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옥수수재단 김순권 석좌교수, 몽골 ‘화이트 골드’ 국민운동 지원

강혜진 기자  eileen@chtoday.co.kr   |  

옥수수 재배와 사일리지 생산 관련 MOU 체결

▲간바타르 몽골 국회의원, 초카 몽골옥수수협회 회장, 김순권 박사(맨앞줄 왼쪽 두번째부터 순서대로).
▲간바타르 몽골 국회의원, 초카 몽골옥수수협회 회장, 김순권 박사(맨앞줄 왼쪽 두번째부터 순서대로).

한동대학교 석좌교수이자 국제옥수수재단(ICF) 이사장인 김순권 박사가 이끄는 국제옥수수재단(ICF)이 몽골의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화이트 골드’ 국민운동 지원에 나섰다.

한동대 김순권 석좌교수는 지난 2월 20일부터 사흘간 몽골옥수수협회 초청으로 울란바토르를 방문해 옥수수 재배와 사일리지(발효 저장 사료) 생산에 관한 세미나를 개최하고 양 기관 간 협력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몽골옥수수협회는 몽골 축산업 위기를 옥수수 사료로 극복하고자 몽골 축산농민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단체다. 이날 체결식에는 몽골 국회의원 간바타르 의원도 참석해 “몽골의 축산업 미래는 옥수수에 달려 있다”며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몽골에서는 2023-24년 겨울철 기후 재난 ‘조드’(dzud)의 영향으로 몽골 축산의 약 15%에 달하는 940만 마리 이상의 가축이 폐사했으며, 특히 몽골의 주요 수출품인 캐시미어를 생산하는 염소들의 대량 폐사는 산업 전반의 위기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후렐수흐 몽골 대통령은 ‘화이트 골드’ 국민운동을 시작, 캐시미어 산업 중흥을 도모하고 있다.

몽골옥수수협회 촐론체첵 회장은 “후렐수흐 대통령이 직접 중국에서 옥수수 종자를 수입해 사료 생산 농장을 방문하며 대안 모색에 관심을 보였으나, 중국산 종자는 매년 새로 구매해야 하고 몽골 기후에 적합하지 않아 사료 가치가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국제옥수수재단 김순권 박사는 2004년부터 몽골 적응 종자 개발을 시작해 몽골 옥수수 집단(Mongolian Corn Population, MCP) 육종에 성공해 2022년 몽골의 최초 품종으로 등록했다. 이 종자는 방임수분종(OPV)으로 수확 후 종자를 다시 파종할 수 있어 매년 새로 구매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UN개발계획(UNDP)에 MCP 사료 생산 및 종자 보급을 위한 프로젝트를 제안한 김 박사는 “UN의 지원과 몽골 농민들의 자발적 노력이 결합된다면 3년 내에 겨울철 기후재난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는 몽골 축산 혁명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캐시미어 생산량과 품질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제옥수수재단
이사장 / 김순권
부이사장 / 손인웅 덕수교회 원로목사
후원회장 / 한은실 목사
제단 팀장 / 박창환 
후원 담당 / 김영모

후원계좌 안내 (예금주: 국제옥수수재단)
국민 012501-04-017297
신한 100-020-078132
우체국 010041-01-012715
농협 037-01-311747
우리 113-04-112101
외환·하나 110-890019-92238
ARS: 060-700-1519 (한 통화 10,000원)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성산생명윤리연구소

“망원경·현미경 발전, 진화론 허상 밝혀내는 중”

인본주의 매몰된 세계관 수정을 기독교 세계관과 삶으로 열매를 진화론 과학주의는 무신론 이념 생명 발생 불가능: 하나님 창조 지질연대표 잘못돼 사라지는 중 과학=진리 아님 성도들에 알려야 성산생명윤리연구소(소장 홍순철)는 지난 4월 12일 오후 ‘기독…

모세 파라오 바로 십계

성경 속 ‘빌런’, 나에겐 걸림돌 아닌 디딤돌 될 수 있다

성경 속 빌런, 구분하기 쉬워 비판적으로 성경 읽고 생각을 빌런 생각 지점, 일상에서 찾기 실수 유형 찾아내 해결책 적기 “악이란 시스템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철학자 한나 아렌트의 정의이다. 그가 나치 친위대 중령 아돌프 아이히만의 재…

영화 예수

영화 ‘예수’, 2,200번째 언어로 번역·상영돼… 세계 최다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 위치한 크루(Cru) 소속 사역 단체인 ‘예수 영화 프로젝트’(Jesus Film Project)가 영화 ‘예수’를 2,200번째 언어로 상영하는 이정표를 세웠다. 최신 버전은 서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에서 사용되는 쿨랑고어의 방언인 부나(Bouna)어로 번역됐다.…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