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본철 칼럼] 웨슬리의 성령운동

기자   |  

배본철 교수의 성령론 131

▲배본철 교수(성결대학교 역사신학/성령의 삶 코스 대표).

▲배본철 교수(성결대학교 역사신학/성령의 삶 코스 대표).

 성경 말씀

그러므로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의 온전하심과 같이 너희도 온전하라(마 5:48)

1. 그리스도인의 완전(Christian Perfection)

1739년에서부터 1777년까지 Wesley는 「존 웨슬리 목사에 의해 믿어지고 가르쳐진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대한 평이한 설명」(A Plain Account of Christian Perfection as Believed and Taught by the Reverand Mr. John Wesley)이라는 저술을 계속적으로 발행하여 제자들에게 읽혔습니다. 이 책의 내용은 이후 두 세 기간에 걸쳐 감리교(Methodists)로부터 분파되어져 나간 많은 성결 그룹들의 진정한 선언문 역할을 해주었습니다.

그러나 웨슬리는 ‘죄 없는 완전’(sinless perfection)을 가르치지 않았습니다. 그가 가르친 완전의 교리는 차라리 동기와 욕망에 있어서의 완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죄 없는 완전은 오직 죽음 이후에만 찾아올 수 있으며, 성화된 영혼은 끊임없는 자기성찰, 경건훈련 그리고 세속적 욕망의 기피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죄로부터 승리하는 삶을 살 수 있다고 했습니다.

2. 제 이차적 축복(the Second Blessing)

웨슬리는 신자가 경험하는 구원의 과정을 두 단계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첫째는 회심 또는 중생이고, 둘째는 그리스도인의 완전 또는 성결입니다. 첫째 체험에서 신자는 그의 자범죄를 사함 받습니다. 그러나 아담의 타락 이후 유전된 죄성은 남아있는데, 이는 제 이차적 축복인 성결의 은혜에 의해 제거 받는다는 것입니다.

1870년부터 1885년에 이르기까지 성결의 교리는 남부 감리교 내에 급속하게 확산되어갔습니다. 성결파 부흥사들은 성결연합회(Holiness Association)를 만들었고, 여러 지역의 많은 목회자들이 성결의 체험을 하나의 제 이차적 축복으로서 고백하였습니다.

1890년과 1900년 초에 있어서 성결 그룹들은 그들의 근본적 교리 그대로 온전한 성결의 교리를 주장해 나갔습니다. 이 운동은 단지 감리교도들(Methodists) 내에서나 또는 시골을 중심으로 된 것이 아니라 도시를 포함하여 매우 보편적이었습니다.

적지 않은 장로교 목사들도 이 운동에 연관되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홈스(N. J. Holmes)와 같은 장로교 목사는 1899년에 다른 성결파 장로교인들과 함께 브레베톤(Brewerton) 장로교회를 세웠는데, 이 그룹은 장로교 소요리문답과 대요리문답에 성결의 교리를 제 이차적 축복이라고 포함하였습니다.

3. 순간적 성결(instantaneous sanctification )

웨슬리의 성결론에는 점진적인 면과 순간적인 면이 있는데, 그 강조점은 순간적인 면에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의 완전은 은총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주어지지만, 그러나 순간적 성결 전후의 성장을 위해서는 하나님의 은혜에 응답하는 인간의 자세와 태도, 즉 헌신, 복종, 선행, 은혜의 수단들을 활용하는 등이 필요함을 역설하였습니다.

그런데 베뵈 팔머(Phoebe Palmer) 부인과 그의 남편 왈터 팔머(Walter Palmer) 박사의 사역은 감리교 사상에 있어서 새로운 강조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그들은 성결의 증진을 위한 화요 모임을 시작했는데, 그들의 모임은 급속히 부흥하여 수백 명의 일반 신도들이 초교파적으로 모여들었습니다.

팔머 부인은 초대교회 성도들이 체험하였던 황홀경과 완전의 경험을 단순히 ‘제단 위에 모든 것을’(all on the altar) 내려놓음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하면서, 이것이 곧 순간적으로 성화되는 ‘더 쉬운 길’(the shorter way)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므로 형제들아 내가 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으로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라 이는 너희가 드릴 영적 예배니라(롬 12:1)

이들의 가르침은 1839년에 티모디 메리트(Timothy Merritt)에 의해서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대한 안내」(The Guide to Christian Perfection)라는 간행물로 소개되었고, 나중에 이 제목은 「성결에의 안내」(The Guide to Holiness)라고 바뀌었습니다.

 어려운 용어 풀이: 팔머의 성결론

팔머의 성결론으로 인해 원래의 웨슬리의 성결론과는 다른 세 가지의 근본적인 변화점들이 웨슬리안 완전주의에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첫째, 성결에 있어서 철저한 주의(attention)에 대한 웨슬리의 초점이 성결된 삶의 능력에 대한 강조점으로 바뀌었습니다.
둘째, 더욱 분명한 변화점은 명확한 경험으로서의 헌신(consecration)의 행위를 강조하기 시작했다는 점입니다. 그러자 순간적 성결에 대한 강조가 지속적 성결의 교훈을 압도하게 되었습니다.
셋째, 성결의 은혜를 받았다고 하는 것을 고백하는 일이 성결 집회에 있어서의 새로운 전통으로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웨슬리가 변화시키는 성령의 증거에 초점을 맞춘 반면, 팔머는 성결의 은총을 믿음으로 고백하는 인간적 차원에 더 강조점을 둔 것입니다.

 성령사역을 위한 질문

1. 웨슬리는 ‘죄 없는 완전’이 세상을 사는 동안에는 가능하지 않다고 보았는데, 그렇다면 그가 현세에서 가능하다고 본 ‘완전’이란 무슨 뜻일까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웨슬리는 신자가 경험하는 구원의 과정에 어떤 두 단계의 은혜가 포함된다고 보았습니까?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웨슬리는 순간적 성결 경험의 이전과 이후의 지속적 성결의 삶을 위하여 성도들에게 어떤 자세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았습니까?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삶의 적용을 위한 기도

1. 주님께 온전히 자신을 드릴 수 있도록 기도합시다.
2. 영혼 속에 지속적인 성결의 은혜가 주장하도록 기도합시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및 단일화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위기다. 대외…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대 촉구를 표명했다. 이들은 “김문수는 단순한 정치인이 아니다. 그는 노동자의 땀을 기억하는 정치인이다. …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사의 내한 이후 1985년까지 100년간 내한한 선교사 총 수는 약 3천여 명으로 파악된다(기독교역사연구소 조사). 내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