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의 마지막 밤, 할로윈 데이 그 유래와 시작

김신의 기자  ewhashan@gmail.com   |  

미국에서는 매년 10월 31일이 되면, 마녀나 도깨비로 분장한 아이들이 집집마다 돌며 “Trick or treat”를 외친다. ‘할로윈데이’(핼러윈데이)로 불리는 ‘할로윈’은 미국의 가장 대표적 어린이 축제로 자리잡은 절기지만 이젠 대학생이나 성인들의 축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할로윈은 아일랜드인의 풍습에서 시작됐다. 아일랜드 켈트족이 거주하던 아일랜드 지방, 영국 및 북부 유럽 지역은 겨울이 길어 11월 1일을 새로운 해의 첫 날로 기념했다. 유래를 좀 더 살펴보면, 당시 사람들은 추운 겨울이 시작되는 10월 31일, 죽은 자와 산 자의 경계가 불분명해진다고 믿었고, 이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유령의 의상을 입고 집을 무시무시하게 꾸몄다. 이렇게 하면 유령들이 자신을 같은 편인줄 알고 해롭게 하지 않을 것이라 믿은 것이다.

여기에 가톨릭이 전통적으로 지켜오던 만성절(All Saints Day)이 더해졌다. 11월 1일을 앞두고 모든 성인들을 기리는 행사를 기념하는 전야제(All Hallows Eve)가 결합되면서 10월 31일이 ‘할로윈(Halloween)’으로 명명됐다.

그러나 교계에서 할로윈은 결코 반가운 절기만은 아니다. 그 유래가 이교적 마녀 풍습에서 시작됐을 뿐 아니라 사람들이 마귀, 악마로 분장해서 거리를 다니기 때문. 이러한 가운데 해외 교계에서는 ‘적극적 수용’, ‘선택적 수용’, 대체적 수용’, ‘배타적 수용’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할로윈을 적극 수용하는 경우는 할로윈의 이교적 분위기는 배제하지만 할로윈의 문화를 활용해 지역사회 복음화에 기회로 삼는다. 선택적 수용의 경우는 친환경적이며 기독교적인 의상을 즐기도록 하는 축제 등의 문화적 요소만 차용한다. 대체적 수용 및 배타적 수용의 경우는 할로윈을 대체해 즐길 수 있는 행사 개최 또는 예배를 드리며, 할로윈이 끼치는 영적 문제에 집중해 이 절기와 문화로부터 어린이들을 보호하며 기독교적으로 이 날을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2024 부활절 연합예배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 4월 20일 오후 4시

예장 통합 총회장 사회, 예장 합동 총회장 설교, 대회장에 이영훈 목사 김정석 감독회장 인사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가 한국 기독교 선교 140주년을 맞아 부활주일인 오는 4월 20일 오후 4시, 서울 강남구 광림교회에서 개최된다. 올해는 1885년 4월 5…

이세종 심방

“심방, 가정과 교회 잇는 가장 따뜻한 통로입니다”

“2023년 12월, 울산교회 고등부 사역을 마무리하던 즈음 출판사에서 연락을 주셨고, 심방이 다음 세대 부흥에 어떤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글로 남겨보자는 제안을 주셨습니다. 그때 지난 사역 여정을 돌아보며 하나님께서 심방의 길을 열어주신 뒤, 한 영혼이 변화…

기독교한림원

선교 140주년, 한국교회의 진정한 역사와 역할은

한국교회 선교 역사, 140주년 이상 토마스, 칼 귀츨라프 선교사 기억을 암울한 시기 여명의 빛으로 떠올라 새로운 삶의 의미와 희망 가져다줘 근대 사회 진입에 큰 역할 잘 감당 지금도 자유민주주의 수호에 앞장 한국기독교한림원(이사장 조용목 목사, 원장 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