처참한 환경 속에서, 집에서 가지고 나간 그 모든 것을 다 팔아먹었지만, 이 작은 칼만큼은 팔 수 없었던 그의 마지막 남은 자신의 표지!
그것은 바로 아버지의 아들이라는 표식이었던 것이다.
최후의 순간까지도 이 작은 검 하나만은 팔아먹지 않고 지키고 있었던 것.
이것이 아버지가 둘째 아들을 환대한 진정한 이유일 것이다.
그리하여 탕자의 오른쪽 발의 신은 신과 더불어 그의 정신을 표지한다.
여섯 번째,
이에 반해 형의 발은 한쪽이 보이질 않는다. 형의 왼발에는 동생의 벗겨진 발과는 달리 질 좋은 가죽으로 된 신이 신겨져 있는게 보이지만, 도대체 오른발은 어디 가 있는지 보이지를 않는다. 그 오른발을 대신하여 지팡이가 있을 뿐.
따라서 이 도상은 전체적으로, 두 아들을 통해 아버지에 대한 두 종류의 태도를 담고 있다.
하나는 ‘장자의 분깃’(두배)을 받은 큰 아들.
이 아들은 ‘아버지가 죽기만을 기다리는 아들’이다. (아버지와의 막연한 동거 속에 감추어져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돌아온 둘째 아들’.
이 아들은 ‘최후의 순간까지도 자기 신분을 표지하는 그 작은 칼 하나만큼은 끝끝내 팔아먹지 않음으로써, 아버지의 아들임을 지켜낸 아들’이다.
그런 두 아들에 대한 표상인 것이다.
해설 참조: https://youtu.be/btdNbph88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