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5-1274)는 로마 카톨릭의 스콜라 신학자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스콜라 신학이란 중세 로마 카톨릭 신앙을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빌어 설명하려고 한 신학입니다. 그래서 스콜라철학이라고도 하는 것이지요.
그는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의 일반적 특징들로부터 출발하여 우리가 하나님이라고 믿는 궁극적 실재(ultimate reality)를 철학적으로 논증합니다. 이것은 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따르는 자연철학적 방식인데 그는 자신의 책에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신 존재 논증을 말합니다(Thomas Aquinas, Summa Theologica, pt. Ⅰ. Q. 2, Art. 3). 논증(論證)은 전제(前提)가 있고, 그 전제에 따르는 증거들(evidences)을 가지며, 그 증거들의 목표인 결론으로 구성됩니다. 이때 논증의 전제들이 참이고 그 전제의 증거들이 만든 결론이 모든 조건들을 만족시키면 그 논증은 비로소 증명(證明, proof)이 됩니다. 따라서 신 존재 증명이란 말보다는 신 존재 논증이라 부르는 것이 좀 더 타당하다고 봅니다. 여기서는 신 존재에 대한 깊은 논증이 아닌 토마스 아퀴나스의 5가지 신 존재 논증을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운동과 변화(motion or change)로부터의 논증입니다.
우리는 움직이고 있는 사물을 볼 때 그 물체가 스스로 자의적으로 움직이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즉 움직이는 모든 것은 그 자신이 아닌 다른 무엇에 의하여 움직여집니다. 따라서 그 자신은 움직이지 않으면서 다른 것들을 운동시키는 제일의 (원인으로서의) 운동자(Prime mover)인 “부동(不動)의 동자(動者)”(unmoved mover)가 있어야 합니다. 그 “부동의 동자”가 바로 신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둘째, 인과법칙(因果法則)에 따른 능동인(能動因)으로부터의 논증입니다.
본래부터 능동적인 것은 아무 것도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어떤 사물이 그 자체가 원인이 되려면, 자신보다 먼저 능동적 자신이 존재해야 되는데 그것은 논리상 불가능합니다. 본질에 있어 알려져 있는 모든 원인이란 것은 동시에 다른 원인의 결과입니다. 그러나 이런 관찰 가능한 유한한 원인에 대해서는 설명해 줄 수 없기 때문에 원인들이 무한정 계속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인과 법칙으로서의 제일 원인(First-Cause)을 필요로 하며, 이것이 바로 신이라는 것입니다.
셋째, 우연적 존재들로부터 필연적 존재를 따지는 논증입니다.
관찰된 대상은 본질에 있어 우연적입니다. 우연적 존재들(contingent beings)이라 함은 대상이 자신의 존재를 다른 사물에 의존함을 의미합니다. 달리 말하면 대상들의 존재는 그들이 존재해 있지 않았을 수도 있기 때문에 필연성이 아닌 가능성이지요. 이와 같은 존재의 가능성은 그 이외의 것에 의존하지 않는 필연적인 존재(Necessary being)가 있음을 시사해주는데 이 필연적 존재가 바로 신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넷째, 자연에는 상대적 가치가 존재하므로 이에 따른 절대적 가치가 있다고 보는 논증입니다.
우리는 어떤 사물이 다른 사물 보다 더 좋거나 더 나쁘다고 말합니다. 즉 가치의 등급(degrees of value)을 매깁니다. 이런 가치의 상대적 비교는 필연적으로 판단의 규정과 일치하는 절대 가치(Absolute value)의 기준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즉 선함과 질서, 조화, 아름다움, 완전함 등 절대적 가치의 기준을 제공한 존재를 바로 신이라 여기는 겁니다.
다섯째, 자연에 존재하는 지적 목적성으로부터 신적 설계자를 논증하는 방법입니다.
자연에는 특정한 질서와 조화와 의미가 있습니다. 세계의 모든 일은 알게 모르게 자신들에게 맞는 목적을 위해서 봉사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와 같은 질서나 조화나 모양을 단순한 운명이나 우연으로 돌리는 것은 잘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자연은 우연이 아닌 자신이 의도하는 지적 목적에 따라 모든 모양과 일을 이루어 나가는 어떤 지적 설계자가 있음을 지지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즉 목적성(purposiveness)이 있습니다. 그 신적 설계자를 바로 신이라 봅니다.
이 논증의 처음 세 가지는 우주에 있는 모든 알려진 경험적 속성(운동, 원인과 결과, 우연과 필연)에서 나오는 원인을 다룬다는 점에서 근대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가 말하는 우주론적 논증(cosmological argument)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목적론적 논증(Teleological argument)도 크게 보면 우주론적 논증의 한 부분으로 볼 수 있는 데 다섯 번째 논증이 이에 해당합니다(telos라는 헬라어는 끝, 목표, 목적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앞에서도 언급했듯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 존재 논증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창안품이 아니라 헬라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적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은 그의 스승 플라톤의 영향을 받은 것이구요. 다만 중세 카톨릭의 스콜라 철학자들이 마침 번역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책들을 접했으므로 스콜라 철학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 아래 있게 된 것입니다. 플라톤의 책들이 번역 되었다면 당연히 플라톤의 사상도 흡수하였을 겁니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 제자이므로 플라톤을 아무리 뛰어 넘으려 했더라도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 안에는 플라톤적인 요소들도 여전히 많이 남아 있습니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 존재 논증에도 그것이 남아 있습니다. 특별히 4번째 논증은 플라톤의 이데아론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그래서 일부 사람들은 이 논증을 플라톤적 논증이라고 말하지요.
신 존재에 관한 논증에는 토마스 아퀴나스 말고도 인간은 절대적 완전한 존재에 대한 관념을 가지고 있음을 가지고 논증하는 안셀름(Anselm), 데카르트(Descartes) 등이 주장한 존재론적 논증(Ontological argument, Ont-라는 단어는 존재라는 의미의 헬라어에서 파생된 접두어)과 인간의 선악과 참과 거짓 등을 판단할, 칸트가 말하는 정언명령(定言命令, categorical imperative)을 내릴 궁극적인 입법자와 재판관과 같은 지고지선(至高至善)한 최고선(最高善)의 완전한 존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는 도덕론적 논증(Moral argument) 등이 있습니다.
오늘날 토마스 아퀴나스적 자연철학, 자연은총적 논증은 일부 변증학이나 창조과학운동, 지적설계운동 등에서도 무의식적으로 많이 활용하는 것들입니다. 이것을 자연신학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들 신 존재에 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적 논증에 대해서는 데이빗 흄이나 버트란트 러셀 같은 세상 철학자들과 칼 바르트 같은 일부 신정통주의 신학자들의 신랄한 논리적 비판도 만만치 않은 편이지요. 그래서 조금 더 깊이 들어가면 신 존재 논증에는 좀 더 진지한 신학적, 철학적 성찰과 공부가 필요합니다. 그 복잡한 논증은 여기서는 생략합니다.
우리 인간은 신이 아니므로 아무래도 신 존재 논증이 쉬운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전혀 불가능하지도 않습니다. 성경은 보이지 않는 하나님 존재의 영원한 능력과 신성에 대한 핑계치 못할 분명한 증거를 그 만물 안에 분명히 보여 알게 하셨다고 말합니다(롬 1:20). 성경은 또한 너희 마음에 그리스도를 주로 삼아 거룩하게 하고 너희 속에 있는 소망에 관한 이유를 묻는 자에게는 대답할 것을 온유와 두려움으로 항상 예비하라 하였으니(벧전 3:15) 어떤 방식이 성경적이고 바른 대답인 가를 우리 기독교인들은 항상 고민하고 공부하고 연구하고 묵상해야 한다고 봅니다.
즉 토마스 아퀴나스적 단순한 자연신학 논증이나 변증이 아닌 참된 성경적 복음주의 창조신앙의 논증과 확산에 대한 전방위적, 종합적인 고민을 해야 합니다. 조금 안타까운 일이지만 우리 한국 기독교인들은 이런 부분에서 너무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여겨집니다. 모든 세상은 하나님의 창조 세상이요 우리들의 창조 신앙의 영역입니다. 본 창조신학연구소는 신학을 단순한 이론적 책상신학에 머물게 하지 않고 예수님처럼 신학의 눈높이를 낮추어 성도들과 세상 사람들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종합적 창조 신앙의 첨병 역할의 짐을 감당하기를 다하겠습니다.
* 이 글은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연구소’ 홈페이지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조덕영 박사는
환경화학 공학과 조직신학을 전공한 공학도이자 신학자다. 한국창조과학회 대표간사 겸 창조지 편집인으로 활동했고 지금은 여러 신학교에서 창조론을 강의하고 있는 창조론 전문가이기도 하다. 그가 소장으로 있는 ‘창조신학연구소’는 창조론과 관련된 방대한 자료들로 구성돼 목회자 및 학자들에게 지식의 보고 역할을 하고 있다. ‘기독교와 과학’ 등 20여 권의 역저서가 있으며, 다방면의 창조론 이슈들을 다루는 ‘창조론 오픈포럼’을 주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