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데연, ‘지역 소멸 위험’ 진단
25년 후에는 국내 기독교인의 인구가 지금보다 265만 명 줄어든 560만 명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 제시됐다. 특히 지방 소멸 위험 증가 속에서 경상도 지역에서는 절반 가까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다.
목회데이터연구소(이하 목데연)은 21일 넘버즈 272호에서 통계청·감사원·인구보건복지협회 등의 최근 조사 결과와 한교총/목데연의 지난해 ‘한국기독교 교세 추세 현황’ 등을 종합 분석해 한국교회 교세 전망을 살폈다. 이들은 “인구 구조의 지역별 변화가 한국교회의 미래에 미칠 영향을 고민하며, 그 대책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취지를 밝혔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인구는 2020년 정점(5,184만 명)을 찍은 이후 하락세에 접어들었는데, 앞으로 약 50년 후인 2072년에는 3,622만 명으로 올해 2025년 대비 30%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25년 후인 2050년까지 기준으로 보면 총인구는 9% 감소하지만,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오히려 1,051만 명에서 1,891만 명으로 80%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멸 위험지역은 시·군·구별 기준으로 전국 228개 중 130곳으로 전국 57%에 이르렀다. 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인구 수를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눠 산출하는데, 0.5 미만일 경우 ‘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한다. 17개 광역시·도 중 위험지역은 전남, 경북, 강원, 전북, 경남, 충남 등의 순이었다.
지방의 소멸 위험이 증가하는 것은 일자리, 의료, 교육 등 정주 여건이 좋은 수도권으로의 인구 이동도 주된 이유로 보이며, 수도권 인구는 2019년 이후 비수도권 인구를 넘어 그 격차를 더 벌리고 있다.
이러한 지방 소멸 위기 속에 한국교회 지방의 교세는 어떻게 변화할까. 한교총과 목데연이 공동으로 2050년까지 한국기독교 인구수를 예측한 ‘한국기독교 교세 추계’ 분석을 지난 넘버즈 255호에서 발표했었다.
현재 한국교회가 놓인 조건과 상황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전제로 파악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에서 2050년까지 기독교인 수는 32% 감소하며, 특히 경상도 지역의 감소율(47~48%)이 가장 클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는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은 503만 명에서 359만 명(-29%), 호남권(광주, 전북, 전남, 제주)은 95만에서 51만(-36%), 충청권(대전, 세종, 충북, 충남)은 90만에서 66만(-27%), 경남권(부산, 울산, 경남)은 68만에서 36만(-47%), 경북권(대구, 경북)은 50만에서 26만(-48%), 강원은 21만에서 14만(-33%)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도시 기독교인 수는 2025년 362만 명에서 2050년 225만 명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 반면, 농어촌 기독교인은 14% 가량만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질적 성장’에 승부하라는 메시지일수도”
목데연은 “한국 사회가 직면한 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 문제는 단순히 경제적·사회적 위기를 넘어 교회의 목회 환경에도 커다란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고 했다.
교회의 미래 전략에 대해 “인구와 교인 수 감소 상황에서 교회는 더 많은 사람을 모으는 데 집중하기보다 청소년·청년 등 한 사람의 기독교 가치관/세계관으로 무장된 크리스천을 세우는 방향으로 전환”을 제안했다.
지방 소멸은 지역 교회의 역할을 재정립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봤다. 목데연은 “목회자들은 ‘선교적 교회의 특징’으로 영혼 구원이나 해외 선교사 파송보다는 사회적 봉사 등 지역 사회와 함께하는 사역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며 “인구 감소 현상은 교회가 영혼의 질적 성장에 승부를 걸라는 하나님의 메시지일지 모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