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나?(15)

기독교인들이 가장 크게 관심을 갖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지구의 생명이 신의 창조에 의하여 발생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무신진화론에 대한 대응 방법이다. 무신진화론은 특히 기독교를 겨냥하여 유물론과 진화론이 결합한 것이다. 근대과학이 무신진화론으로 기울어진 것은 어쩌면 기독교에 책임이 전혀 없다고 말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근대과학은 대부분 기독교인 과학…

최신기사

  • 크리스천투데이 DB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나?(14)

    물리적 측면에서 보면 의식은 뇌 안의 뉴런과 뉴런 사이에 벌어지는 전기적 신호의 전달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뉴런의 전기적 신호는 그 이전에 시냅스 소포체에서 신경전달물질의 화학적 산물이다. 이와 같이 의식의 물질…

  • 크리스천투데이 DB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나?(13)

    영국의 진화생물학자 줄리언 헉슬리(Julian Huxley)는 찰스 다윈의 '불독'이라고도 불렸던 진화론자 토마스 헉슬리(Thomas H. Huxley)의 손자이다. 줄리언 헉슬리는 1957년에 Religion without Revelation(계시 없는 종교)를 출판하고, 휴머니즘(hum…

  • 크리스천투데이 DB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나?(12)

    프랑스의 근대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Cogito, ergo Sum)는 유명한 명제를 남겼다. 생각하는 것은 뇌의 정신활동이다. 정신활동은 생명에 필요한 정보를 만들고 활용하는 것이다. 고대…

  • 크리스천투데이 DB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나?(11)

    현대과학은 컴퓨터 기술을 바탕으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발전시키고 있다. AI는 인간의 지능이나 컴퓨터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복잡한 자료들을 처리할 수 있다. AI는 개념적으로 약인공지능(Weak AI)과 강인공지능(Str…

  • 크리스천투데이 DB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나?(10)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나?(10) 허정윤 박사의 새 창조론 쓰기 6. 생명에 대한 인간의 도전과 한계(2) 현대 생명과학(life science, biological science)자들은 생명의 기원을 물리적 측면에서 연구하고 있다. 그 방…

  • 크리스천투데이 DB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나?(9)

    그동안 인공적으로 살아있는 원핵세포를 만들어 생명의 물질적 기원설을 입증할 수 있다고 장담했던 무신진화론자들은 모두 실패했다. 진화론에 의하면 인간은 원핵생물에서 아무런 목적 없이 '저절로 우연히' 수없이 많은 단…

  • 크리스천투데이 DB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나?(8)

    오파린이 『생명의 기원』(1936)에서 생명은 물질의 화학작용에 의해서 '저절로 우연히' 발생한 것이라고 주장함으로써 무신진화론을 완성했다. 이에 대해 어윈 슈뢰딩거(Erwin Schrödinger)는 1943년 더블린 트리니티대학 강연에서 '…

  • 크리스천투데이 DB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나?(7)

    1859년 『종의 기원』을 발표한 찰스 다윈은 진화의 원인이 자연선택에 의한 후천형질의 유전에 있다고 주장했다. 『종의 기원』 초판을 읽은 유물론자 엥겔스는 동료 마르크스에게도 즉시 읽어보라고 권유했다. 마르크스는 그 …

  • 크리스천투데이 DB

    기독교 창조론의 개혁 방안(5)

    돌이켜 보면 1517년부터 시작된 종교개혁 운동의 실상은 로마가톨릭 교황이 가진 성경해석의 독점권을 무너뜨리는 것이었다. 뒤이은 과학혁명의 불길은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가 로마가톨릭교회의 탄압을 피하려고 그의 …

  • 크리스천투데이 DB

    기독교 창조론의 개혁 방안(4)

    허정윤 박사의 새 창조론 쓰기 Ⅴ. 넷째 날의 ‘라키아’(궁창)와 광명들(2) 2. 넷째 날 창조의 문자적 해석의 문제점 모세의 창세기 1:15절 וְהָיוּ לִמְאֹורֹת בִּרְקִיעַ הַשָּׁמַיִם לְהָאִיר עַל־הָ…

  • 크리스천투데이 DB

    기독교 창조론의 개혁 방안(3)

    그렇다면 '라키아'는 무엇을 말하는가? 물과 물을 나눈 '라키아'의 어원은 '두드려 펴서 얇게 늘린 판'이라는 의미의 명사이다. 그러므로 '라키아'는 결국 실체적으로 '얇은 막 또는 판'이라고 이해된다. ''마브딜'이라는 말은 히…

  • 크리스천투데이 DB

    기독교 창조론의 개혁 방안(2)

    창조자 하나님은 이 구절에서 빛을 '욤'으로 불러 낮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썼다. 이어서 '욤'은 밤을 포함하여 한 '날'을 의미하는 말로도 사용되었다. 창세기 뒤에 이어지는 성경들에는 '욤'이 불특정한 시간(예를 들면, 어떤 사…

  • 크리스천투데이 DB

    기독교 창조론의 개혁 방안(1)

    Ⅰ. 서론 오늘날 기독교가 당면한 심각한 문제의 하나는 창세기를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 창조론이 현대인들로부터 배척당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문제를 놓고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도 갈등하고, 논쟁하고, 심지어는 교…

  • pixabay.com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을까?(6)

    기독교인들이 가장 크게 관심을 갖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지구의 생명이 신의 창조에 의하여 발생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무신진화론에 대한 대응 방법이다. 무신진화론은 특히 기독교를 겨냥하여 유물론과 진화론이 결합…

에디터 추천기사

2024 부활절 연합예배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 4월 20일 오후 4시

예장 통합 총회장 사회, 예장 합동 총회장 설교, 대회장에 이영훈 목사 김정석 감독회장 인사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가 한국 기독교 선…

이세종 심방

“심방, 가정과 교회 잇는 가장 따뜻한 통로입니다”

“2023년 12월, 울산교회 고등부 사역을 마무리하던 즈음 출판사에서 연락을 주셨고, 심방이 다음 세대 부흥에 어떤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글로 남겨…

기독교한림원

선교 140주년, 한국교회의 진정한 역사와 역할은

한국교회 선교 역사, 140주년 이상 토마스, 칼 귀츨라프 선교사 기억을 암울한 시기 여명의 빛으로 떠올라 새로운 삶의 의미와 희망 가져다줘 근대 …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대회

선교 140주년, 장로교·감리교 함께 예배… “복음과 연합 회복할 때”

한국선교 140주년을 맞아 장로교(예장 합동·통합)와 감리교(기독교대한감리회)가 공동으로 기념예배를 드리며 선교 정신 회복을 다짐했다. 3일 오후 1…

AI 실직

AI로 인한 ‘실직’, 교회도 함께 짊어져야 할 십자가

‘일’ 의미 성경적으로 되새겨야 하나님께서 인간에 주신 사명 직장, 단순히 돈 버는 곳 아닌 우리 삶의 예배 드려지는 자리 AI로 일 잃은 이들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