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천 칼럼] 하루를 살아가는, 한 해를 살아가는 삶의 힘

기자   |  

▲분당중앙교회 최종천 목사.

▲분당중앙교회 최종천 목사.

살다보니 또 한 해가 지나고 있습니다.
하루 하루 살아온 날이 모여, 한 달이 되고, 또 한 해가 되었습니다.

어어 하기도 전에, 이미 시간은 우리 앞을 스쳐갔고,
우리는 후행적 사고로 그 삶의 의미를 반추합니다.
무엇이 좋았는지, 무엇이 더 나았어야 하는지.
어떤 것을 붙잡아야 했고, 또 그 어떤 것을 놓아야 했었는지.

사고 선행, 행동 후행을 외치지만,
삶은 늘 그 반대로 흘러가,
세월의 강에 우리의 어리석음을 흘려보내며 씻고 또 씻음으로 우리의 의미를 삼습니다.

왜 그렇게 어리석었는지.
왜 그렇게 유약했는지.
왜 그렇게 순간을 버티지 못해 두고두고 후회하는지.
조금만 더 가면 되는 것을, 왜 그렇게 쉽게 포기했는지.
왜 후회와 실패와 아픔이 삶의 습관이 되어버렸는지.

삶은 기억을 위해 존재하지만,
때로는 망각을 위해 존재한다는,
스스로의 가설로 자신을 위안하기도 합니다.
그래야 살 수 있으니까.

하지만 우리는 하나님 백성입니다.
못나고 부끄러워도,
그 주님 앞에 나가 우리의 아픔과 설움과 눈물을 쏟아 맑아집니다.
그 맑음이 눈을 밝히고, 길을 밝히고, 마음을 밝힙니다.

오늘은 새벽부터 이러저러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무엇 때문에 사는가, 무엇이 그리 기쁜가, 무엇이 그래도 살 만한 이유고 힘인가?
우리가 답할 유일한 표준어,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요즘은 자꾸 사명은 무엇이고, 그것이 삶의 길이고 힘을 주고 있나 생각합니다.
그렇다 입니다. 그것으로 하루를 살고, 그것으로 일 년을 살아갑니다.
그 어떤 것이든 결국 사명이 길이고, 사랑이고 생명이며, 살아가는 감격입니다.

분당중앙교회 최종천 목사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성산생명윤리연구소

“망원경·현미경 발전, 진화론 허상 밝혀내는 중”

인본주의 매몰된 세계관 수정을 기독교 세계관과 삶으로 열매를 진화론 과학주의는 무신론 이념 생명 발생 불가능: 하나님 창조 지질연대표 잘못돼 사라지는 중 과학=진리 아님 성도들에 알려야 성산생명윤리연구소(소장 홍순철)는 지난 4월 12일 오후 ‘기독…

모세 파라오 바로 십계

성경 속 ‘빌런’, 나에겐 걸림돌 아닌 디딤돌 될 수 있다

성경 속 빌런, 구분하기 쉬워 비판적으로 성경 읽고 생각을 빌런 생각 지점, 일상에서 찾기 실수 유형 찾아내 해결책 적기 “악이란 시스템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철학자 한나 아렌트의 정의이다. 그가 나치 친위대 중령 아돌프 아이히만의 재…

영화 예수

영화 ‘예수’, 2,200번째 언어로 번역·상영돼… 세계 최다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 위치한 크루(Cru) 소속 사역 단체인 ‘예수 영화 프로젝트’(Jesus Film Project)가 영화 ‘예수’를 2,200번째 언어로 상영하는 이정표를 세웠다. 최신 버전은 서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에서 사용되는 쿨랑고어의 방언인 부나(Bouna)어로 번역됐다.…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