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31일 할로윈(핼러윈) 데이가 올해도 변함없이 눈앞으로 다가왔다. 지난해 발생했던 이태원 참사의 영향 때문인지 올해 할로윈에는 언론들도 기업들도 예년에 비해 마케팅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듯하다.
그렇다면 이때야말로 우리 기독교계와 사회가 차분하게 할로윈 문화에 대해 성찰할 적기라 할 수 있다. 이태원 참사로 인해 많은 국민들이 할로윈 문화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또한 몇 년이 지나 이 참사에 대한 기억이 옅어지면, 이 같은 문제의식이 또다시 엄청난 열기와 바람에 묻혀 주목받기 힘들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서구, 특히 오늘날 할로윈 문화가 가장 활성화돼 있는 미국의 기독교계에서는 할로윈에 대한 신학적 비판과 고찰이 많이 있어 왔다. 미국에 있는 한인교회들에서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한국교회는 이를 그저 낯설고 먼 이방 문화 정도로 여겨 상대적으로 무관심해 왔으나, 이제는 더 이상 그럴 수 없는 처지다. 십수 년 전부터 영어유치원과 영어학원 등에서 할로윈 파티 문화를 접했던 아이들이 성인이 되면서, 그것이 젊은이들에게 하나의 유행이 돼 버렸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제 한국교회도 서구(특히 미국)의 교회들과 한인교회들이 오래 전부터 해 왔던 고민을 더 이상 피할 수 없게 됐다. 바로 “기독교인들이 할로윈 문화에 동참해도 되는가”이다.
할로윈은 고대 켈트족의 축제인 삼하인(Samhain)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켈트족은 사람이 죽으면 그 영혼이 약 1년간 사람의 몸 안에 머물다가 사후세계로 떠난다고 믿었는데, 이들의 달력에 따르면 10월 31일이 한 해의 마지막 날이었기에 이날 죽은 자의 영혼을 위로하고 악령을 쫓아내는 의식을 했다.
켈트족은 10월 31일 해질녘에 열리는 이 축제에서 모닥불을 피우고, 악령처럼 변장을 하고, 저녁 시간 죽은 자의 영혼을 불러 모았다. 특히 그들은 악령처럼 변장하면 악령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다가 가톨릭에서 5월 13일을 ‘모든 성인 대축일(All Hallows' Day)’ 또는 만성절(萬聖節)로 제정했다가 이를 11월 1일로 변경했고, 이에 그 전날인 10월 31일은 그 전야제(All Hallows' Day evening)가 됐고, 그 줄임말이 할로윈이 됐다고 한다.
이 할로윈이 켈트족의 고대 문화에서 유래된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기독교 문화 축제였다는 주장도 있으나, 그렇다고 할로윈을 순수 기독교적 문화 전통이라 할 수는 없다. 결과적으로 그 할로윈 문화가 전파되는 과정에서 켈트족의 이교 문화가 심각하게 혼합됐고, 더 나아가 오히려 그 이교 문화가 주류가 됐기 때문이다. 오늘날 할로윈 문화를 즐기면서 기독교적 의미를 기리는 이들을 거의 전무하다.
오늘날의 할로윈은 단지 상업적이고 유흥적인 요소만 강할 뿐 미신적인 요소는 사라졌다는 주장도 있으나, 이 역시 그저 안이하게만 볼 사안은 아니다. 할로윈 문화의 상업성과 선정성은 그 자체로 젊은이들의 정신 건강에 크나큰 해악을 끼치는 지경에 이르렀다.
또한 이교의 의식에서 유래된 문화를, 그 종교적 의미를 배제한다고 해서 합리화·정당화할 수는 없다. 더욱이 많은 사탄숭배자들과 흑주술사들이 여전히 이날을 악령들과 접할 수 있는 날로 여겨, 온갖 해괴한 행위들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에서 ‘마녀’ 출신으로 신실한 기독교인이 된 제니 위버라는 인물은 과거 한 기독교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할로윈은 사탄의 놀이터라고 경고하며 기독교인들의 분별을 촉구한 바 있다.
그녀는 “할로윈은 마녀와 마법사들이 마귀들의 영역에 접근하기 위해 마법을 연습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날이기 때문에 ‘사탄의 놀이터’”라며 “이 기간 마녀와 마법사들이 마귀적 영역과 세속적 영역의 구분이 평소보다 얇아져, 마법을 하는 이들이 마귀적 영역에 접근할 수 있다”고 했다.
그녀는 “할로윈은 사탕과 재미있는 의상에 관한 것만이 아니다. ‘할로윈의 기원’과 ‘할로윈’을 분리할 수 없다. 마법을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휴일을 마법과 따로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점치는 판을 들고 주님을 섬기는 데 사용하겠다고 말할 수 없다. 사람들은 의식적으로 주님을 섬기기 위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왜냐하면 당신은 하나님과 마귀를 동시에 섬길 수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더욱이 10월 31일은 기독교계에 있어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중요한 날이다. 바로 1517년 10월 31일 마틴 루터가 ‘95개조의 반박문’을 비텐베르크 대학교 교회의 정문에 내걸며 위대한 종교 개혁을 시작한 것을 기념하는 ‘종교개혁기념일’이다. 이를 통해 루터는 당시 로마가톨릭의 부패, 특히 면죄부 판매를 비판하고, “오직 믿음으로, 오직 은혜로, 오직 성경으로(Sola Fide, Sola Gratia, Sola Scriptura)”라는 성경적 신앙을 정립했다.
이 종교개혁기념일을 맞아 모든 기독교인들이 참된 개혁자의 자세를 고민하며 예수를 닮고 성경적인 바른 신앙을 회복하는 데 힘쓰는 일에만 집중해도 모자랄 터인데, 세속적 문화 축제에 한눈을 판다는 것은 너무나도 안타까운 일이다.
다시 강조하지만 이제 한국교회도 할로윈 논쟁을 외면해선 안 되며, 이를 위해 지금과 같은 적기를 절대 놓쳐선 안 된다. 부디 뜻있는 지도자들과 신학자들이 이 일에 지혜를 모아 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