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중 절반은 최소 1년간 ‘전도행사’ 없었다

송경호 기자  7twins@naver.com   |  

목회데이터연구소 제87차 넘버즈 Poll 조사

최대 사명으로 ‘영혼 구원’ 꼽지만
절반은 전도 언급 월 1회도 안 해
교인들 관심은 목회자 열정에 좌우

▲엑스플로7424 대회를 마친 후 현장에 참석했던 청년들이 다양한 도시전도운동을 펼치는 모습(위 사진은 본 기사 내용과 직접적 관련이 없음). 

▲엑스플로7424 대회를 마친 후 현장에 참석했던 청년들이 다양한 도시전도운동을 펼치는 모습(위 사진은 본 기사 내용과 직접적 관련이 없음). 

▲지난 1년간 전도 행사(태신자 초대 프로그램)를 교회에서 진행한 적이 있는가에 대한 설문. ⓒ목회데이터연구소

▲지난 1년간 전도 행사(태신자 초대 프로그램)를 교회에서 진행한 적이 있는가에 대한 설문. ⓒ목회데이터연구소

‘영혼 구원’을 가장 큰 사명으로 꼽았던 한국교회 목회자들의 전도에 대한 실제 열정은 어느 정도일까.

목회데이터연구소(대표 지용근, 이하 목데연)가 연구소 구독자 중 담임목사들에게 ‘지난 1년간 전도 행사(새신자 초대 프로그램)를 교회에서 진행한 적이 있는지’를 물었다.

그 결과 참여자 307명 중 ‘있다’는 답변과 ‘없다는 답변이 각각 50%로 나타났다. 교회 2곳 중 1곳은 사실상 ’총동원주일‘, ’태신자 전도축제‘ 등 전교인 차원의 전도 시도가 없었다는 것이다.

목회자의 전도 열정이 교인의 전도 관심도와 전도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지난 8월 목데연 넘버즈 244호 ‘한국교회 전도 실태’에서 드러난 바 있다.

당시 조사에서 목회자가 생각하는 교회의 가장 큰 사명에 대해 52%가 ‘영혼 구원’을 압도적으로 꼽았으면서도, 목회자 절반 가까이는 설교 시 월 1회조차 전도에 대해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자의 설교 시 전도 언급 비중이 월 1회 이상으로 높을수록 ‘매우 관심’ 있어 하는 성도는 30%였지만, 그 빈도가 낮을수록 관심도는 대폭 하락했다. 교회에서 전도를 주도하는 이들은 ‘매우 적극적이다’는 10%의 성도들이었다.

교회에서 전도에 대한 교육/훈련을 하지 않고 있다는 비율도 46%에 달했으며, 전도 교육을 하지 않는 이유는 ‘더 시급한 것이 많아서’라는 비율이 26%였다. ‘전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모른다(23%)’ 등 관심과 노력이 부족한 측면도 드러났다.

전도를 통해 교회에 출석한 자 수를 교회 특성별로 살펴본 결과, ‘교인들의 전도 관심도’가 높을수록, ‘전도 교육과 새신자 담당부서’가 존재하는 경우일수록 전도로 교회 출석한 수가 훨씬 많았다.

목데연은 “코로나 이후 한국교회 새신자 등록률이 아직 회복이 안 되고 있는데, 목회자들은 전도 행사 개최뿐 아니라 전도 관련 설교와 교육 등에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및 단일화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위기다. 대외…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대 촉구를 표명했다. 이들은 “김문수는 단순한 정치인이 아니다. 그는 노동자의 땀을 기억하는 정치인이다. …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사의 내한 이후 1985년까지 100년간 내한한 선교사 총 수는 약 3천여 명으로 파악된다(기독교역사연구소 조사). 내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