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방대법원, 아이다호주 낙태 금지 소송 기각

강혜진 기자  eileen@chtoday.co.kr   |  

병원에 긴급 낙태 수술 허용하는 하급법원 판결 인용

▲매년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생명의 행진’에 참여한 시민들의 모습.  ⓒMarch for Life

▲매년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생명의 행진’에 참여한 시민들의 모습. ⓒMarch for Life
미국 연방대법원이 아이다호주의 낙태 금지에 대한 소송을 기각하고 병원에 긴급 낙태 수술을 하도록 요구하는 연방 지침을 허용하는 하급법원 판결을 인용했다. 

공화당이 주도하는 아이다호 주정부와 바이든 행정부는 낙태를 산모의 생명이 위협받는 경우에만 허용하는 주정부의 전면적 낙태 금지 법안을 놓고 법적 대립을 벌여왔다. 연방정부는 주정부가 응급 의료 및 노동법에 따라 낙태를 제공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르면, 연방대법원은 6월 27일(이하 현지시각) 오전 공개된 간략한 전원일치 의견서에서 “‘모일레 대 미국’(Moyle v. United States) 사건과 ‘아이다호 대 미국’(Idaho v. United States) 사건이 경솔하게 승인됐다”며 이를 기각했다. 고등법원이 사건에 대한 주장을 듣지 말았어야 했다는 의미다. 

대법원은 또 연방정부가 필수적 의료 서비스인 ‘메디케어’ 자금을 지원받는 병원에 응급 낙태 서비스 제공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한 하급법원의 가처분 명령에 대한 집행 유예를 취소했다.

존 로버츠(John Roberts) 대법원장, 브렛 캐버노(Brett Kavanaugh) 판사와 함께 결정에 대한 동의 의견을 작성한 에이미 코니 배럿(Amy Coney Barrett) 판사는 “우리가 상고를 허가한 이후 이러한 사건의 형태가 상당히 바뀌었다”고 밝혔다. 

배럿 판사는 “당사자들은 ‘응급 의료 치료 및 노동법’(EMTALA)이 병원들에 낙태나 주법에 의해 금지된 다른 치료법을 제공하는 것이 치료를 안정시키는 데 필요한지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또한 의회의 지출권에 따라 제정되고 개인 당사자에게 적용되는 법률인 EMTALA가 주법(이 법원에서 처음으로 제기된 사안)보다 우선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내 판단으로는 지금 이러한 중요한 질문에 답하는 것은 경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 소송이 지방법원에서 시작된 이후 아이다호 법은 크게 두 번이나 바뀌었다. 그리고 우리가 증명서를 승인한 이후 당사자들의 소송 입장은 (법적) 분쟁의 범위를 불분명하게 만들었다”고 했다.

한편 해당 내용은 판결이 나오기 전날, 익명의 당사자가 의견서 사본을 대법원 홈페이지에 올려 유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로(Bloomberg Law)는 “유출된 의견은 대법원이 사건을 기각하고 소송이 계속되는 동안 EMTALA에 따라 긴급 낙태를 허용할 것임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전미 생명권위원회는 유출된 것으로 알려진 판결에 대해 성명을 내고 “하급법원이 50개 주 전체의 법률과 마찬가지로 유산 관리 및 의료적 응급 치료를 명시적으로 허용하는 아이다호주 법률을 지지할 것으로 여전히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한장총 천환

“중독 빠지지 않도록… 다음 세대 맑게 키워내자”

중독, 청소년들만의 문제 아니다 자녀들 위해 애통하고 통회할 때 이 땅 모든 자녀들 품고 기도해야 한국장로교총연합회(대표회장 천환 목사) 다음세대위원회 주최 ‘청소년 중독예방 세미나’가 6월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 조에홀에서 개최됐다…

 ‘급변하는 시대, 기독교학교가 가야할 길’을 주제로 2024 사학미션 포럼

“기독사학들, 교원임용권·고교학점제 파행 공동 대처해야”

사학법 개정 후, 기간제 교사 수 정교사의 6배 학교 선택 막으면서 왜 과목 선택만 집착하나 사립학교들의 건학이념 구현이 도전받는 상황에서 기독교 사학들의 공동 대응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특히 ‘교원 1차 필기시험을 교육청에 의무 위탁하는 사립…

진실화해위 충청 기독교인 희생 순교

6.25 당시 충청 교회 30곳 기독교인 71명 순교 공식 확인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위원장 김광동, 이하 진실화해위)가 6.25 전쟁 당시 공산당과 좌익 등에 의해 ‘충청 교회 30곳에서 기독교인 71명이 희생당한 사건’에 대해 진실규명 결정을 내리고, 국가와 관련 부처 등에 후속 조치를 권고했다. 6월 25일 서울 …

 EXPLO’74 50주년 기념대회

EXPLO’74 성령 폭발 재현은 이제부터… ‘도시전도 운동’ 펼친다

“한국CCC 사상 최초 ‘한 해 단기선교 3천 명’ 파송 시대 계획” 1974년도 EXPLO’74에 모였던 35만 명의 청년들이 그랬던 것처럼, 지난 5일간 EXPLO’74 50주년 기념대회에 참여했던 청년들이 각자 속한 지역으로 돌아가 지구별 ‘도시전도 운동’을 펼친다. 한국 CCC(대…

비사랍 세르게이 목사, 순교자의 소리,

“오늘날 기독교인들의 진정한 영웅은 순교자들”

중앙아시아 출신 순교자 기념은 처음 순교 이후 가족들이 교회 사역 지속 전 세계 박해받는 성도에 대해 알려야 한국순교자의소리(한국 VOM)가 올해 ‘기독교 순교자의 날’을 앞두고 2004년 1월 12일 중앙아시아에서 순교한 세르게이 비사랍(Sergei Bessarab) 목사를 …

인터콥

‘선교적 교회’론 적극 적용한 교회, 확연한 성장세

관련 이론 나온 지 20년 흘렀지만 목회자 중 2/3는 여전히 인식 부족 핵심은 평신도의 ‘선교적인 삶’ 성도의 공감과 자발적 참여 관건 ‘선교적 교회’론이 등장한 지 20여 년이 지났지만 목회자 3명 중 2명은 여전히 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