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이주민 사역 관심 증가···제도·조직 뒷받침돼야

강혜진 기자  eileen@chtoday.co.kr   |  

장기 선교사의 국내 이주민 선교 현황

한국선교연구원(kriM)은 최근 국내 이주민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주요 선교 단체와 교단들이 이주민 선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 2024년 선교 현황에서는 선교 단체와 교단에서 이뤄지고 있는 국내 이주민 선교 현황을 추가적으로 조사했다.

ⓒkriM 제공
ⓒkriM 제공

앞서 언급한 한국 장기 선교사의 사역 대상자 비율에서 국내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비율은 전체 사역 대상자의 4.2%로 집계됐다. 이를 대상자 유형별로 세부적으로 구분했을 때,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선교사가 27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외국인 유학생 193명, 국내 다문화가정 161명, 북한 이주민 38명, 국내 난민 31명, 기타 30명 순으로 집계됐다.

장기 선교사의 국내 이주민 사역 기반

ⓒkriM 제공
ⓒkriM 제공

장기 선교사의 국내 이주민 사역의 기반을 센터, 교회, 개인 및 협력 등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눠 비교했을 때, 교회를 기반(222명, 38.4%)으로 하는 이주민 사역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센터(기관, 비영리 기관 포함)를 통한 사역(190명, 32.9%), 개인 및 협력을 통한 사역(166명, 28.7%) 순으로 집계됐다. 한국 선교사의 국내 교회를 기반으로 하는 이주민 사역 가운데, 일반적인 교회 내에서 이주민 사역을 하는 비율(34.2%)보다 이주민을 주요 대상으로 하는 교회에서 사역하는 비율(65.8%)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장기 선교사의 국내 이주민 사역 유형

ⓒkirM 제공
ⓒkirM 제공

장기 선교사의 국내 이주민 사역 세부 유형으로, 주일 외국인 예배(239명)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제자 훈련(199명), 전도 활동(160명), 한국어 교육(145명), 성경공부(132명), 다문화 자녀 돌봄(57명), 상담지원(49명), 행사활동 지원(49명), 생활 지원(무료 이발, 물품 등, 40명), 쉼터 제공(32명), 이주민 선교교육(32명), 의료 지원(18명), 기타 활동(16명), 연구와 소식지 발행(14명) 순으로 집계됐다.

장기 선교사의 국내 이주민 사역이 교회를 기반으로 하는 사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것처럼, 세부 사역 유형에 있어서도 교회 내 주일 외국인 예배에서 사역하는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장기 선교사의 국내 이주민 사역 지역과 대상

ⓒkriM 제공
ⓒkriM 제공

국내 이주민 사역을 위해 장기 선교사가 가장 많이 사역하고 있는 곳은 경기 지역(210명: 경기남부 102, 경기북부 80, 경기기타 28)이며, 다음으로 서울(104명), 충청(35명: 충남 20, 충북 12, 충청기타 3), 인천(33명), 전라(33명: 전남 17, 전북 16), 경상(32명: 경남 18, 경북 14), 대전(19명), 부산(17명), 대구(13명), 광주(13명), 제주(11명), 강원(6명) 순으로 집계됐다.

이주민 대상으로 가장 많은 선교사가 사역하고 대상국가 또는 민족으로는 한족 및 중국 동포(105명: 경기 30, 서울 29, 제주 8명 등)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다민족(93명: 서울 13, 대전 13, 경기 12명 등), 베트남(39명: 경기 16, 전라 12, 인천 4명 등), 네팔(30명: 경기 19, 서울 6, 인천 4명 등),캄보디아(27명: 경기 23, 인천 2, 경상 2명 등), 북한 이탈 주민(26명: 서울 12, 경기 9, 인천 2, 충청 2명 등), 태국(25명: 경기 25명), 필리핀(25명: 서울 8, 경기 8, 인천 4명 등), 러시아(23명: 경기 10,부산 6, 충청 3명 등), 아랍 및 중동 무슬림(20명: 서울 10, 경기 5, 전라 2, 경상 2명 등), 인도네시아(15명: 경기 5, 서울 3, 충청 3명 등), 고려인(13명: 경기 8, 인천 4, 경남 1명), 몽골(12명: 서울 6, 충청 4, 경상 1명), 튀르키예(11명: 경기 11명), 인도(10명: 경기 6, 충청 2, 광주 2명), 스리랑카(9명: 경기 3, 부산 2, 광주 2, 경상 2명)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이주민 선교를 위한 제도 및 조직

ⓒkirM 제공
ⓒkirM 제공

이번 조사에서 이주민 선교를 위한 제도 및 조직이 “있음”을 표시한 단체는, 응답한 201개 단체 중에서 15.9%(32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선교사 파송을 주로 하는 파송단체만 고려해 볼 때, 선교사가 국내 이주민 사역을 하기 위한 단체 내 제도나 조직이 “있음”을 표시한 단체는 19.1%로 나타났다.

특히 교단 소속 선교사가 국내 이주민 선교 사역을 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장치가 매우 중요한데, 응답한 37개 교단 가운데 이러한 제도나 조직이 “있음”을 표시한 교단은 10곳(27.0%)으로 나타났다.

선교단체 내에서 이러한 국내 이주민 선교를 위한 제도나 조직이 세워지기 시작한 것은 주로 2000년대 초기부터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2016년부터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이는 선교단체와 교단 선교부의 국내 이주민 선교를 위한 제도나 조직이므로, 국내에서 시작한 이주민 사역 조직이나 기구들은 포함되지 않았다.

kriM 홍현철 원장은 “국내 이주민 사역은 단순한 일시적 흐름이 아니라, 한국 교회의 미래와 세계 선교에 장기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이를 보다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부 선교 단체와 교단에서는 국내 이주민 사역에 대한 구체적인 현황을 명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며 “이번 조사를 계기로 보다 많은 한국 선교 단체와 교단이 국내 이주민 사역에 관심을 갖고 체계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이어 “교단 및 선교 단체 소속 선교사가 국내 이주민 사역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단체 내 제도적 장치와 조직, 협력 네트워크 등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하화1리에 위치한 하화교회의 산불로 인한 화재 전후 모습

120년 된 교회도 불탔다… 산불 피해 확산

예장 통합 소속 하화교회(담임 김진웅 목사)가 최근 발생한 산불로 전소됐다. 1904년 설립돼 약 120년의 역사를 가진 이 교회는 건물 전체가 불에 타 큰 피해를 입었다.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하화1리에 위치한 이 교회는 이 지역 산불 발생 나흘째인 3월 25일 강풍…

하화교회

예배당·사택 잃은 교회들… 산불 피해에 긴급 기도 요청

경북 지역을 휩쓸고 있는 대형 산불과 관련해, 한국교회 주요 교단들이 잇따라 목회서신을 발표하며 전 교회와 성도에게 긴급 구호와 중보기도에 동참해 줄 것을 요청하고 나섰다. 특히 피해가 집중된 지역의 일부 교회들은 예배당과 사택이 전소되는 등 실질적인 …

세이브코리아

“현 상황 분노 않으면, 거짓에 속는 국민 될 수밖에”

세이브코리아, 성금 2억 기탁 손현보·전한길 등은 울산으로 서울 등 전국 10개 도시 개최 매주 토요일 대한민국 정상화를 위해 기도하고 있는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이하 세이브코리아)가 3월 29일에는 특히 영남권에서 역대 최대 규모로 발생한 산불의 …

이 기사는 논쟁중

WEA 서울총회 개최반대연합회

“WEA 지도자들, 시간 흐를수록 다원주의로”

2025 WEA 서울총회개최반대연합회 기자회견이 3월 28일 오후 서울 강남구 예장 합동 총회회관 로비에서 개최됐다. 연합회장 맹연환 목사는 “총회 안에서도 WEA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시는 분…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