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자산어보>… 정약전과 정약용이 꿈꾼 세상은 무엇이었나

|  

[이효상 칼럼] 영화 <자산어보>에서 정약전을 만나다

주자의 나라 틀에 갇혀 서학 못 받아들이고
변화 거부하는 시대, “누가 주인이냐” 외침
<자산어보>와 <목민심서>, 그들에겐 사명

▲(왼쪽부터) 영화에서 '자산어보'를 집필하는 정약전(설경구)과 이를 바라보는 장창대(변요한).

▲(왼쪽부터) 영화에서 '자산어보'를 집필하는 정약전(설경구)과 이를 바라보는 장창대(변요한).

※본 칼럼에는 약간의 스포일러가 들어 있습니다.

최근 화제가 되는 영화가 개봉됐다. 볼 만하다. 아니 흠뻑 빠졌다. 애들 말로 ‘낚였다’. 영화 ‘자산어보(玆山魚譜)’다.

배우 설경구가 주인공 정약전(丁若銓, 1758-1816) 역(役)으로, 그의 형제 다산 정약용(丁若鏞) 역에 류승룡이, 그리고 변요한이 흑산도 청년 장창대(張昌大) 역으로 나온다. 이들이 받아들인 서학(西學)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밑바탕에 깔고, 약전의 생애를 다루고 있다.

영화 <동주(東柱)>를 찍었던 이준익 감독이 흑백영화로 만들었다. 그림같은 풍경에 사람 냄새와 바다 냄새가 물씬 나는, 볼수록 진한 여운이 묻어나는 영화다.

칼라 시대를 넘어 3D/4D 시대에 다시 흑백영화를 본다는 것이 조금 이상하게 들리기도 하지만, 흑백 사진이나 영화에서 느낄 수 있는 특유의 아날로그 감성(感性)을 되살린 참 좋은 영화다.

조선 후기를 살았던 정약전의 책 이름을 영화 제목으로 삼았다. 주자의 성리학을 더럽히고 백성을 현혹하는 서학(西學)을 했다는 이유로, 신앙의 배교자가 되어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부지하며 흑산도로 유배 간 약전과 약용, 그리고 그와 함께 훗날 백성을 이롭게 하는 실용서를 쓴 창대와의 우정이 영화 <자산어보>의 주요 골격이다.

정약전은 진주 목사를 지낸 정재원의 차남으로, 조선 후기 유명한 실학자인 정약용의 형이다. 일찍이 ‘성호사설(星湖僿說)’의 성호 이익(李瀷)에게 지도를 받으며 서양의 신(新) 학문을 익혔다.

이 집안은 천주실의(天主實義)를 통해 일명 서학으로 불리는 기독교(天主敎)를 받아들인다. 이렇게 그 집안과 관련된 인사들은 이승훈, 이벽, 황사영 등이 모두 매형, 처남, 사위 등으로 연결된다.

정조 7년(1783) 생원시, 정조 14년 증광별시에 합격하여 승문원 부정자(종9품)에 제수되었다. 정조는 정약전의 직급이 먼저 급제한 동생보다 낮은 것을 안타깝게 여겨, 재위 21년 정약용을 곡산부사에 제수하면서 정약전을 특진시켜 사관(정6품)에 제수했다.

약전·약용 형제의 인품과 탁월한 능력을 잘 알고 있는 정조의 애정 어린 배려였다. 그러나 재위 24년(1800) 정조가 독살당하면서 약전‧약용 형제의 관운도, 조선의 명운도 함께 끝났다. 1800년은 조선의 실질적인 마지막 해였다.

순조(純祖) 원년(1801)에 일어난 신유박해, 그리고 황사영 백서사건 등이 터지자, 수많은 명신들과 함께 약전‧약용 형제도 서학과 신앙을 받아들인 죄목으로 기약 없는 유배길에 올랐다. 이때 전라도까지 함께 내려간 형제는 나주에서 길이 갈려 정약전은 흑산도로, 정약용은 강진으로 갔다.

▲정약전의 &lt;자산어보&gt;와 정약용 초상화(왼쪽부터).

▲정약전의 <자산어보>와 정약용 초상화(왼쪽부터).

흑산도(黑山島)에서 유배생활을 하던 정약전은 이곳 주민 문순득(文淳得)이 해상에서 표류하다가 오키나와, 필리핀, 마카오와 중국을 거쳐 만 3년만인 순조 5년(1805)에 조선으로 돌아오자, 궁금함을 참지 못하고 그를 찾아갔다.

문순득에게서 표류의 전말을 듣고 조선 시대 홍어장수 표류기인『표해시말(漂海始末)』을 저술(著述)했는데, 이는 조선 시대판 ‘하멜 표류기’다.

순조 원년 제주도(濟州島)에 낯선 배 한 척이 표류해 왔다. 배에는 외국인 5명이 타고 있었는데, 나라 이름을 쓰라하니 막가외(莫可外)라고만 하고 몰라서, 중국 요녕성 성경으로 보냈다.

1802년(임술년, 순조 2년) 10월. 중국 성경의 예부에서 어느 나라 사람인지 알 길이 없다며 조선으로 다시 보냈다. 그 와중에 5명 중 1명이 병사했다. 관청의 건물과 먹거리를 내주고 조선의 풍토와 언어를 익히라 하였다. 그러면서 4명 중 1명이 또 사망하게 된다.

1807년(순조 7년) 8월 10일, 제주 목사 한정운은 표류인들이 ‘여송인(呂宋人, Luzon(현재 필리핀의 루손섬)’임을 알고, 본국 송환을 상계한다. 이들 표류인을 제주에 표류해온 ‘유구인(琉球人, 현재 일본 오키나와)‘들과 만나게 하니, 유구인 궁평(宮平)이 여송인임을 알아차렸다.

유구 사람 통사 경필진이 궁평에게 물으니, 문순득의 표류 이야기를 하며 문순득 일행에게 들은 이야기를 회상하며 알려주었다. 여송국과의 외교 소통이 없고, 중국에서 이들을 송출한 예가 있어 유구인에게 부탁하여 보내라 명하였으나, 유구인은 이미 떠나고 없었다.

1809년(순조 9년) 6월 26일. 통역관 문순득을 만나게 하여 여송국 방언으로 문답하니 딱 들어맞았다. 비로소 여송국의 표류인을 송환시켰던 이야기를 기술했다.

흑산도에 와서 무서움이 많았던 약전은 창대를 만나 어류에 대한 호기심이 많은 삶을 살게 된다. 흑산도의 정약전은 생업도 외면한 채 오로지 물고기 연구에 평생을 바치고 있는 장덕순(張德順) 또는 장창대(張昌大)라 불리는 사람의 말을 듣는다.

“홍어 다니는 길은 홍어가 알고, 가오리 다니는 길은 가오리가 안다”는 그의 말에 도전을 받은 것이다. 어류에 대해 널리 알려 백성을 이롭게 할 목적으로 함께 연구해, 어류도감을 만들게 된다. 집으로 불러 함께 기거하며, 물고기에 대한 공동연구를 계속해 나갔다.

장창대의 도움으로 자신이 평생 관찰해온 결과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이론을 붙여, 순조 14년(1814) 그는 각종 물고기와 해조류를 포함해 수중생물 226종(種)의 명칭, 크기, 형태, 외형의 특징, 생태, 맛, 어획 시기와 방법 등이 자세히 기록한『자산어보』를 펴낸다.

자산(玆山)은 흑산도의 다른 이름이고, 어보(魚譜)는 물고기 백과사전이라는 뜻이다. 정약전은 흑산도라고 하면 서신을 받아보는 가족들이 무섭게 여길까 싶어, 섬 이름을 자산으로 바꾸었다.

그는 『자산어보』서문에서 자신을 ‘박물자(博物者)’, 요즘 말로 하면 과학자라고 표현했다.

영화에서는 창대가 ‘자산어보’보다 ‘목민심서’의 길을 택하여, 진사로 공직에 나가게 된다. 창대는 권력이 있으면 더 많은 이들을 도울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정약전은 유배생활 16년 만인 순조 16년(1816)에 끝내 유배지를 벗어나지 못한 채 우이도(牛耳島)에서 자신의 생(生)을 마감한다.

그런데 동생인 정약용은 강진에서 유배 중이라 형의 장례(葬禮)에 참석할 수 없었다. 이때 정약전의 장례를 대신 치러준 사람이 바로『표해시말(漂海始末)』의 주인공 문순득(文淳得)이다.

조선 후기는 실학의 영향으로 백과사전류의 책이 저술된다. 건축, 의학, 과학, 수학, 천문학, 생물학, 음악,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19세기 조선의 지식을 집대성한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도 출판된다.

이렇게 명작들이 나오자, 그동안 사서삼경(四書三經)에 매달려 있던 조선의 유학자들이 충격을 받았다. 실학의 영향으로 『자산어보』나 『임원경제지』처럼 손에 잡히는 실질적인 내용의 책을 저술했던 것은, 근대화를 위한 조선 나름의 최선의 노력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받아들이지 못한 조선은 이후 쇠락의 길을 벗어나지 못했고, 결국 망국에 이르게 되면서 아쉽게도 이러한 노력은 모두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영화 '자산어보' 시사회 현장의 이효상 원장.

▲영화 '자산어보' 시사회 현장의 이효상 원장.

조선 시대 유배지에서 정약전이 유배지에서 ‘자산어보’를, 동생 정약용은 강진에서 유배생활을 하며 <경세유표(經世遺表)>와 <목민심서(牧民心書)> 등 수많은 저서들을 집필했다.

고난의 시간을 헛되이 보내지 않았던 그들과 함께, 순창군수와 전라 감사를 지낸 서유구도 순조 6년(1806)부터 헌종(憲宗) 8년(1842)까지 36년에 걸쳐 일평생 집필로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며 길을 열어갔다.

영화에서 정약전을 만났다. 약전과 약용이 꿈꾸던 세상은 어떤 세상이었을까. 그들이 꿈꾸던 세상은 하나님이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는 것 아니었을까.

또한 그들에게 신앙과 순교는 또 어떤 의미가 있는가. ‘주자의 나라 조선’이라는 틀에 갇혀 서학을 못 받아들이고 변화를 거부하는 그 시대에 “누가 주인이냐”는 약전의 외침은 진한 메아리가 되어 울려온다.

그에게 ‘어보’는 어떤 의미였을까. 약용에게 목민심서나 약전에게 자산어보는 죽지 않고 살아남아 해야 할 일 즉 사명이 아니었을까.

상하(上下)를 따지고, 나와 다름을 거부하는 조선 시대였지만, 약전은 자신을 창대보다 낫다고 여기지 않는 듯 했다. 창대의 스승이 아닌, “우리 거래하자”며 서로에게 배우는 관계를 만들어 갔다.

시대를 앞선 사상이 있었으니, 얼마나 힘들었을까. 어느 시대든 문화 발전과 성숙은 다양성의 차이를 이해하고 인정하며 받아들이고 소통하고 공감하며 이를 즐길 줄 아는 수용의 마음과 태도를 가지는 데서 시작되는 것 아닐까. 이는 창의성의 근원이자 새로운 도약을 위한 출발점이다.

서로 다른 생각과 표현의 차이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가지고 이해하고 배려했으면 좋겠다. 그렇게 다양함이 공존하는 풍요로운 사회를 함께 이루려는 것이 건강한 시민들의 꿈이었으면 한다.

이효상 원장
근대문화진흥원
시인, 칼럼니스트, 서지학자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에디터 추천기사

북한 2025 신년경축대공연 김정은

평양 한복판 김정은 앞 ‘예루살렘 그 거룩한 성’ 성가 멜로디, 우연인가?

‘우리의 국기’ 연주 중 간주 부분 세계적 성가곡 ‘거룩한 성’ 유사 조옮김해 보면 박자와 음정 일치 표절보단 개사 후 ‘복붙’한 정도 예루살렘 재건 노래한 유명 성가 평양, 동방의 예루살렘 불리던 곳 김정은 등 최고 지도부가 총출동한 북한(조선민주…

복음통일 컨퍼런스 33차

25년 후 기독교 인구 265만 명 감소 예상… 경상도가 감소율 최고

25년 후에는 국내 기독교인의 인구가 지금보다 265만 명 줄어든 560만 명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 제시됐다. 특히 지방 소멸 위험 증가 속에서 경상도 지역에서는 절반 가까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다. 목회데이터연구소(이하 목데연)은 21일 넘버즈 272호에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낼 성경에 사인하는 김진홍 목사.

윤석열 대통령, 옥중에서 성경 읽는다

김 목사 “나도 옥중에서 성경 읽다 영적 체험 尹도 하나님 만나 새로워진 뒤 직 복귀하길” 시편 “여호와께서 붙드심이라” 글귀도 적어 윤석열 대통령이 옥중에서 성경을 읽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소식은 김진홍 목사(두레수도원 원장)가 매일 아침 공…

윤 대통령을 둘러싼 사법부의 행태 규탄 기자회견

“윤 대통령 인권 침해 반대… 인권위, 불구속 수사 권고해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와 구속을 강력히 규탄하며 국가인권위원회가 대통령의 방어권을 보장하고 불구속 수사를 권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자유인권실천국민행동, 반동성애기독시민연대, 세이브코리아(SAVE KOREA) 등 40여 개 시민·기독교 단체들은 20…

Carl R. Trueman 칼 트루먼

세상 바꾸려는 비판 이론, 세상 바꾸는 참 복음으로 바꾸자

서던 침례 신학교 총장인 앨버트 몰러는 이렇게 평가했다: “칼 트루먼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우리가 그를 발명해야 했을 것이다.” 재치 있고 탁월한 평가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트루먼처럼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을 지배하고 있는 사상이 어디서부터 어떻게…

이찬수 목사

이찬수 목사 “‘유사 내전’이라 할 정도로 대립 심화”

분당우리교회(담임 이찬수 목사)에서 ‘나라를 위한 기도’와 ‘나라를 위한 기도제목’을 홈페이지에 소개했다. 이찬수 목사는 지난 15일 ‘지금은 나라를 위해 기도할 때입니다’라는 제목으로 역대하 7장 14-15절을 언급하면서 “지금은 겸손한 마음으로 하나…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