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인, 약자에 대한 관심 가장 높아… ‘혐오자’ 시선과 정반대

송경호 기자  7twins@naver.com   |  

낙태·동성혼에는 보수적, 동거·이혼 등에는 개방적

▲결혼/가정에 대한 인식 변화(공감/긍정 응답 비율).

▲결혼/가정에 대한 인식 변화(공감/긍정 응답 비율).

▲종교별 결혼/가정에 대한 인식(공감/긍정 비율).

▲종교별 결혼/가정에 대한 인식(공감/긍정 비율).

혼전순결, 이혼 등에 대한 전통적 가치관이 급속도로 무너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신교도 이 같은 추세에서 예외는 아니었으나, 다만 낙태·동성결혼 허용에 있어서는 다소 보수적인 태도를 보였다. 반면 사회적 약자(소수자)에 대한 관심은 개신교가 현저히 높다는 조사 결과는 주목할 부분이었다.

정부는 매 3년 간격으로 한국의 가치관을 추적 조사하고 있는데, 지난해의 결과에 대해 목회데이터연구소(대표 지용근)가 1월 31일 분석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모든 종교를 통틀어 “혼전순결을 지키지 않아도 된다”에 공감/긍정한 비율은 2022년 58%로 2016년 대비 21%p 높아졌으며, “낙태해도 된다”에 공감/긍정한 비율은 2022년 51%로 2016년 대비 24%p나 높아졌다.

6년 만에 “이혼해도 된다”는 2016년 41%에서 56%로, “동거도 결혼의 한 형태로 인정해야 한다”는 50%에서 67%로, “동성결혼을 허용해야 한다”는 18%에서 21%로 상승했다.

종교별로 나눌 때 비종교인들이 종교인들보다 더 개방적이었지만, 개신교인의 개방적 성향은 오히려 불교인보다 대체적으로 높았다.

2022년 조사 기준 동거(사실혼 인정)는 ‘공감/긍정’ 비율이 전체 67%를 기준으로 개신교가 68%, 불교 68%, 가톨릭 64%, 무종교 67%로 개신교가 다소 높은 편이었다. “혼전순결을 지키지 않아도 된다(전체 58% 공감)”는 비율은 가톨릭이 가장 높았으며(57%), 개신교는 52%, 불교는 46%였다.

“이혼해도 된다”는 개신교가 무려 61%로 가장 개방적이었던 반면 불교는 46%였다. 다만 낙태는 개신교인이 45%만이 공감/긍정해 가톨릭의 57%에 비해 확연히 보수적인 입장을 취했다. 동성결혼 공감/긍정률은 가톨릭 22%, 개신교 18%, 불교 15% 순이었다.

▲사회적 약자 지원 제도 확대 의견.

▲사회적 약자 지원 제도 확대 의견.

한편 ‘노인, 장애인, 여성’ 등 사회적 약자 및 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지원 제도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은 개신교인들이 가장 높았다. 장애인 지원 제도 확대(매우+약간 비율)는 전체 29%인 반면 개신교가 38%였고, 여성 지원 제도 확대(전체 26%)는 개신교가 33%, 노인 지원 제도 확대(전체28%)는 무려 개신교인 41%가 상당한 필요성을 촉구했다.

위 조사 결과는 일각에서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둘러싸고 한국교회를 ‘소수자들에 대한 혐오자’로 몰아가는 것은 현실과 전혀 다르다는 것을 입증한다.

소수자 지원 가운데 관심을 가져야 할 구체적인 항목으로는 노인 지원 제도가 확대돼야 한다는 의견이 31%(축소 17%)로 가장 많았으며, 장애인 지원 제도 확대 31%(축소 12), 지역 인재 우선 할당 29%(축소20), 여성 지원 제도 확대 27%(축소 1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한국인의 의식 및 가치관 조사’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해 7월 13일부터 8월 24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79세 이하 성인 남녀 5,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2024 부활절 연합예배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 4월 20일 오후 4시

예장 통합 총회장 사회, 예장 합동 총회장 설교, 대회장에 이영훈 목사 김정석 감독회장 인사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가 한국 기독교 선교 140주년을 맞아 부활주일인 오는 4월 20일 오후 4시, 서울 강남구 광림교회에서 개최된다. 올해는 1885년 4월 5…

이세종 심방

“심방, 가정과 교회 잇는 가장 따뜻한 통로입니다”

“2023년 12월, 울산교회 고등부 사역을 마무리하던 즈음 출판사에서 연락을 주셨고, 심방이 다음 세대 부흥에 어떤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글로 남겨보자는 제안을 주셨습니다. 그때 지난 사역 여정을 돌아보며 하나님께서 심방의 길을 열어주신 뒤, 한 영혼이 변화…

기독교한림원

선교 140주년, 한국교회의 진정한 역사와 역할은

한국교회 선교 역사, 140주년 이상 토마스, 칼 귀츨라프 선교사 기억을 암울한 시기 여명의 빛으로 떠올라 새로운 삶의 의미와 희망 가져다줘 근대 사회 진입에 큰 역할 잘 감당 지금도 자유민주주의 수호에 앞장 한국기독교한림원(이사장 조용목 목사, 원장 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