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프리카, 가뭄과 우크라 밀 수입 중단으로 최악의 식량난

김신의 기자  sukim@chtoday.co.kr   |  

월드비전, 아동 550만명 영양실조 우려

▲월드비전이 식량난에 허덕이고 있는 동아프리카 아이들에게 우려를 표했다. ⓒ월드비전 제공

▲월드비전이 식량난에 허덕이고 있는 동아프리카 아이들에게 우려를 표했다. ⓒ월드비전 제공

국제구호개발 NGO 월드비전(회장 조명환)은 동아프리카의 수백만 명의 아이들이 40년 만에 가뭄에 시달리던 터에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심각한 영양실조 상태에 놓여 있다고 전했다.

현재 동아프리카 7개국 중 아동을 포함한 약 8백만 명의 사람들은 △동아프리카 지역의 분쟁, △코로나19의 경제적 영향, △농작물을 파괴하는 메뚜기떼 습격 등으로 극심한 기아 사태에 직면해 있다. 여기에 우크라이나 분쟁이 야기한 밀 수급과 식량가격 급등으로 인해 상황은 점점 더 악화되고 있다. 특히 밀 가격은 2008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동아프리카 아동의 영양 상태와 생명을 심각한 위험에 빠뜨리는 요소다.

이러한 상황 속, 월드비전이 동아프리카 7개국 공동 식량위기 대응을 시작한 지 1년 사이에 상황은 더욱 악화됐다. 국제사회는 기후위기에 대한 조기 대응이 부족했으며, 결국 약 2,800만 명이 식량 불안으로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사태에 이르렀다. 그 중 50만 명 이상이 재앙과 같은 기아 상태에 처했다. 이들에게 기본적인 식량 지원이 없으면 영양 결핍으로 인한 생명 위협을 초래할 수 있으며, 약 740만명의 사람들 또한 위기에 내몰릴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550만명의 어린이가 영양실조에 놓여있어 아동의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캐나다 월드비전 회장 마이클 메신저(Michael Messenger)는 “얼마 전 동아프리카에서 만난 한 아이의 어머니는 6개월 된 딸의 생존확인을 위해 맥박을 확인하고 있었다. 심지어 수업료가 부담스러워 등교하지 못하는 아동들도 많고, 특히 이들은 조혼 위험에 노출돼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생존환경도 위험에 노출, 월드비전은 생명을 구하는 보건, 영양, 식수 위생 그리고 보호 활동을 위한 자금의 증액을 요청하고 있는 상황이다.

동아프리카 지역 총책임자 릴리안 도조는 “전례 없는 상황에 직면한 동아프리카의 오늘날 위기는 국제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며 “생존과 안전의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는 수십명의 아이들이 지금 이 순간도 피해를 입거나 죽을 수 있다”며 관심을 촉구했다. “국내외 후원자들은 이들을 위해 다양한 후원에 적극 동참해달라”고 호소했다.

한편, 월드비전은 미국 선교사 밥 피어스 목사와 한경직 목사에 의해 설립됐다. 월드비전 동아프리카 식량위기 긴급구호 대상 국가는 에티오피아, 케냐, 소말리아, 남수단, 수단, 탄자니아, 우간다 총 7개국이다. 월드비전은 340만명의 아동을 포함해 약 710만 명의 사람들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구호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7700만 달러 (한화 약 770억)달러가 추가로 필요하다. 이와 함께 월드비전은 식량위기 경고는 동아프리카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며, 전세계적으로 4500만 명 이상이 기아와 기근 같은 취약한 조건과 굶주림의 위험에 처해 있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및 단일화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위기다. 대외…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대 촉구를 표명했다. 이들은 “김문수는 단순한 정치인이 아니다. 그는 노동자의 땀을 기억하는 정치인이다. …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사의 내한 이후 1985년까지 100년간 내한한 선교사 총 수는 약 3천여 명으로 파악된다(기독교역사연구소 조사). 내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