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강석 목사 “거저 받았으니 거저 드립니다”

|  

5월 둘째 주일 ‘소강석 목사의 영혼 아포리즘’

▲설교 중 노래하는 소강석 목사.

▲설교 중 노래하는 소강석 목사.

“거저 받았으니 거저 드립니다.”

저는 설교를 할 때 중간 중간에 찬양을 하고, 비록 찬양이 아니더라도 곡조 있는 예화로서 일반 노래를 부를 때가 있습니다. 인간은 음악적 존재입니다. 음악 없이는 살 수가 없는 존재입니다. 그래서 모세도 운율과 곡을 섞어서 하나님 말씀을 전하고 암송하라고 하지 않았습니까(신명기 31:19)?

성 프랜시스 역시 거리와 시장, 광장에서 설교를 하고 복음을 전할 때면, 평민들에게 익숙한, 당시 유행하던 민요나 대중가요에 복음 가사를 입혀 그들에게 복음을 전달하였습니다. 당시의 사제들은 전부 고상한 라틴어로 설교를 했고, 평민들은 설교를 알아듣지도 못했습니다.

그런데 이때 성 프랜시스는 시장에서 장터 언어로, 대중가요에 복음 가사를 입힌 노래로 평민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구원을 하였습니다. 그뿐입니까? 존 칼빈도 시편 쥬네브 찬송을 만들 때, 다는 아니지만 일부 찬송은 당시 유행했던 프랑스 민요나 대중가요에 시편 말씀을 가사로 붙였습니다.

저 역시 전도집회나 복음을 역설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성 프랜시스나 칼빈처럼 대중가요를 복음적으로 개사해서 부를 때가 있습니다. 사실 찬송가에 나오는 ‘하늘 가는 밝은 길이’, ‘천부여 의지 없어서’, ‘나 같은 죄인 살리신’, ‘신자 되기 원합니다’ 등도 다 그 당시 민요와 흑인영가에서 차용했습니다. 그리고 아리랑이라고 하는 곡은 캐나다와 미국에서 찬송가 곡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설교 중 노래하는 소강석 목사.

▲설교 중 노래하는 소강석 목사.

예화 없는 설교가 어디 있겠습니까? 그리고 그 예화는 어차피 다 세상 이야기입니다. 그렇게 볼 때, 일반 예화는 곡조 없는 예화이고, 노래는 곡조가 있는 예화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저는 성도들과 소통하고 감동을 더 하기 위해 설교 중 찬송도 부르고 특별한 경우 곡조 있는 예화로 일반 노래도 선용하는 것이죠. 과거에는 주지주의적 설교를 하였지만, 요즘은 감성과 에토스가 있는 설교를 해야 하기 때문에 음악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가면 갈수록 애로사항이 많아져 갑니다. 유튜브에 설교 영상을 올리면 노래의 저작권에 걸리는 것입니다. 다른 노래의 저작권이라면 모르겠는데 3.1절이나 8.15 광복절을 맞아 ‘애국가’를 부르는데도 저작권에 걸리는 것입니다. 또한 어버이주일을 맞아 ‘어머니 은혜’를 불렀는데, 이것 역시 저작권에 걸리는 것입니다. ‘애국가’나 ‘어머니 은혜’와 같은 노래는 진짜 국민의 노래가 아닙니까?

CCM은 말하기도 어색할 정도로 저작권에 제한을 받습니다. 그래서 저는 교회 스탭에게 빨리 저작권 단체에 비용을 지불해서 언제든지 자유롭게 부를 수 있도록 하라고 했는데, 저작권을 관리하는 단체도 한두 군데가 아니어서 만만치 않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업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설교 중 노래하는 소강석 목사.

▲설교 중 노래하는 소강석 목사.

그러자 누가 저에게 권면을 하는 것입니다. “목사님도 작사를 하거나 작곡한 노래를 저작권협회에 등록을 하세요. 특별히 ‘사명의 길’ 같은 경우는 어지간한 교회 성가대에서 다 불렀고 해외에서도 많이 부르는 것을 보았습니다. 아마 목사님께서도 저작권 등록을 하면 저작권료를 꽤 많이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과거의 노래뿐 아니라 앞으로도 정말 좋은 가사를 쓰고 좋은 곡을 작곡하여 저작권협회에 등록을 해 보세요.”

그래서 제가 그랬죠. “그게 무슨 떼돈을 버는 거라고요. 제가 저작권에 걸려 상처를 입었다면 저라도 남에게 그런 상처를 안 줘야 되지 않겠습니까? 물론 저작권은 중요하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저는 음악 공부도 안 한 사람이고 국문과 출신도 아니지만, 하나님으로부터 문학성과 음악성을 거저 받은 사람입니다.

그러니 저는 저작권료보다 제가 만든 노래가 하나님을 위해 더 많이 쓰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거저 받았는데 거저 줘야 되는 것이 신앙의 정신과 가치가 아니겠습니까?”

▲설교 중 노래하는 소강석 목사.

▲설교 중 노래하는 소강석 목사.

그랬더니 그 분이 이렇게 말씀을 하시는 거예요. “목사님, 듣고 보니까 참 그러네요. 정말 존경합니다. 그러니까 하나님께서 목사님께 더 큰 은혜를 주시고 더 큰 복을 주신 것이 아닙니까? 생각해 보면 목사님도 문학성과 음악성을 거저 받은 것이겠지요. 하나님이 몹시 기뻐하실 것입니다. 저작권은 세상의 영역이라면 하나님께 쓰임 받는 것은 은총의 영역이고 거룩의 영역이 아니겠습니까?”

그렇습니다. 제가 60권 가까이 책을 썼는데 누가 제 책에서 설교를 인용하거나, 책을 쓰는데 풋노트를 달지 않고 인용한 경우를 본 적이 있습니다. 그래도 저는 한 번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습니다. 해 아래 새 것이 없을 뿐 아니라 그것마저도 쓰임 받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저는 부흥회나 세미나에 가서 설교나 강연을 한 후 어떤 분이 제 설교나 강의 원고를 달라고 하면 그냥 바인더 채로 줘버립니다. 이렇듯이 저는 앞으로도 거저 받은 은혜를 거저 드리고 살 것입니다.

소강석 목사(새에덴교회)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123 신앙과 삶

돋보기 메모 관찰 성찰 내면 탐정 탐구 찾기 노트

‘성찰’, 숨은 죄 발견하는 내시경

눈 열어 하나님 자세히 바라보자 하나님 알아야 나 자신 알게 돼 성찰, 자신을 반석 위 세우는 것 자기 문제에 매우 민감한 사람 눈 가늘게 뜨고 자기 안 살펴야 숨어있는 죄 발견해, 제…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행동하는프로라이프를 비롯한 59개 단체가 5일(수) 정오 헌법재판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헌법재판소(헌재)의 이중적 태도를 강력히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헌재, 낙태법 개정 침묵하면서 재판관 임명만 압박?”

행동하는프로라이프를 비롯한 59개 단체가 5일(수) 정오 헌법재판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헌법재판소(헌재)의 이중적 태도를 강력히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행동하는프로라이프 연대를 중심으로 바른교육교수연합, 자유와 정의를 실천하는…

1인 가구

“교회에서 ‘싱글’ 대할 때, 해선 안 될 말이나 행동은…”

2023년 인구총조사 기준으로 1인 가구는 무려 782만 9,035곳. 전체 가구 2,207만의 35.5%로 열 집 중 네 집이 ‘나 혼자 사는’ 시대가 됐다. 2024년 주민등록인구 통계상으로는 지난 3월 이미 1,000만 가구를 돌파했다고 한다. 2050년에는 전체의 40%로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

림택권

“오늘도 역사하시는 ‘섭리의 하나님’까지 믿어야”

“두 개의 평행선으로 이뤄진 기찻길이어야만 기차가 굴러갈 수 있듯, 우리네 인생도 형통함과 곤고함이라는 평행선 위를 달리는 기차와 같지 않을까 한다. 우리 앞날은 어떻게 될지 모르기에 그저 좋은 날에는 하나님께 감사드리고 곤고한 날에는 하나님이 우리에…

조혜련

방송인 조혜련 집사가 이야기로 쉽게 전하는 성경

생동감 있고 자세한 그림 1천 장 함께해 성경 스토리 쉽게 설명 재미 함께, 신학교수 감수 거쳐 조혜련의 잘 보이는 성경이야기 조혜련 | 오제이엔터스컴 | 614쪽 | 55,000원 CGN 에서 성경 강의를 할 정도로 성경을 많이 읽고 연구한 방송인 조혜련 집사가 ‘성경…

열방빛선교회 촤광 선교사

“수령 위해 ‘총폭탄’ 되겠다던 탈북민들, 말씀 무장한 주의 군사로”

“수령님을 위해 총폭탄이 되겠다던 북한 형제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죄를 깨닫고 회개하고 거듭나면서, 지금부터는 살아계신 하나님을 위해 남은 생명을 드리겠다고 고백하더라” 열방빛선교회 대표 최광 선교사는 지난 25년간 북한 선교와 탈북민 사역을 …

북한인권재단 출범 정책 세미나

“인권 말하면서 北 인권 외면하는 민주당, ‘종북’ 비판 못 피해”

재단 설립, 민주당 때문에 8년째 표류 중 정치적 논쟁 대상 아닌 인류 보편의 가치 정부·여당·전문가·활동가들 역량 결집해야 국민의힘 박충권 의원이 주최한 ‘8년의 침묵, 북한인권재단의 미래는’ 정책 세미나가 3일 오전 10시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