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 힌두교인, 이슬람 개종 거부로 총격 사망

강혜진 기자  eileen@chtoday.co.kr   |  

현지 기독교인 목회자도 피해 가족 위한 정의 촉구

ⓒMorning Star News

ⓒMorning Star News

파키스탄에서 한 기독교인이 신성모독 누명을 쓰고 참수당한 사건이 발생한 지 며칠 만에, 한 힌두교인이 이슬람 개종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총격에 맞아 사망했다.

크리스천데일리인터내셔널(CDI)에 따르면, 지난 3월 29일 파키스탄 북서부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주 페샤와르에서 무슬림 무함마드 무슈타크(Muhammad Mushtaq)가 힌두교인 나딤 나타(Nadeem Naath·56)의 머리에 총격을 가해 살해했다. 용의자는 현지 힌두교 및 기독교 공동체의 항의 시위가 발생한 다음 날 체포됐다.

나타의 형제인 사가르 아민(Sagar Ameen)은 페샤와르 경찰에 제출한 진술서에서 “무슈타크가 며칠 동안 나타에게 이슬람으로 개종할 것을 강요해 왔으며, 나타가 이를 거부하자 무슈타크가 그의 머리에 총을 쐈다”고 밝혔다.

나타는 위생노동자로 일해 왔다. 페샤와르에 거주하는 1,400가구 이상의 힌두교인들 대부분이 청소부나 하수처리노동자로 일하고 있다.

이에 앞서 3월 21일(목) 펀자브(Punjab) 주의 셰이크우푸라(Sheikhupura) 지역에서는 한 무슬림 남성이 22세의 기독교인 와카스 마시(Waqas Masih)의 목을 커터칼로 베는 사건이 발생했다. 마시는 이슬람 교과서를 ‘더러운 손으로’ 만졌다는 신성모독 혐의를 받았으며, 다행히 신속한 의료 조치로 목숨을 건져 현재 병원에서 회복 중이다.

의식을 회복한 마시는 병상에서 직접 작성한 진술서에서 용의자가 자신을 신성모독 혐의로 몰아 공격했으며, 과거에도 여러 차례 이슬람 개종을 강요해 왔다고 밝혔다.

마시의 아버지 리야사트 마시(Riyasat Masih)는 CDl-모닝스타뉴스(MSN)와의 인터뷰에서 “이프티카르가 와카스를 개종시키려 했고, 그가 이에 굴복하지 않자 거짓 신성모독 혐의를 씌운 것”이라고 주장했다.

파키스탄 내 평등운동단체 ‘르와다리 테흐리크’(Rwadari Tehreek)의 삼손 살라맛(Samson Salamat) 회장은 정부가 기독교인 및 힌두교인 소녀들의 강제 개종을 막을 법안을 여전히 마련하지 않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매일 미성년 소녀들의 강제 개종 소식이 들려오고 있으며, 이번 3월 한 달 동안만 해도 기독교인과 힌두교인 남성이 개종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공격당했다”며 “정부가 이 심각한 문제를 인식하기까지 얼마나 더 많은 피를 흘려야 하는가?”라고 말했다.

파키스탄장로회(Presbyterian Church of Pakistan) 루벤 카마르(Reuben Qamar) 목사도 힌두교인 피살 사건을 규탄하며, 피해 가족을 위한 정의를 촉구했다.

카마르 목사는 “(이와 같은 사건들 중) 대부분의 경우, 가난한 피해자 가족들이 압박에 굴복해 합의를 하면서 범죄자들이 처벌을 피하게 된다”며 “이번 사건과 와카스 마시 사건에서도 이러한 일이 반복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모든 인간의 생명은 소중하다. 단지 신앙을 포기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무고한 생명이 희생되고 있다”며 “정부는 종교를 빌미로 한 폭력 범죄의 가해자들이 법망을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정부가 강제 개종 방지 법안을 최우선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한편 지난 3월 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58차 유엔 인권이사회(UNHRC) 부대 행사에서, 종교 자유 활동가들은 파키스탄의 인권 상황 악화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이들은 특히 가혹한 신성모독법 남용과 소수종교인 소녀들의 강제 개종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 자리에서 유럽의회(European Parliament) 찰리 와이머스(Charlie Weimers) 의원은 “파키스탄의 신성모독법은 종교적 소수자들을 탄압하는 테러 무기”라고 규탄했다.

그는 “파키스탄에서 기독교인과 다른 소수종교 신자들은 군중 폭력, 부당한 투옥, 강제 개종 등의 위험에 처해 있다”며 2023년 8월 자란왈라(Jaranwala) 지역에서 발생한 폭동을 언급했다. 당시 26개의 교회 건물이 불탔고 다수의 기독교인 가정과 사업장이 약탈당했으나, 정부는 정의를 구현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와이머스 의원은 “유럽연합(EU)은 더 이상 파키스탄에 박해 무기를 지원해선 안 된다”며 “무역, 원조, 비자 발급은 실질적인 인권 개혁을 조건으로 삼아야 하며, 인권 침해 가해자들에게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2024 부활절 연합예배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 4월 20일 오후 4시

예장 통합 총회장 사회, 예장 합동 총회장 설교, 대회장에 이영훈 목사 김정석 감독회장 인사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가 한국 기독교 선교 140주년을 맞아 부활주일인 오는 4월 20일 오후 4시, 서울 강남구 광림교회에서 개최된다. 올해는 1885년 4월 5…

이세종 심방

“심방, 가정과 교회 잇는 가장 따뜻한 통로입니다”

“2023년 12월, 울산교회 고등부 사역을 마무리하던 즈음 출판사에서 연락을 주셨고, 심방이 다음 세대 부흥에 어떤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글로 남겨보자는 제안을 주셨습니다. 그때 지난 사역 여정을 돌아보며 하나님께서 심방의 길을 열어주신 뒤, 한 영혼이 변화…

기독교한림원

선교 140주년, 한국교회의 진정한 역사와 역할은

한국교회 선교 역사, 140주년 이상 토마스, 칼 귀츨라프 선교사 기억을 암울한 시기 여명의 빛으로 떠올라 새로운 삶의 의미와 희망 가져다줘 근대 사회 진입에 큰 역할 잘 감당 지금도 자유민주주의 수호에 앞장 한국기독교한림원(이사장 조용목 목사, 원장 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