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동운의 경제와 기독교: 소유] ‘큰 부자’ 야곱 이야기

|  

▲박동운 단국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박동운 단국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성경에서 야곱 이야기를 읽을 때마다 나는 두 가지 질문을 갖곤 한다. 하나는, 만일 야곱이 큰 부자가 아니었다면 이스라엘 민족 12지파는 태어날 수 있었을까? 또 하나는, 야곱은 어떻게 큰 부자가 되었을까?

야곱은 얼마나 큰 부자였을까? 아버지까지 속여 장자권(長子權)을 빼앗아갔다며 야곱을 죽이겠다고 벼르던 형 에서를 피해 멀고먼 하란으로 피신할 때 야곱은 가진 것이라고는 지팡이 하나뿐이었다.(창32:10) 그러한 야곱이, 처가살이 14년을 마치고 자기 살림을 챙긴 지 6년 만에 "가축 떼뿐만 아니라 남종과 여종, 낙타와 나귀도 많이 가진 큰 부자가 되어 있었다."(창30:43) 야곱이 얼마나 큰 부자였는가는 그가 처가살이를 마감하고 고향으로 돌아올 때 거느린 가축 떼 규모가 말해준다.

귀향길에서 형 에서를 피해갈 수 없었던 야곱은 형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형에게 줄 선물을 골라냈다. 이는 "암염소 이백 마리와 숫염소 스무 마리, 암양 이백 마리와 숫양 스무 마리, 젖을 빨리는 낙타 서른 마리와 거기에 딸린 새끼들, 암소 마흔 마리와 황소 열 마리, 암나귀 스무 마리와 새끼나귀 열 마리였다."(창32:14-15) 야곱은 형이 해코지라도 할까 봐 지레 겁을 잔뜩 먹고 있다가 형을 만나자마자 "형님께 은혜를 입고 싶어서 가지고 온 것"이라며 형이 선물을 받아줄 것을 간곡히 권했다. 에서가 동생의 선물을 받았다.

야곱은 형에게 준 선물 외에 구체적으로 열거되지는 않았지만 자신의 몫인 둘째와 셋째 가축 떼가 있었다.(창32:19) 둘째와 셋째 가축 떼는 각각 첫째 가축 떼보다는 그 규모가 작지 않았을 것이다. 요즘 계산으로도 엄청난 규모의 가축 떼다. 야곱은 자기 아버지가 몸붙여 살던 가나안 땅에서 살았다.(창37:1)

야곱은 어떻게 큰 부자가 되었을까? 야곱은 열한째 아들 요셉을 낳고, 처가살이 14년이 끝나자 고향으로 돌아가겠다고 장인 라반에게 말했다. 야곱이 14년 동안 살림을 관리해주어 라반은 큰 부자가 되어 있었다. 야곱이 라반을 위해 정직하게, 열심히 일했기 때문이다. 그러한 야곱을 라반은 계속 붙잡아두고 싶었다. 라반이 야곱에게 원하는 조건을 물었다.

라반: "자네의 품삯은 자네가 정하게. 정하는 그대로 주겠네."(창30:28)
야곱: "오늘, 제가 장인어른의 가축 떼 사이로 두루 다니면서 모든 양 떼에서 얼룩진 것들과 점이 있는 것들과 모든 검은 새끼 양들을 가려내고, 염소 떼에서도 점이 있는 것들과 얼룩진 것들을 가려낼 터이니 그것들을 저에게 삯으로 주십시오."(창:30:32)

라반이 받아들였다. 야곱은 '껍질 벗긴 나뭇가지를 물 먹이는 구유 안에 똑바로 세워두고 양들이 물먹으러 와서 교미할 때 볼 수 있게 하여' 줄무늬가 있거나 얼룩이 지거나 점이 있는 양들을 많이 낳게 했다. 이렇게 하여 하란으로 갈 때는 지팡이 하나뿐이었던 야곱은 처가살이 14년 후 자기 살림을 챙긴 지 6년 만에 "가축 떼뿐만 아니라 남종과 여종, 낙타와 나귀도 많이 가진 큰 부자가 되었다."

그런데 야곱이 이처럼 짧은 기간에 '큰 부자'가 될 수 있었던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 야곱이 장인의 집에서 20년을 보낸 후 고향으로 돌아가려고 밤봇짐을 싸서 도망치다가 삼 일 만에 붙잡히고 말았다. 그 때 야곱이 장인에게 따졌다.

야곱: "제가 무려 스무 해를 장인어른과 함께 지냈습니다. 그 동안 장인어른의 양 떼와 염소 떼가 한 번도 낙태한 일이 없고, 제가 장인어른의 가축 떼에서 숫양 한 마리도 잡아다가 먹은 일이 없습니다. 들짐승에게 찢긴 놈은 제가 장인께 가져가지 않고 제 것으로 그것을 보충하여 드렸습니다. 낮에 도적을 맞든지 밤에 도적을 맞든지 하면 장인어른께서는 저더러 그것을 물어내라고 하셨습니다. 낮에는 더위에 시달리고, 밤에는 추위에 떨면서 눈 붙일 겨를도 없이 지낸 것, 이것이 바로 저의 형편이었습니다. 저는 장인어른의 집에서 스무 해를 한결같이 이렇게 살았습니다. 두 따님을 저의 처로 삼느라고 십 년 하고도 사 년을 장인어른의 일을 해 드렸고, 지난 여섯 해 동안은 장인어른의 양 떼를 돌보았습니다. 그러나 장인께서는 저에게 주셔야 할 품삯을 열 번이나 바꿔치셨습니다. 내 조상의 하나님, 곧 아브라함을 보살펴 주신 하나님이시며, 이삭을 지켜 주신 '두려운 분'께서 저와 함께 계시지 않으셨으면, 장인께서는 저를 틀림없이 빈손으로 돌려보내셨을 것입니다."(창31:38-42)

앞에서 제기한 두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첫째, 만일 야곱이 큰 부자가 아니었다면 이스라엘 민족 12지파는 태어날 수 있었을까? 아들만 많이 낳는다고 가문이 세워지는 것은 아니다. 부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야곱이 큰 부자가 아니었다면 그가 낳은 12명의 아들들은 12지파의 아버지가 될 수 없었을지도 모른다. 둘째, 야곱은 어떻게 큰 부자가 되었을까? 야곱은 6년 동안 밤낮 가리지 않고 열심히 일했지만 하나님이 보살펴 주셨기 때문에 큰 부자가 될 수 있었다.(창30:43) 이처럼 기독교는 부 곧, 소유를 중요하게 여겼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중증외상센터

<중증외상센터> 의료팀 집념에서 겹쳐 보이는 기독교 신앙?

박욱주 박사님이 OTT 넷플릭스 시리즈로 호평받고 있는 는 웹툰 및 웹소설 기반 작품으로, 전장을 누비던 천재 외과 전문의가 유명무실한 중증외상팀을 ‘심폐 소생’하기 위해 부임하면서 벌어지는 통쾌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지훈(백강혁 역), 추영우(양…

조르주 루오 반 고흐 티모시 슈말츠

깨어진 존재들의 공감에 뿌리내리는 ‘기독교 미학’

하나님 나라 추구 그리스도인 세상 더 잘 알고자 함 필요해 ‘정복하고 다스리라’는 말씀, 샬롬 비전 구현 구체적 행위 피조계 돌보라는 명령 완수 깨어짐 속 빛나는 존재 발견 기독교 미학의 특징 중 하나는 ‘이상화된 미’를 고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크…

김조한

가수 김조한, 시편 프로젝트 동참 ‘10편: 그 이름을 부릅니다’

R&B 대디 김조한 ‘첫 작업’ 감격 “이 곡은 내 자식 같은 노래” 가수 김조한 씨가 지난 1월 31일 각종 음원 사이트를 통해 새 싱글 ‘그 이름을 부릅니다’를 발표했다. 신곡 ‘그 이름을 부릅니다’는 시편 10편 메시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색다른 멜로디와 …

그라운드C

‘제2의 전한길’ 그라운드C, 세이브코리아 부산 강연에서 시대를 흔들다

강연에서 대중을 몰입시키는 능력은 단순한 말솜씨를 넘어선다. 논리적 흐름, 강렬한 메시지, 그리고 감정적 결집을 이끄는 힘—이 모든 요소가 결합될 때, 연설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대중을 움직이는 힘’으로 작용한다. 필자는 평소 그라운드C(김성원)…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전국 각지서 일어난 수십만 국민들 “탄핵반대·자유수호”

윤석열 대통령이 기소된 후 맞은 첫 주말인 1일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네 번째 집회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과 부산역광장 등 전국 11개 지역에서 동시에 열렸다. 탄핵 반대와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외치는 수십만의 성도들과 시민들이 결집했으며, …

전한길

전한길 강사가 고발한 ‘불의한 헌법재판관들’의 실체

대한민국 사법부는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공정하게 운영돼야 한다. 특히 헌법재판소는 국가의 최고 법률기관으로서 국민과 국가를 보호하는 최후의 보루다. 그러나 최근 헌법재판소의 결정들이 정치적 논란을 일으키면서 그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과연 헌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