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격한 정보 통제로 실제 사상자 수는 더 많을 것”
지난 3월 28일(이하 현지시각) 미얀마 중부 내륙에서 강진이 발생해 700여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29일 AFP통신에 따르면, 미얀마 군사정권은 이번 지진으로 694명이 사망하고 1,670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이는 군정의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이 전날 밝힌 144명에서 5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미얀마에서는 전날 낮 12시 50분께 미얀마 중부의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km 떨어진 지점에서 규모 7.7의 강진과 규모 6.4의 여진이 발생해 건물이 무너지고 사람들이 매몰됐다.
인구 120만 명의 만달레이는 미얀마 제2의 도시로, 진원 깊이가 10km밖에 되지 않았던 탓에 1,000km가량 떨어진 태국의 수도 방콕에까지 그 여파가 미쳤다.
태국 당국은 “방콕의 고층 빌딩 등 건설 현장 3곳에서 6명이 사망하고 22명이 부상당했으며 101명이 실종됐다”고 밝혔다.
당국은 “전날 중상을 입은 사람들이 사망했다고 보고되는 실수가 발생했다. 사망자는 10명이 아닌 6명”이라고 정정했다. 태국 정부는 29일 오전에도 여전히 수색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미얀마 군정이 사망자와 부상자 수를 밝히고 있으나, 군부 쿠데타 이후 내전 상태인 데다 정보가 엄격히 통제되고 있는 미얀마의 특성상 실제 사상자는 더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미 지질조사국에서는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1만 명 이상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내놓았다.
미얀마 군정도 피해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이례적으로 국제사회에 도움을 요청했다.
중국 신화통신은 생명 탐지기,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휴대용 위성과 드론 등을 갖춘 응급구조의료팀이 29일 오전 미얀마 양곤에 도착했다고 전했다.
미얀마의 오랜 우방국인 러시아 역시 120명의 구조대원과 물자를 실은 비행기 두 대를 파견했다. 인도는 구호물자와 함께 수색·구조팀과 의료 인력을 파견했다.
유엔은 500만 달러(약 73억 원) 규모의 초기 긴급 지원을 약속했다. 미국 국제개발처(USAID)를 통해 이뤄지던 해외 원조를 대폭 삭감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미얀마를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