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호 박사의 ‘이중창’ 1] 말 한 마디, 생명의 나무를 심는다
‘최원호 박사의 이중창’ 칼럼은 신앙과 심리학의 결합된 통찰력을 통해 사회, 심리, 그리고 신앙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합니다. 이 칼럼은 새로운 통찰력과 지혜를 제공함으로써 독자 여러분들의 삶과 신앙에 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합니다. -편집자 주
세상에서 가장 힘 있는 것 중 하나는 바로 ‘말’입니다. 말은 상처를 줄 수도 있고, 치유를 이뤄낼 수도 있습니다. 잠언 15장 4절에서는 “유순한 혀는 생명의 나무요 패역한 입은 심령을 상하게 하느니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힘을 경시하거나 무시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들은 말의 힘을 무시하거나 남용하며,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줍니다.
짧은 일상 대화에서도 자신의 직위를 이용해 “경솔하게 말하는 자인지, 지혜 있는 자인지”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국회의원들이 종종 보여주는 것이 바로 이런 모습입니다. 존대어마저 겨우 억지로 사용하는 듯, 무조건적으로 명령문의 요청을 하곤 합니다. “나와 주시겠습니까?”가 아니라 “나오세요”, 그것도 방송이 아니라면 속으로는 “나와”라고 소리치고 싶은 것을 억지로 참고선 “나오세요”라고 하는 듯한 표정을 읽을 수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삿대질은 보통이며, 호통을 치고 서류를 집어던지기까지 하는 ‘갑질의 대명사’이니, “경솔하게 말하는 자는 칼로 찌르는 것 같다”는 말은 대한민국 국회의원의 대명사입니다. 명령권자인 ‘갑’ 국회의원들과 ‘을’인 국무위원들 모습 말입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은 정치판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한국교회와 목회자들 사이에서도, 설교 시간에도, 성도들 간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는 우리 사회 깊은 곳에 뿌리 내린 문제로, 이를 개선하려면 끊임없이 고민하고 기도하며 행동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말의 힘은 오로지 상처를 주는 도구만은 아닙니다. 잠언에서는 “지혜 있는 자들의 혀는 치료하느니라”고 했습니다. 이 말은 우리에게 말이 치료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가리킵니다.
이를 확인하려면 지난 15일 있었던 국회 대정부질문을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김예지 의원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 사이의 대화입니다. 김예지 의원이 “먼저 법무부 장관님, 발언대로 나와 주실 수 있을까요?”라며 한동훈 장관을 불렀습니다. 한동훈 장관은 “의원님, 한동훈 장관 나와있습니다”라며 공손하게 연단에 섰음을 알렸습니다. 김예지 의원도 “네, 장관님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라며 질문을 이어갔습니다.
이 사례는 상대방을 배려한 세련된 말 한 마디가 어떻게 우리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입니다. 그들의 배려와 존중을 담은 말 한 마디가 우리에게 보여준 것은 사람들이 어떻게 말하느냐에 따라 마치 날카로운 칼처럼 상대방을 상처 입힐 수 있음과 동시에, “지혜 있는 자들의 혀는 치료하느니라”는 말씀처럼 말이 치유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우리의 말이 우리 자신과 가족, 친구, 동료, 그리고 사회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해하고 행동하는 것이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말 한 마디로 우리 주변을 바꿔봅시다. 우리 모두의 말 한 마디가 생명의 나무를 심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최원호 목사
최원호 목사는 심리학 박사로 서울 한영신대와 고려대에서 겸임교수로 활동했습니다. '열등감을 도구로 쓰신 예수', ‘열등감, 예수를 만나다’ ‘나는 열등한 나를 사랑한다’ 등 베스트셀러의 저자로 국제독립교회연합회(WAIC)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습니다. 서울 중랑구 은혜제일교회에서 사역하면서 웨이크사이버신학원 교수로 활동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