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적 홀로서기, 재정적 독립 유무도 중요해

|  

[김훈 칼럼] 홀로서기

▲ⓒ픽사베이

▲ⓒ픽사베이

“착한 여성 A는 강한 사람과 함께 있으면 어려움을 느낀다. 그들 앞에서는 자신이 힘이 없는 생쥐 같고 그들은 무서운 눈을 가진 매처럼 자신을 공격하는 사람인 것 같이 느낀다. 특히 강한 사람들이 자신에게 질문하면 왠지 자신이 좀 더 완벽해야 할 것 같고 자신의 부족한 부분이 더 많이 부각돼 보이는 것 같아 주눅이 든다. 그래서 그들과 함께 있으면 자신을 잘 주장하지 못한다.”

“씩씩한 남자 B는 가족들과 있을 때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자신의 요구를 표현하면서 살아간다. 그래서 집에서는 왕처럼 군림하고 가족 구성원들을 부린다. 반면 밖에만 나오면 타인에게 엄청나게 친절한 사람이 되고, 타인에게 자신을 잘 주장하지 못한다. 타인이 자신을 함부로 대해도 흐흐 웃으면서 받아넘긴다.”

“모든 것에 완벽하고 잘 하기를 원하는 C는 어린 시절 가정에서 부모의 지원을 충분히 받지 못했고 자신이 일찍부터 일을 해서 가정을 돌봐야 하는 사람이다. 공휴일도 쉬지 않고 자신을 위해 외식도 잘 하지 않는 C는 평소에는 괜찮다가 한 번씩 직장에서나 친구들에게 부정적 피드백을 받고 나면 심한 무력감에 빠지곤 한다. 그럴 때면 집에 혼자 있으면서 인터넷을 하면서 시간을 마냥 보내게 된다.”

위 이야기에 나오는 사람들은 모두 성인이지만, 하나같이 정서적으로 독립하지 못한 사람들이다. 아동 상담 대가로 불리는 오은영 박사는 자녀 양육의 최종 목표가 자녀들의 독립이라고 말한다.

필자는 전적으로 이 말에 동의한다. 다른 말로 하면 진정으로 홀로서기를 잘 할 수 있을 때 진정 한 사람으로 세상에서 잘 살아갈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서 독립이라고 하는 것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데 독립에는 여러 측면이 있을 수 있는데, 여기서는 정서적 독립과 그와 관련된 재정적 독립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재정적 독립의 중요성을 생각해 보자. 호주에 사는 부모들은 일찍부터 자녀를 독립시키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일찍부터 자녀들이 사회에서 일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며 경제적인 독립을 돕는다.

자녀가 경제적으로 독립한다는 것은 단지 경제적인 독립을 돕는 것만이 아니다. 그것을 통해 사회에서 사람들과 어떻게 어울리며 경쟁하며 살아야 하는지 배우고, 재정을 관리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또 일의 가치와 책임감도 함께 배우면서 성인이 된 부모님의 삶도 이해하게 된다. 그러므로 나이가 되면 아이들이 재정적 독립을 위해 적절하게 일을 하도록 배우는 것은 중요한 부분이다. 이 재정적 독립은 정서적 독립과도 연관이 된다.

가끔 가정폭력에 노출되어 있는 여성들이 도움을 요청할 때가 있다.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그들이 가정 폭력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많은 이유 중 가장 큰 것이 재정적·정서적·의존적인 경우가 많다. 혼자서는 살아갈 힘이 없다. 그럴 경우 가정폭력에서 벗어나도록 돕는 전략은 기술을 익히고 일을 찾아서 재정적 독립을 추구할 수 있는 힘을 키우게 해야 한다.

여성들이 홀로서기를 할 수 있을 때 가정폭력이라는 힘의 통제에서 벗어날 용기를 갖게 되는 경우가 많다. 자녀들도 성장하면서 부모로부터 재정적 독립을 할 수 있을 때 어쩌면 진정한 성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로 재정적 독립 이상 중요한 부분은 정서적 독립이다. 앞의 예에 나온 사람들은 하나같이 정서적으로 독립을 경험하지 못한 사람들이다. 그래서 너무 쉽게 사람들에 의해 중심이 흔들리고 조정을 당하거나 조정을 하면서 관계의 역동을 경험하면서 늘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정서적으로 홀로서기를 경험하지 못한 사람들이 성인이 되면 육체는 성인이고 재정적으로 독립한 것처럼 보이나, 정서적으로 홀로서기를 못해 늘 마음이 괴롭고 평안하지 못하며, 관계에서 롤러코스터와 같은 갈등을 많이 경험하고 때로는 그것으로 인해 재정적 독립까지 잃어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라라. E. 필딩의 <홀로서기 심리학>에는 다음 이야기가 나온다. 직원을 아주 많이 둔 IT 중소기업 CEO는 사람을 뽑을 때 일을 하는 능력만을 보지 않고 의사소통 능력과 삶에 대한 가치관 등 다양한 자질을 보는데,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이야기했다고 한다.

“사람을 뽑는다는 건 정말 간단치 않은 일입니다. 그의 능력만 오는 게 아니라, 그의 과거와 그의 세계가 함께 오기 때문이에요.” 아무리 겉으로 보기에 능력이 있고 좋은 교육을 받았어도, 정서적으로 독립을 경험하지 못한 사람을 채용할 경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수많은 사람을 통해 경험했기에 그런 말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학교 행정실에서 일하면서 사람들을 몇 번 채용해 봤는데, 그것이 어떤 말인지 이해한다. 인터뷰를 할 때는 좋은 대학을 나온 멋진 청년이었는데, 막상 일할 때는 완전히 딴 사람인 경우도 있다. 그래서 정서적으로 건강하고 독립을 잘 한 사람이 학위나 외모, 능력 이상으로 얼마나 중요한지 생각하게 된다.

정서적으로 독립했다는 것은 자신의 정서를 잘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정서적으로 독립하지 못한 사람은 타인의 정서에 내 정서가 끌려다닌다. 어른이 되었으나 부모님 정서 또는 자신보다 강한 사람의 정서에 끌려 다니는 사람은 아직 정서적으로 독립했다고 보기 어렵다.

부모의 감정을 존중해야 하지만, 그것을 그대로 나의 감정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아직 독립이 되지 못한 사람이다. 한국 가정에 정서적으로 독립을 못한 자녀들이 많은 것은 부모에게 무조건적 순종을 강요당하는 경우가 많고 그것이 훌륭한 자녀로 잘못 평가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자녀가 정서적으로 독립하기를 원하는 부모는 아이가 커가면서 무조건적 순종이 아니라, 자발적 순종과 선택의 자율성을 배우게 한다.

만약 내가 정서적으로 권위자의 말에 너무 쉽게 휘말린다면, 그럴 때 휘말리는 나의 정서는 어떤 반응을 하고 있는지, 왜 그렇게 반응하는 지를 생각해 보자. 타인의 정서가 중요한 만큼 내 정서가 중요한 것을 깊이 생각하며, 내 감정의 주인이 타인이 아니고 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또 정서적으로 독립적이 되는 일은 내 감정의 원인을 타인에게 돌리지 않는 것이다. 자신이 상처받고 힘든 경우 그 감정을 불러 일으킨 사람에게 모든 원인을 돌리는 경우가 많다. 물론 그런 경우도 없는 것은 아니나, 대부분 내가 경험하는 감정은 타인이 나의 상처를 건드리거나 나의 열등감을 건드릴 때 생겨나는 경우가 더 많다. 다른 말로 하면 과거에 해결되지 않은 상처를 건드려 지금 화가 나거나 감정적 반응을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부모에게 받은 상처가 많은 상태에서 결혼 후 배우자에게 상처를 받아도, 그 원인을 100% 배우자에게 돌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감정의 원인을 타인에게 돌리기보다 나는 이런 상황에서 왜 상처를 받고 감정적으로 연약해지는지 내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아보고 근본적 상처를 다루거나 나의 상처로 인한 잘못된 생각이나 반응을 건강하게 바꿔 나가는 것이 정서적 독립에 도움이 된다.

정서적 독립은 다른 말로 하면 정서적 홀로서기를 잘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 사람들은 너무 강한 사람에게 휘둘리거나 반대로 약한 사람을 통제하지 않고,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지만 그들에게 너무 큰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적절한 상호 작용을 하면서 살아간다.

재정적 독립뿐 아니라 정서적으로 독립을 추구하여, 삶 전체에서 건강한 홀로서기를 할 수 있는 성공적이며 행복한 사람들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김훈 목사.

▲김훈 목사.

김훈 목사(Rev Dr. HUN KIM)

호주기독교대학 대표 (President of Australian College of Christianity)
One and One 심리상담소 대표 (CEO of One and One Psychological Counselling Clinic)
호주가정상담협회 회장 (President of Australian Family Counselling Association)
한국인 생명의 전화 이사장 (Chair of Board in Australia Korean Life Line)
ACA Registered Supervisor (ACA등록 수퍼바이저),
ACA Member Level 3 (ACA정회원)
기독교 상담학 박사 (Doctor of Christian Counselling)
목회상담학 박사 (Doctor of Pastoral Counselling)
고려대학교 국제경영 석사 (MBA of International Business at Korea University)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MdiV at Chongshin Theological Seminary)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BA of Mass Communication at Korea University)
총신대학교 신학과 졸업(BA of Theology at Chongshin University)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123 신앙과 삶

돋보기 메모 관찰 성찰 내면 탐정 탐구 찾기 노트

‘성찰’, 숨은 죄 발견하는 내시경

눈 열어 하나님 자세히 바라보자 하나님 알아야 나 자신 알게 돼 성찰, 자신을 반석 위 세우는 것 자기 문제에 매우 민감한 사람 눈 가늘게 뜨고 자기 안 살펴야 숨어있는 죄 발견해, 제…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행동하는프로라이프를 비롯한 59개 단체가 5일(수) 정오 헌법재판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헌법재판소(헌재)의 이중적 태도를 강력히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헌재, 낙태법 개정 침묵하면서 재판관 임명만 압박?”

행동하는프로라이프를 비롯한 59개 단체가 5일(수) 정오 헌법재판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헌법재판소(헌재)의 이중적 태도를 강력히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행동하는프로라이프 연대를 중심으로 바른교육교수연합, 자유와 정의를 실천하는…

1인 가구

“교회에서 ‘싱글’ 대할 때, 해선 안 될 말이나 행동은…”

2023년 인구총조사 기준으로 1인 가구는 무려 782만 9,035곳. 전체 가구 2,207만의 35.5%로 열 집 중 네 집이 ‘나 혼자 사는’ 시대가 됐다. 2024년 주민등록인구 통계상으로는 지난 3월 이미 1,000만 가구를 돌파했다고 한다. 2050년에는 전체의 40%로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

림택권

“오늘도 역사하시는 ‘섭리의 하나님’까지 믿어야”

“두 개의 평행선으로 이뤄진 기찻길이어야만 기차가 굴러갈 수 있듯, 우리네 인생도 형통함과 곤고함이라는 평행선 위를 달리는 기차와 같지 않을까 한다. 우리 앞날은 어떻게 될지 모르기에 그저 좋은 날에는 하나님께 감사드리고 곤고한 날에는 하나님이 우리에…

조혜련

방송인 조혜련 집사가 이야기로 쉽게 전하는 성경

생동감 있고 자세한 그림 1천 장 함께해 성경 스토리 쉽게 설명 재미 함께, 신학교수 감수 거쳐 조혜련의 잘 보이는 성경이야기 조혜련 | 오제이엔터스컴 | 614쪽 | 55,000원 CGN 에서 성경 강의를 할 정도로 성경을 많이 읽고 연구한 방송인 조혜련 집사가 ‘성경…

열방빛선교회 촤광 선교사

“수령 위해 ‘총폭탄’ 되겠다던 탈북민들, 말씀 무장한 주의 군사로”

“수령님을 위해 총폭탄이 되겠다던 북한 형제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죄를 깨닫고 회개하고 거듭나면서, 지금부터는 살아계신 하나님을 위해 남은 생명을 드리겠다고 고백하더라” 열방빛선교회 대표 최광 선교사는 지난 25년간 북한 선교와 탈북민 사역을 …

북한인권재단 출범 정책 세미나

“인권 말하면서 北 인권 외면하는 민주당, ‘종북’ 비판 못 피해”

재단 설립, 민주당 때문에 8년째 표류 중 정치적 논쟁 대상 아닌 인류 보편의 가치 정부·여당·전문가·활동가들 역량 결집해야 국민의힘 박충권 의원이 주최한 ‘8년의 침묵, 북한인권재단의 미래는’ 정책 세미나가 3일 오전 10시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