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정일웅

    [정일웅 칼럼] 형제연합교회의 유산과 오늘(下·완결)

    정일웅 ▲정일웅 박사 1735년 다비드 니취만이 그의 형제와 가족으로 구성된 선교단체를 이끌고 북미지역으로 항해할 때, 후에 감리교회의 창설자인 요한 웨슬레이(John Wesley)가 그 배에 함께 타고 있었으며, 그들 모라비아형제…

  • 정일웅

    [정일웅 칼럼] 형제연합교회의 유산과 오늘(上)

    6. 코메니우스 이후의 형제연합교회의 유산과 오늘 코메니우스가 죽고 난 이후, 유감스럽게도 형제연합교회의 감독직은 그 누구에게도 계승되지 못했다. 실제로 형제연합교회는 유럽전역으로 흩어진 주님의 백성으로 디아스…

  • 정일웅

    [정일웅 칼럼] 코메니우스의 사역과 활동(下)

    실로 코메니우스가 학교의 개혁에 관한 개별적인 관심과 그의 범지혜의 사상을 표현하였던 그의 '범지학의 서설"(Prodromus Pansophiae)이란 책이 영국에서 출판되면서 유럽전역에서 그는 교육학자로 명성을 얻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 정일웅

    [정일웅 칼럼] 코메니우스의 사역과 활동(上)

    2) 코메니우스의 사역과 활동 1614년 하이델베르그 대학에서 신학공부를 끝마친 코메니우스는 먼저 고향 모교인 '프레로브(Prerov)'로 돌아와 라틴어교사로 활동하게 된다. 그리고 1616년 풀넥(Fulnek)으로 가서 역시 형제연합교회…

  • 정일웅

    [정일웅 칼럼] 코메니우스의 출생과 성장 과정

    5.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1592~1670)의 생애와 사상 종교의 자유를 보장받지 못해 가톨릭으로부터 종교박해를 받고, 마침내 고국을 떠나 타국에서 떠돌며 외롭게 살아야 했던 많은 보헤미아-모라비아 형제연합교회의 형제들 …

  • 정일웅

    [정일웅 칼럼] 반종교개혁 세력과의 투쟁

    4. 보헤미아(체코)의 프로테스탄트와 반종교개혁 세력 간의 투쟁 관계 16세기 말과 17세기 초엽에 보헤미아(체코)지역에 3개의 프로테스탄트 교회가 존재하고 있었다. 첫째는 후스파의 양 영성체교회(Utraquisten)이며, 둘째는 보…

  • 정일웅

    [정일웅 칼럼] 보헤미아 형제연합교회의 신학

    3. 보헤미아 형제연합교회의 신학 형제연합교회의 신학의 독특성은 평신도의 신앙적인 요소가 먼저 작용되었다는 점이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교회구성원전체가 낮은 사회적 계층으로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즉 "하나님은…

  • 정일웅

    [정일웅 칼럼] 형제연합교회와 종교개혁자들과의 관계

    2) 형제연합교회와 종교개혁자들과의 관계 1517년 루터는 독일의 비텐베르그(Wittenberg)에서 종교개혁을 일으키게 되었고, 1519년에 이르러 먼저 보헤미아의 종교개혁자인 얀 후스의 가르침을 복음적인 것으로 인정하게 된다. 그…

  • 정일웅

    [정일웅 칼럼] 보헤미아 형제연합교회의 발전 과정

    2.보헤미아 형제연합교회의 역사 1) 교회설립과 발전 과정 후스의 교회개혁정신은 보헤미아 형제연합교회(Unitas fratrum)를 통해서 이어지게 되었는데, '형제연합교회'란 이름그대로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사람들은 형제자매…

  • 정일웅

    [정일웅 칼럼] 코메니우스의 교육과 신학의 역사적 배경

    서언 코메니우스의 교육과 신학사상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속하여 있던 보헤미아 형제연합교회의 관계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코메니우스는 초기에 발표한 교육적인 책과 문서들을 통하여 그 당시 유럽…

  • 정일웅

    [정일웅 칼럼] 코메니우스와 현대 목회

    4) 평생 교육적이며, 전인교육적인 현대 목회의 새로운 시사점 코메니우스의 '범지혜의 교육론'은 그 당시 기독교 환경에서 제시된 기독교적이며, 성경적인 시각의 '인간교육론'이었기 때문에, 오늘날 한국 상황에서 경험되는…

  • 정일웅

    [정일웅 칼럼] 코메니우스와 형제연합교회의 3가지 정신

    3) 형제연합교회의 목회철학의 정신이 시사(示唆)하는 점 코메니우스는 1648년 베스트팔리아 평화조약이 체결된 후, 30년 종교전쟁은 끝났지만, 유감스럽게도 그렇게 원하고 기다리던 보헤미아형제연합교회의 종교자유는 보장…

  • 정일웅

    [정일웅 칼럼] 코메니우스와 현대 자연과학

    17세기 데까르트(R.Descartes)의 이성중심의 인식론과 베이컨(F.Bacon)에 의한 자연과학의 탐구방식이 현대의 자연과학의 탐구자들이 사용하는 주된 방식이 되었다. 그리고 현대는 역시 베이컨의 꿈이었던 '아는 것이 힘이다'(Wissen ist…

  • 정일웅

    [정일웅 칼럼] 코메니우스와 인간성교육의 위기

    3. 코메니우스의 교육신학사상의 현대적인 의미는 무엇인가? 필자는 5가지 관점에서 시사점을 상세히 소개하기로 한다. 특히 인간성교육의 위기, 현대 자연과학의 연구방법의 문제, 형제연합교회의 목회철학의 사사점, 현…

  • 정일웅

    [정일웅 칼럼] 오늘날 교육 문제 예언한 코메니우스

    2. 17세기 구라파의 상황과 현 21세기 시대적 상황과의 유사성? 코메니우스의 시대적 상황(17세기)과 오늘 현 21세기의 시대적 상황은 400년 이상의 시간적인 간격과 차이에도 불구하고, 서로 깊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

기아대책

희망친구 기아대책, 선교사 자녀 지원 위한 ‘Re: 미션 캠페인’

국내 정착 선교사 자녀들 원활한 한국 생활 적응 통합 프로그램 지원 긴급 생계비, 셰어하우스 운영 및 심리·정서 상담 연계, 소그룹 모임 국내 최…

한기총

산불 피해 교회·주민들 위한 마음 이어가는 한기총

한국기독교총연합회(대표회장 고경환 목사, 이하 한기총)는 4월 28일(월) 오전 서울 종로구 한기총 세미나실에서 지역 기독교연합회 대표 목회자들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