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상 칼럼] 박항서 리더십의 비밀

|  

베트남 축구가 동남아시아 경기대회(SEA)에서 우승하며 금메달을 차지했다. 1959년 이후 60년만에 축구 변방 국가를 정상으로 올려놓은 이가 박항서 감독이다.

2017년 베트남 축구 지휘봉을 잡은 이후, 베트남 축구는 국민의 희망이 되었고, 경제 불평등과 분열을 누르고 국민 단합을 가져왔다.

축구에 관심없는 사람들도 박항서 감독을 주목하고 있다. 박항서 감독의 리더십에는 어떤 비밀이 있는 것일까? 선수들을 그렇게 뛰게 하는 힘은 무엇일까?

사람은 무엇을 품느냐에 따라 인생이 달라진다. 어떤 사람은 돈을 품고, 어떤 이는 꿈을 품는다. 박 감독은 선수를 가슴에 품었다. 선수의 마음을 얻어 최고의 성과를 이끌어 낸 히딩크 감독과 같다.

박 감독은 부임 초기부터 선수나 자신이나 모두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고, 소통을 위해 세심한 배려를 쏟았다. 또한 선수 개개인의 기초 체력을 키우고 강화시켰다.

감독이 선수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 할 수 있는 일들을 다했다. 어린 선수들의 발을 씻겨주는 세족이나 마사지만이 아니라, 비행기에서는 자기 좌석을 부상당한 선수를 위해 기꺼이 양보하고, 우승 상금은 어려운 베트남 사람들이게 기부했다.

박 감독은 작은 체구의 설움도 안다. 자신이 작은 체구로 현장에서 그 설움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선수와의 스킨십을 통해 친밀함을 표현하고, 신뢰와 이해를 높여갔다.

선수들이 실수할 때에도 몰라서가 아니라 알면서 기회를 주고 덮어줬다. 이런 박 감독의 노력에 선수들은 스스로가 변화하기 시작했다.

축구는 개인기가 아니라 팀워크(teamwork)이다. 혼자였다면 할 수 없는 일인데, 혼자가 아닌 팀(team)으로 성공을 거두었기에 그 성공이 더욱 값지다.

축구도 그렇지만, 인생도 마찬가지다. 자기 마음을 잘 알아주고 응원하는 파트너가 있다는 것은 축복이자 큰 힘이다.

박항서 감독에게는 이영진 수석코치가 있었다. 한 명이 지치고 낙심하면, 다른 한 명이 위로하고 격려하며 서로 돕는 사역을 하였다. 이런 동역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독실한 신앙인인 부인 권사님이 경기 2-3시간 전부터 기도를 부탁하여, 기도팀이 기도하도록 내조하였다.

이런 섬김과 솔선수범이 그의 리더십의 중심에 있었다. 자신 없는 선수들에게는 ‘할 수 있다’는 격려로 자신감을 불어 넣어주고, 인기의 유혹에도 ‘인기란 덧없다’고 손사래치는 모습이 아름답기까지 하다.

자식을 키우는 아버지의 심정을 가지고 배려와 다독임으로 함께하니, 선수들이 스스로 존경과 사랑의 마음을 담아 ‘파파(Papa, 아빠)’라고 불렸다.

팀(team)을 한 가족(family)으로 만들었다. 이런 쏟아지는 미담들을 들으면 단지 탁월한 감독이라기보다, 사람의 영혼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선교사라는 생각이 드는 것은 왜일까.

인터뷰에서 “욕심이 없다. 봉사하겠다”는 말을 흘려 들었는데, 자리나 인기, 명예를 탐하는 것이 아닌 ‘자기비움’과 ‘섬김’이 중심이 있었기에 빛을 발한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가려는 진정성 있는 모습을 삶에서 보여주었고, 그는 어느덧 ‘국민영웅’이 되었다.

▲이효상 교회건강연구원장.

▲이효상 교회건강연구원장.

박항서 감독은 63세이다. 직장인으로 따지면 정년 은퇴할 나이다. 인생의 내리막길에서 한국이 아닌 동남아시아로 눈을 돌려, 스스로 기회를 만들었다. 인생 후반전에 넣은 ‘황금 역전골’이었다.

그의 말처럼, “1년만 버텨보자”고 시작한 일이었다. 베트남에서 간절함과 치열함이 결실을 거둔 것이다. 마치 85세이지만 “헤브론을 기업으로 주시면 그 땅 거민 아낙 자손을 물리치겠다”고 나선 성경 속 인물 갈렙을 연상시킨다.

박항서 감독의 사례는 은퇴와 그 이후를 고민하는 50, 60대 장년에게 이상적 모델이 된다.

그의 리더십은 다르다. 오늘을 사는 크리스천도 과거처럼 카리스마 있는 강력한 리더십보다, 박항서 감독처럼 공감과 소통, 섬김과 유대감, 포용력 등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하다.

축구도 인생도 그렇지만, 신앙생활도 그렇다. 연장전 마지막 휘슬이 울리기 전까지는 승패를 가늠할 수 없다. 인생의 역전골도 어느 시점에 들어갈지 모른다. 끝까지 가봐야 알 수 있다. 박 감독의 인생 이야기가 가슴 깊은 감동과 깨달음을 주는 이유다.

이효상 원장(한국교회건강연구원/ 근대문화진흥원)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하화1리에 위치한 하화교회의 산불로 인한 화재 전후 모습

120년 된 교회도 불탔다… 산불 피해 확산

예장 통합 소속 하화교회(담임 김진웅 목사)가 최근 발생한 산불로 전소됐다. 1904년 설립돼 약 120년의 역사를 가진 이 교회는 건물 전체가 불에 타 큰 피해를 입었다.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하화1리에 위치한 이 교회는 이 지역 산불 발생 나흘째인 3월 25일 강풍…

하화교회

예배당·사택 잃은 교회들… 산불 피해에 긴급 기도 요청

경북 지역을 휩쓸고 있는 대형 산불과 관련해, 한국교회 주요 교단들이 잇따라 목회서신을 발표하며 전 교회와 성도에게 긴급 구호와 중보기도에 동참해 줄 것을 요청하고 나섰다. 특히 피해가 집중된 지역의 일부 교회들은 예배당과 사택이 전소되는 등 실질적인 …

세이브코리아

“현 상황 분노 않으면, 거짓에 속는 국민 될 수밖에”

세이브코리아, 성금 2억 기탁 손현보·전한길 등은 울산으로 서울 등 전국 10개 도시 개최 매주 토요일 대한민국 정상화를 위해 기도하고 있는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이하 세이브코리아)가 3월 29일에는 특히 영남권에서 역대 최대 규모로 발생한 산불의 …

이 기사는 논쟁중

WEA 서울총회 개최반대연합회

“WEA 지도자들, 시간 흐를수록 다원주의로”

2025 WEA 서울총회개최반대연합회 기자회견이 3월 28일 오후 서울 강남구 예장 합동 총회회관 로비에서 개최됐다. 연합회장 맹연환 목사는 “총회 안에서도 WEA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시는 분…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