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이 된 시인’ 윤동주 서거 75주기를 맞으며

|  

[이효상 칼럼] 밤하늘에 별빛같은 삶을 산 시인

▲이효상 원장이 2017년 11월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전시회에서 강연하고 있다. ⓒ연구원
▲이효상 원장이 2017년 11월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전시회에서 강연하고 있다. ⓒ연구원

2월 16일은 시인 윤동주가 서거한지 75주년이 되는 날이다. 시인 윤동주는 우리에게 참 아름다운 시어를 남겼다. 육신은 비록 처참하게 산화되었지만, 그가 남긴 작품 덕분에 그는 어려웠던 시대를 별빛처럼 반짝이며 산 시인으로 추억하게 된다.

그는 1945년 2월 16일, 두 권의 자필 시집을 남기고 떠났다. 1947년 2월 추도회가 거행되고 유작이 처음 소개됐다. 1948년 1월 그의 유작 31편과 정지용의 서문으로 이루어진 유고시집《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자신의 분신 같은 육필 원고를 후배 정병욱과 이양하 교수에게 보관케 함으로써, 첫 시집이 나온 이후 꾸준히 그의 작품들이 발굴돼 지금까지 130편의 옥고가 우리에게 전해지며,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인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나라 잃은 설움을 극복하기 위한 선택으로 기독교인들이 고향을 떠나 이주한 곳, 북간도! 김약연 목사를 비롯해 아리랑의 춘사 나윤규, 조두남, 송몽규, 문익환, 이동휘 등 수많은 사람들이 십자가를 손에 쥔 채 시대적 소명을 받고 북간도로 떠났다.

그 기독교인들이 얼마나 열심히 치열하게 살았고 독립을 위해 헌신했는지, 그들의 희생과 눈물과 기도가 있었음을 기억하게 된다.

윤동주 시인은 연변 용정에서 출생해 명동학교에서 수학했다. 은진중학교에 진학한 윤동주는 집안 어른들을 설득, 그 해 여름 숭실중학교 3학년으로 편입하게 된다. 문익환이 진학했기 때문이다.

당시 숭실중학교는 ‘한국의 예루살렘’이라 불리는 평양에 자리잡고 있던 학교로, 1897년 배위량(裵緯良, William M. Baird) 선교사의 자택에서 13명의 학생으로 시작했다.

▲시인 윤동주.
▲시인 윤동주.

윤동주는 숭실중학교 시절 문학에 심취해 1935년 10월에 발간된『숭실활천(崇實活泉)』 제15호에 ‘공상(空想)’을 발표한다. 이 시는 최초로 활자화된 윤동주 시로 주목하게 된다. 윤동주가 쓴 최초의 동시로 ‘조개껍질-바닷물 소리 듣고 싶어’와 ‘오줌싸개 지도’ 등도 이때 쓴 작품으로 추정된다.

1935년 9월 숭실중학교 3학년에 편입한 윤동주는 1936년 3월까지 객지생활 7개월 동안 시 10편, 동시 5편 등 무려 15편의 시를 썼다. 정지용(鄭芝溶)의 시에 심취해 쉬운 말로 진솔한 감정을 표현하는 새로운 시 세계를 열어간다.

평양 숭실중학교에 와서 그가 부딪힌 것은 뜻밖에도 ‘신사참배’ 강요였다. 일제는 한민족의 회유와 탄압, 말살이라는 정책의 일환으로, 각지에 신사를 세우고 심지어 학교와 가정에도 소형 신사를 설치하도록 하는 황국신민화를 추진했다.

신사참배에 참여하지 않던 기독교는 조선총독부가 강경책을 펴자, 신사참배 정책에 저항하면서 큰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1936년 1월 일제 총독부 당국이 신사참배 명령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숭실중학교 윤산온(尹山溫, George S. McCune) 선교사를 교장 직에서 파면하자 일어난 학생들의 항의 시위로, 숭실학교는 무기휴교에 들어가고 윤동주의 숭실중학교 생활은 이렇게 단 7개월만에 끝난다.

1936년 3월 문익환과 함께 용정으로 돌아온 윤동주는 광명학원(光明學院) 중학부 4학년에 편입한다. 광명학원은 숭실중학교보다 더 나쁜 상황이었다. 대륙낭인 출신 일본인이 경영하던 친일계 학교가 된 것이다.

광명중학에 재학하던 2년 동안 윤동주는 동시에 더욱 몰두하여, 연길에서 발행되던 월간잡지 <카톨릭소년>에 모두 5편의 동시를 발표하기도 했다.

1938년 4월에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조선일보에 그 해 10월 시 ‘아우의 인상’, 이듬해인 1939년 2월 수필 ‘달을 쏘다’를 발표하게 된다.

그리고 연희전문 2학년 재학 중 <소년(少年)> 지에 시를 발표하며, 정식으로 문단에 데뷔했다.

윤동주의 작품 중 눈에 띄는 것은 ‘문우(文友)’ 발표 작품이다. ‘문우(文友)’는 1932년 12월 18일 연희전문학교 문과 문우회에 의해 태어났다. ‘문우’는 1941년 5호를 마지막으로 종간하는데, 당시 송몽규가 문예부장으로 활동했다.

시대의 압박으로 마지막 발간된 ‘문우’에서 송몽규는 ‘꿈별’이란 필명으로 ‘하늘과 더불어’를, 윤동주는 ‘새로운 길’, ‘우물속의 自像畵(자상화)’를 발표했다. 편집 겸 발행인은 후일 일본 유학을 하게 되는 강처중(姜処重)으로 되어 있었다.

▲출간된 윤동주 시인의 시대별 시집들. ⓒ크투 DB
▲출간된 윤동주 시인의 시대별 시집들. ⓒ크투 DB

이들은 모두 문과 4학년 동급생으로, 절친한 우정을 나누던 사이였다. 그리고 이는 최소한 1941년 6월까지 창씨개명을 하지 않고 버티며 작품으로 몸부림치고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문학을 사랑했던 그들이였기에, 숱한 고생 속에 겨우 모았던 원고 대부분이 검열에 걸려서 게재 불가능이 됐다. 식민지 공간 속에서 총력전의 군국주의 체제 강화로 인해, 교우회 발행 ‘문우’는 해산되고 말았다.

마지막호 전체 내용이 거의 대부분 일문(日文)으로 쓰여져 있을 정도였지만, 윤동주 시만은 끝까지 한글 작품으로 남아 있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했던 시인 윤동주.

그의 생애는 짧았지만, 음울하고 가혹한 시대 상황 속에서 반드시 여명은 오리라 믿고 써내려간 주옥같은 시어들은 오늘날까지 해맑은 영혼의 징표로 남아 우리의 영혼을 정화시킨다.

그래서 우리는 시대의 아픔을 안고 밤하늘에 별빛같은 삶을 산 시인을 다시 기억하게 된다.

이효상 원장(한국교회건강연구원/ 근대문화진흥원)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다니엘기도회

전두환 전 대통령 손자 전우원 씨, 다니엘기도회 깜짝 등장

2024 다니엘기도회 여섯째 날인 11월 6일 4선 의원과 경기도지사를 지내고 지금은 마약예방 활동을 하고 있는 남경필 대표(은구 이사장)가 간증에 나선 가운데, 전두환 전 대통령 손자인 전우원 씨가 등단해 인사를 전했다. ‘우리 꼰대가 변했어요(욥기 23:10)’라는 …

시민단체들 인권위에 강유정 의원에 대한 진정서 제출

“인권위 ‘하극상’ 문책하고, 국민 인권 차별한 강유정 의원 사퇴하라”

인권위 수장 파악 못한 현안보고서 제출 납득 안 돼 인권위 직원들이 안 위원장 망신주려는 의도로 유추 ‘고등학생 문해력’ 반복한 강 의원 인격 의심스러워 페북 삭제된 주요셉 목사 표현의 자유 침해당했는데 피해자 보호는커녕 능멸, 대한민국 국민 인권 …

10.27 연합예배

수백만 울린 10.27 연합찬양대 솔리스트 유난이 “나를 다 비웠을 때…”

온·오프라인으로 200만여 명이 함께한 ‘10.27 연합예배’의 여운이 계속되고 있다. 크리스천투데이 유튜브 생중계 영상이 11월 8일 오후 현재까지 126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고, 당시 접속 국가 리스트에 따르면 총 102개국에서 온라인으로 예배를 함께한 …

도널드 트럼프

美 트럼프가 복음주의자들의 압도적 지지를 얻은 이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2016년 대선 때부터 트렌스젠더주의 등 민감한 이슈들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해 왔다. 이번 대선에서는 창조 질서 등 전통적 가치를 수호하겠다고 밝혀 많은 복음주의자들의 지지를 얻었다. 한 여론조사에서는 복음주의자…

목회트렌드 2025

2025년 목회, 리더십·여성·문해력·소그룹에 주목하라

1. 리더십이 탁월한 목회 절실 2. 여성과 함께하는 목회 대안 3. 문해력이 곧 목회력이다 4. 소그룹이 교회 미래 만든다 2025년 한국교회 목회자들이 주목해야 할 목회 키워드 4가지가 제시됐다. 이와 관련, 최근 발간된 책 저자들 중 김도인 목사(아트설교연구원…

기독교대한감리회 제36회 총회

“퀴어신학 이단 규정, 감리교 회복 단초… NCCK·WCC 탈퇴 보류는 안타까워”

행정총회 중 발견된 문제점들 지적 녹색·여성 신학 주창 실체 드러내 예문집 등 통한 사상 설파 막아야 기독교대한감리회 동성애대책통합위원회(위원장 김찬호 목사, 이하 위원회)가 지난 10월 30-31일 교단 제36회 총회 중 발견된 문제점들을 규탄하는 성명서를 7…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