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주간 설교 5.9회… “시대 흐름보다 하나님 말씀에 초점”

송경호 기자  7twins@naver.com   |  

[한국 기독교 분석 리포트 ④] 목회자의 목회 실태

▲설교 주제에 관한 의견.

▲설교 주제에 관한 의견.

한국사회의 탈종교화가 가속화되고, 개신교는 최악의 경우 10년 뒤 총인구의 10%까지 추락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한목협)가 올 초 다섯 번째 ‘한국 기독교 분석 리포트’를 발표하고, 최근 목회데이터연구소가 이를 토대로 총 5차례의 분석을 내놨다. 네 번째 주제는 ‘목회자의 목회 실태: 슬기로운 목회생활’이다.

횟수 줄고 준비 시간 늘어

담임목사들의 주일 대예배 설교를 위한 준비 시간은 10년 전 대비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평균 8시간 54분으로 2012년 ‘4시간 41분’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반면 평균 대예배 설교 시간은 40분으로 2012년 46분에서 감소하고 있다.

담임목사들에게 지난 한 주간 평균 설교 횟수를 물은 결과 평균 5.9회였는데, 2012년 7.5회, 2017년 6.7회에서 감소했다. 설교 횟수는 줄고 있지만 설교 횟수가 많다고 생각한 목회자는 45%로 10년 전인 2012년 12% 대비 크게 증가했다. 연구소는 “설교의 질 향상 측면에서 설교 1편을 준비하는 시간이 이전보다 많이 필요하기에, 상대적으로 설교 횟수가 많다는 인식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주일 대예배 설교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야 할까. ‘신앙 성숙, 교훈’이 5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결단, 사명/소명’ 31%, ‘위로, 축복’ 10% 등의 순이었다. 2017년 대비 ‘결단, 사명/소명’ 응답이 증가한 점이 주목된다. 담임목사 3명 중 2명(67%)은 ‘설교는 오직 하나님 말씀만 전해야 한다’를 꼽아 가장 높았는데, 해당 의견에 대한 인식은 2017년 50% 대비 높았다. 반면 ‘시대에 맞게 현대사회의 주제들을 다뤄야 한다’는 의견은 2023년 25%로 2017년 32%에서 감소했다.

한 주 목회상담 4.4명

설교 사역에서 가장 어려운 점으론 ‘문화 및 사회의 급변’을 꼽은 비율이 3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설교 횟수가 많다’ 19%, ‘다른 사역이 많다’ 14% 등의 순이었다.

한 주간의 목회상담(심방) 횟수를 조사한 결과, 평균 4.4명으로 나타났다. 월요일 하루 휴식을 취하고, 주일예배를 준비하고 드리는 토, 일을 제외한다면 화~금 기준 하루 1명 남짓 교인과의 상담 또는 심방을 하는 셈이다. 목회상담(심방) 방식으로는 2017년은 대면 방식이 83%로 주를 이뤘으나 2023년 57%로 낮아진 반면, ‘전화 심방’이 31%로 2017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목회의 주요 다섯 가지 분야(예배, 교육, 전도, 친교, 봉사) 중 비중은 ‘예배’가 44%였고 다음으로 ‘교육’ 18%, ‘친교’ 14% 등의 순이었다. 개교회의 목회가 예배와 교육에 상대적으로 집중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코로나 이전 대비 사역의 회복은 ‘성경공부’, ‘구제/봉사’, ‘소그룹 활동’ 등 대부분의 활동에서 평균 50~60% 정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목회자 연령이 낮을수록 목회 활동력이 높았다.

목회 코칭 경험률 47%

▲항목별 만족도.

▲항목별 만족도.

목회자가 자신의 설교에 대해 정기적으로 평가를 받는 비율은 얼마나 될까? 2012년 목회자 중 55%가 ‘정기적 설교 평가를 받는다’고 응답했으나, 2023년 24%로 10년 사이 설교 피드백을 받는 비율이 절반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설교 피드백은 ‘배우자/가족’으로부터 받는 경우가 75%로 압도적이었고, 그 외에 ‘교인’ 11%, ‘교회 밖의 지인’ 11% 등으로 응답했다.

목회자에게 가장 많은 영적 도움을 주는 사람은 ‘배우자/가족’(45%)과 ‘선후배/친구 목회자’(42%)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2017년 대비 배우자/가족을 꼽은 비율은 줄어든 반면 ‘선후배/친구 목회자’를 꼽은 비율은 14%p나 증가했다.

‘목회 코칭 경험률’은 전체 담임목회자의 절반 가량(47%)이었고, ‘목회에 자문해 주는 평신도 전문가가 있는 경우’는 12%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앞으로 목회 코칭을 받고 싶다’에 담임목사 10명 중 7명이 ‘그렇다’고 응답했다. ‘여건만 된다면 우리 교회에 대한 목회 컨설팅을 받고 싶다’고 묻는 질문에 전체 담임목사의 67%가 ‘그렇다’고 답했다.

‘전도’ 만족도 57%→19%

현재 시무하고 있는 교회에 대한 항목별 만족도(5점 척도)를 살펴 봤다. ‘교회 사역에 대한 일반 성도의 참여’(53%)와 ‘하나님을 경험하는 기도와 예배의 영성’(51%)만이 50% 이상 만족도를 보였으며, ‘체계적인 전도 활동’은 2012년 57%에서 2023년 19%로 떨어져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그만큼 코로나 이후 한국교회의 전도 활동이 약해졌음을 나타내고 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2024 부활절 연합예배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 4월 20일 오후 4시

예장 통합 총회장 사회, 예장 합동 총회장 설교, 대회장에 이영훈 목사 김정석 감독회장 인사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가 한국 기독교 선교 140주년을 맞아 부활주일인 오는 4월 20일 오후 4시, 서울 강남구 광림교회에서 개최된다. 올해는 1885년 4월 5…

이세종 심방

“심방, 가정과 교회 잇는 가장 따뜻한 통로입니다”

“2023년 12월, 울산교회 고등부 사역을 마무리하던 즈음 출판사에서 연락을 주셨고, 심방이 다음 세대 부흥에 어떤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글로 남겨보자는 제안을 주셨습니다. 그때 지난 사역 여정을 돌아보며 하나님께서 심방의 길을 열어주신 뒤, 한 영혼이 변화…

기독교한림원

선교 140주년, 한국교회의 진정한 역사와 역할은

한국교회 선교 역사, 140주년 이상 토마스, 칼 귀츨라프 선교사 기억을 암울한 시기 여명의 빛으로 떠올라 새로운 삶의 의미와 희망 가져다줘 근대 사회 진입에 큰 역할 잘 감당 지금도 자유민주주의 수호에 앞장 한국기독교한림원(이사장 조용목 목사, 원장 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