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 61% “삶 나누는 정기적 소그룹 없다”

송경호 기자  7twins@naver.com   |  

목회데이터연구소, 목회자 소그룹 통한 위로와 은혜 제안

▲목회자 10명 중 6명은 자신의 삶을 나눌 수 있는 정기적 소그룹 모임이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데이터연구소

▲목회자 10명 중 6명은 자신의 삶을 나눌 수 있는 정기적 소그룹 모임이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데이터연구소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소그룹’의 중요성은 오히려 부각됐다. 소그룹 활동자의 기본 신앙 지표가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월등히 높다는 사실은 그동안의 통계에서도 드러났다.

그렇다면 성도들이 아닌 목회자들은 말씀과 삶을 나누는 ‘소그룹’이 있을까. 목회데이터연구소(소장 지용근)가 넘버즈(Numbers) 구독자 중 목회자를 대상으로 이를 조사했다.

설문에 응답한 목회자 536명 중 “삶을 나누는 정기적 소그룹이 있다”는 이들은 39%에 불과했으며, ‘없다’는 목회자는 61%였다. 목회자 10명 중 6명은 자신의 삶을 나눌 수 있는 정기적 소그룹 모임이 부재한 것이다.

연구소는 “목회자들도 목회자 그룹 간 소그룹 형성을 통해 삶을 나누고 그 모임 속에서 서로 간 위로와 은혜가 경험되는 시간을 모색해보는 건 어떨까”라고 했다.

대규모로 모이기 힘들었던 코로나 시기를 지나며 한국교회는 오히려 친밀도가 높은 ‘소그룹’에 주목했다.

2021년도 11월 지구촌교회와 한국소그룹목회연구원, 목회데이터연구소가 실시한 ‘한국교회 소그룹 실태조사’에 따르면 신앙나눔, 온라인 예배, 제자훈련 등 대다수 항목에서 소그룹 활동자의 지표가 2~4배 높았다.

조사 당시 한 주간 신앙 활동 중 신앙나눔/상담은 소그룹 활동자가 30%인 데 반해 비활동자는 7% 수준이었으며, 성경공부/제자훈련 역시 활동자 25%, 비활동자 6%였다. 기독교 신문/서적 읽음은 활동자 21%, 비활동자 8%였다.

“전도 대상자를 마음에 정한 적 있는가”는 소그룹 활동자 34%, 비활동자 14%였고, 실제 전도한 비율은 활동자 17%, 비활동자 4%였다. 가정예배는 활동자 31%, 비활동자 20%였으며 “평소 자녀 신앙교육을 하고 있다”는 활동자 77%, 비활동자 48%였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2024 부활절 연합예배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 4월 20일 오후 4시

예장 통합 총회장 사회, 예장 합동 총회장 설교, 대회장에 이영훈 목사 김정석 감독회장 인사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가 한국 기독교 선교 140주년을 맞아 부활주일인 오는 4월 20일 오후 4시, 서울 강남구 광림교회에서 개최된다. 올해는 1885년 4월 5…

이세종 심방

“심방, 가정과 교회 잇는 가장 따뜻한 통로입니다”

“2023년 12월, 울산교회 고등부 사역을 마무리하던 즈음 출판사에서 연락을 주셨고, 심방이 다음 세대 부흥에 어떤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글로 남겨보자는 제안을 주셨습니다. 그때 지난 사역 여정을 돌아보며 하나님께서 심방의 길을 열어주신 뒤, 한 영혼이 변화…

기독교한림원

선교 140주년, 한국교회의 진정한 역사와 역할은

한국교회 선교 역사, 140주년 이상 토마스, 칼 귀츨라프 선교사 기억을 암울한 시기 여명의 빛으로 떠올라 새로운 삶의 의미와 희망 가져다줘 근대 사회 진입에 큰 역할 잘 감당 지금도 자유민주주의 수호에 앞장 한국기독교한림원(이사장 조용목 목사, 원장 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