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진 칼럼] 조국 교수의 서해맹산(誓海盟山)

|  

충무공의 서해맹산, 엘리야의 검
바울이 ‘기쁜 소식’으로 세대교체
법을 문학적으로 전개하려 한다면…
의역의 이단? 해석 꾀하나 결국 직역
우리는 일본의 과거를 쥐고 있고
일본은 우리의 미래를 쥐고 흔든다

▲이영진 호서대학교 평생교육원 신학과 주임교수. '기호와 해석의 몽타주(홍성사)', '영혼사용설명서(샘솟는기쁨)', '철학과 신학의 몽타주(홍성사)', '자본적 교회(대장간)' 등의 저서가 있다.

▲이영진 호서대학교 평생교육원 신학과 주임교수. '기호와 해석의 몽타주(홍성사)', '영혼사용설명서(샘솟는기쁨)', '철학과 신학의 몽타주(홍성사)', '자본적 교회(대장간)' 등의 저서가 있다.

지난 주간을 달구었던 ‘앙가주망’이란 말을 우리가 채 익히기도 전에, 조국 교수께서 우리에게 새로운 사자성어를 또 주셨다.

그 깊은 의미는 어린 백성이 알아서 찾아보란 의중으로 알고 부랴부랴 찾아보니, ‘서해맹산(誓海盟山)’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지은 시의 한 대목으로 알려졌다.

임금(선조)의 피난 소식을 듣고 왜적을 무찌르겠다는 결기를 담아 지은 이 시를 통하여, 법무부 장관으로 지명받은 자신의 의지를 충무공의 굳은 결기로 해석했다고 언론은 입을 모은다.

‘앙가주망’도 그렇고 ‘서해맹산’도 그렇고, 이와 같이 대중은 잘 알지 못하는 기호화된 어휘를 통해 청자의 자발적 해석과 작용을 일으키는 문학적 행위를 보통 유비(類比)라 부른다.

서로 맞대어 비교를 불러일으키는 이 행위는 두 가지의 어떤 것이 몇몇 비슷한 근거로써 그 속성도 유사할 것이라는 유추(類推)에 종사시키는 행위이다.

소시민에게 현실 정치를 일깨우려는 것인지, 이런 각인의 방식을 즐겨 하시니, 우리 소시민도 한 법학자가 현실 정치에 임하는 자세에서 오는 우려와 기대를 유비로 또한 표명해드리려 한다.

‘서해맹산’은 본래 “서해어룡동 맹산초목지(誓海魚龍動 盟山草木知)”가 그 행의 원문이다(진중음(陳中吟)의 3행).

“바다에 맹세하니 물고기/용이 감동하고 산에 다짐하니 초목이 알아듣는다”는 이 뜻은 대부분 임금의 피난 소식에 대한 결기와 연결짓지만, 보다시피 행의 본말은 물고기와 초목 외엔 자기 말을 듣는 자가 없는 철저한 자기 고립에 맺혀 있다.

이 진중음 시뿐 아니라 “한산섬 달 밝은…”으로 시작하는 한산도가(閑山島歌)도 그렇고, 충무공의 시란 다 그런 시이다.

이와 같은 자기 고립의 유비를 기독교 경전에 맞대어 비교하면, 두 사람을 꼽을 수 있다. 엘리야와 바울.

엘리야는 임금에 저항한 인물로 알려졌으나, 아니다. 국가와 임금에 충성하다 철저하게 고립된 인물이다. 당시 이교도였던 왕비는 정통의 직언 예언자를 모조리 죽이는 바람에 엘리야 홀로 생존하였고, 엘리야는 엘리야대로 왕비가 길러온 바알 사제 800명을 모조리 사멸시킴으로써 더욱 철저한 고립을 맞이한다.

그런 점에서 엘리야 자신이나 엘리야가 휘두른 그의 검(劍)은 조국 후보자가 새기겠다고 한 서해맹산의 검과 일맥상통한 점이 있다.

엘리야가 모든 백성에게 이르기를 “너희가 어느 때까지 두 사이에서 머뭇머뭇 하려느냐 야훼가 하나님이면 그를 좇고 바알이 하나님이면 그를 좇을찌어다”라며 다그친 것과, 조국 후보자가 “정치권·언론은, 한일(韓日) 중 어디에 동의하냐!”면서 자기를 따르지 않으면 마치 친일파라는 식으로 다그친 일은 서로 유비를 일으키는 까닭이다.

그런데 우리가 현대 사회에서 신화로 점철되기 십상인 이 같은 경전을 볼 때에도 모종의 사려 깊은 이해를 요하는 이유는, 그 인용 기호를 각 세대가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그 사회가 지닌 미래를 앞당기기도 하고 좌절시키기도 하는 까닭이다.

그렇기에 이러한 경전을 법전으로 보전해 온 신학에서조차 해석은 법에 선행하는 모종의 원형으로 간주하는데, 그것은 경전이 갖는 일차 텍스트보다도 그 텍스트를 해석한 해석자의 해석을 원형으로 존중하는 원리이다. 법학으로 말하면 일종의 판례가 갖는 권위일 것이다.

다시 말하면 과거 엘리야의 검이 주도했던 야훼와 이교도 진영 사이의 이분법적 가름은, 바울의 시대에 와서 바울의 검에 의하여 이교도(이방)를 향한 기쁜 소식(Gospel)으로 전격 세대교체를 이뤄낸, 바로 그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해석 행위를 통해 엘리야의 물리적 검은 바울에게 와서 본질을 꿰뚫는 로고스로서의 진정한 화염검이 되었고, 반면 여전히 종족주의(種族主義) 껍질을 벗지 못한 엘리야의 후예들은 일단의 원리주의자 신세를 면치 못 하게 된다.

헤브리이즘에서 헬레니즘을 관통하는 이 같은 법 수호의 근본 원리는 2천여 년 역사를 자랑하는데, 과연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 충무공의 후예들이 휘두르는 서해맹산(誓海盟山) 검은 어떤 검인가.

여기에 우리의 기대감이 우려와 함께 깃드는데, 그 중심선상에 법학자이신 신임 법무장관 후보가 서 있다. 선출직 출마의 출정식을 연상케 하는 그의 임명직 기자회견에서 치켜든 서해맹산 검은, 지나친 문학적 유비로 비치는 까닭이다.

법을 문학적으로 전개하면 어찌 될 것인가.

해석학에는 ‘의역의 이단(the heresy of paraphrase)’이란 개념이 있다. 모종의 해석을 꾀하지만, 실상은 그것이 직역에 지나지 않는 까닭이다. 이것이 우리로 하여금 언제나 일본의 과거를 쥐고 있게 만들고, 그동안 일본은 우리의 미래를 쥐고 흔들게 만드는 함정이 되고 있다.

이영진
호서대학교 평생교육원 신학과 주임교수
'기호와 해석의 몽타주(홍성사)', '영혼사용설명서(샘솟는기쁨)', '철학과 신학의 몽타주(홍성사)', '자본적 교회(대장간)' 등의 저서가 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극복 스톤 롤 슬라이드 투쟁 어려움 저항 심연 도전 장애물 경험 불편 역경

회복탄력성, 넘어지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은 현대 사회의 피상적 강함 개념을 넘어, 진정한 의미의 강인함을 새롭게 조명하는 책이다. 저자는 강인함이 단순한 공격성이나 무감정함이 아닌, 오히려 부드러움 속에 숨겨진 깊은 내…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미래목회포럼

“애국가, 신앙과 민족정신 만나 표현된 최고의 걸작”

애국가 통해 나라 사랑 되새기자 하나님만 독립 해방 주신다 고백 이념과 갈등 넘어 하나 묶을 도구 미래목회포럼(대표 황덕영 목사, 이사장 이상대 목사) 정기포럼이 ‘애국가와 나라사랑: 애국가에 담긴 하나님의 섭리’라는 주제로 5월 8일 오전 서울 중구 한…

금산교회

여성 차별과 신분제 타파, 문맹 퇴치와 한글 보급까지

3. 여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 남존여비로 여성 교육 전무 선교사들, 여성 교육 강조해 하나님 동일한 형상 일깨워 이화학당 등 교육기관 설립 내한 선교사들의 활동으로 나타난 세 번째 큰 변화는 여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였다. 이는 여성 교육과 여권 신장의 결…

거모연

감리교 ‘거모연’, 민주당의 ‘헌법 파괴적 입법’ 규탄

감리교 시민단체 ‘거센 파도를 이기는 모래알 연합’(대표 박온순 목사, 이하 거모연)이 8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청년들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더불어민주당의 최근 입법 행보를 강력히 비판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정부가 들어…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