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반대 시국 선언’ 두고 갈등
감독회의 측 “헌재 결정 전까지 자제를… 예의주시할 것”
감거협 측 “오해의 소지… 왜 탄핵 반대에만 부정적인가”
기독교대한감리회(감독회장 김정석 목사, 이하 감리교) 감독회의가 최근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시국선언을 발표한 감리회거룩성회복협의회(대표 민돈원 목사, 이하 감거협)를 향해 “공적 질서와 절차를 존중해 달라”고 요구하자, 감거협이 “(해당 시국선언은) 신앙적이고 양심적인 행위였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감거협이 지난 3월 25일 국회 소통관과 헌법재판소 앞에서 연달아 “내란음모 선동과 사기 탄핵을 규탄한다”며 기자회견을 진행하자, 감독회의는 이틀 뒤인 27일 감거협에게 ‘시국 관련 개별 행동에 대한 협조 요청’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보내 자제를 촉구했다.
감독회의는 “귀 단체가 발표한 ‘나라와 민족을 위한 시국선언’과 관련하여 일부 언론 보도에서 감리회의 공식 입장인 것처럼 인용됐고, 이에 대한 오해와 문의가 본부로 접수되고 있다”며 “이는 감리회의 공적 질서와 일치하지 않는 혼선을 낳을 수 있기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전했다.
이어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나오기 전까지 감리회 명의로 해석될 수 있는 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기자회견 등 공적인 활동은 삼가 달라”며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지만, 공적 절차와 공동체의 질서와 조화를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계엄 선포 및 관련 사안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존재할 수 있으며, 최종 판단은 사법 절차를 통해 이뤄질 것”이라며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는 서로 다른 해석을 존중하고 절제된 언어로 사랑을 나누는 공동체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개인의 신념을 표현하더라도 감리회의 공식 명칭이나 권위를 인용하는 일은 신중해야 하므로 삼가주시기 바란다”며 “향후 귀 단체의 활동을 예의 주시하며 신중하고 공정하게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도 했다.
하지만 감거협은 1일 감독회의에 보낸 회신 겸 ‘공개질의서’를 통해 “우리의 시국선언은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고 재판관들이 법과 양심에 따라 판결해야 한다는 지극히 정상적이고 신앙적이며 애국적인 결연한 행동이었다”고 반박했다.
감리회 명의로 해석될 수 있는 정치적 입장 표명을 삼가 달라는 요청에 대해 “선언 당시 감리회 소속 목회자이며 감리회거룩성회복협의회 소속 목회자임을 밝히며 진행했다”며 “일부 ‘감리회, 헌재 강력 경고’ 보도에 대해 댓글로 ‘감리회를 대표하는 단체가 아님’을 밝혔다. 이를 근거로 ‘감리회의 공적 질서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유감을 표한 것은 사실과 다른 오해의 소치”라고 반박했다.
감거협에 대한 ‘예의 주시’ 표현에 대해 “수십년간 무흠하게 목회해 온 목사들을 대통령 탄핵을 반대했다는 이유만으로 마치 과거 국가기관의 블랙리스트에 의한 감시하고 사찰하겠다는 인상을 준다”며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 국가로서 헌법에 집회, 결사, 표현의 자유가 보장돼 있다”고 밝혔다.
앞서 12월 4일 ‘감리회목회자모임 새물결’의 윤 대통령 퇴진 촉구, 같은 달 6일 ‘감리교신학대학 총장 및 교수 21명’의 계엄 비판 시국 선언, 1월 21일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감리회시국기도회> 등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감거협의 시국선언에 대해서만 부정적 입장을 밝힌 것 역시 형평성에 어긋난다고도 했다.
또 12월 3일 계엄 선포 직후 새벽에 발표된 ‘기독교대한감리회’ 명의 입장 표명에 대해서도 “현재까지도 가부가 가려지지 않은 사안임에도 성급한 처사였다.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총회실행부위원회와 감독회의 논의가 있었는지 밝히라”며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