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정일웅

    [정일웅 칼럼] 코메니우스는 또한 철학자였다

    3) 코메니우스는 또한 철학자였다. 코메니우스는 기독교 철학자였다. 이러한 모습은 벌써 1642년 화란의 라이덴에서 그의 친구들(Hartlieb und Durry)의 주선으로 근세철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데까르트를 만나 그와 대화한 사건에…

  • 정일웅

    [정일웅 칼럼] 코메니우스의 ‘범지혜’ 교육론

    (3) 모든 것을 포괄하는 방법으로 가르치는 교육이었다. 모든 것을 포괄하는 방법으로 가르친다는 것은 '철저하게' 사물의 근원에로 나아가며, 존재하는 것의 본성을 지향하는 것으로, 그 본성의 파악은 존재하는 것의 특성을 …

  • 정일웅

    [정일웅 칼럼] 코메니우스 ‘범교육학’의 특이점

    그러면 코메니우스가 그의 범교육학(Pampaedia)을 통하여 제시해 준 교육의 특이점들은 어떤 것인가를 소개해 보기로 한다. (1) 모든 사람들을 가르치려는 교육이었다 코메니우스의 교육계획은 '인간적인 일들의 관계의 개…

  • 정일웅

    [정일웅 칼럼] 교육학자로서의 코메니우스

    2) 교육학자로서의 코메니우스 우리는 독일의 교육철학자 빌헬름 딜타이(Wilhelm Dilthey, 1833-1911)가 '코메니우스는 교육학에 있어서 유럽이 낳은 가장 위대한 거장이라'고 평가한 말을 기억한다. 일반교육학에서의 역사는 역시 …

  • 정일웅

    [정일웅 칼럼] 코메니우스와 유럽경건운동

    (7) 복음 선교와 다른 종교들과의 대화 코메니우스의 모든 사람들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려는 범지혜의 교육은 기독교 복음의 선교적인 의도를 전제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교육의 관점은 두 가지 맥락에서 선교를 짐작하게 …

  • 정일웅

    [정일웅 칼럼] 코메니우스의 교회론

    (6) 코메니우스의 교회론과 교회연합에 대한 이해 먼저 코메니우스의 교회관은 그가 붸스트팔리아 평화조약이 체결된 후, 2년이 지나서 발표한 '형제연합교회의 죽어가는 어머니의 유산'(Vermaechtnis)이란 위로의 글에 잘 나타…

  • 정일웅

    [정일웅 칼럼] 코메니우스의 역사관과 종말론

    (4)코메니우스의 역사관 코메니우스의 역사관은 17세기에도 지속되는 하나님의 구원역사로 인지하였다. 그리고 하나님은 창조의 초두에 인간의 타락으로 구원역사를 시작한다. 그리고 인간의 타락은 구원의 역사를 비구원…

  • 정일웅

    [정일웅 칼럼] 코메니우스의 기독론과 구원론

    (3)코메니우스의 기독론과 구원론 코메니우스의 기독론은 하나님의 원 형상이신 그리스도에게 그 중심을 두고 있다. 그리스도는 우리 안에서 더럽혀진 하나님의 형상을 재생산하기 위하여 하늘로부터 보냄을 받았으며, 하…

  • 정일웅

    [정일웅 칼럼] 코메니우스의 성경관과 신관

    그러면 코메니우스의 신학은 구체적으로 어떠한가? 물론 코메니우스는 신학적인 주제들에 따라 자신의 입장을 체계적으로 밝혀놓은 현대 조직신학과 같은 그러한 내용은 없다. 다만 그의 모든 글들에서 다음의 몇 가지 신학적 …

  • 정일웅

    [정일웅 칼럼] 코메니우스는 누구인가? -교육자이자 신학자, 철학자, 교회 정치가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J.A.Comenius, 1592~1670)는 17세기 유럽에서 활동했던 교육신학자다. 그는 당시 보헤미아-모라비아(오늘의 체코) 출신이지만, 로마가톨릭의 종교 박해로 인하여 조국을 떠나 폴란드(리사), 영국(런던), 스웨덴(…

  • [정일웅 칼럼] 나치 히틀러가 독일교회에 미친 영향

    종교개혁 이래로 독일의 개신교회는 지역과 신앙고백의 차이에 따라 수없는 교파의 분열을 경험했다. 그리고 이러한 분쟁과 분파는 1803년 나폴레옹의 침공으로 독일제국이 무너지고 제국의 대리통치체제가 결성되기까지 계속…

  • [정일웅 칼럼] 독일교회의 역사와 전통

    Ⅱ. 독일교회의 연합과 일치의 역사 1. 독일교회의 역사와 전통 독일 개신교의 역사는 마틴 루터에 의한 종교개혁에서 시작된다(1517년). 종교개혁의 무리는 프로테스탄트(Protestant)로 명명됐고 루터가 종교개혁의 횃불을 높…

  • [정일웅 칼럼] 장로교회, ‘대한예수교장로회’로 하나돼야

    3. 교회의 연합과 일치의 실천적 의의와 과제 1) 복음선교 과제 그리스도의 교회에 주어진 주된 과제는 그리스도의 복음을 증거하는 일이다. 이것은 그리스도인 된 모든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주어진 사명이기도 하다(벧전 2:…

  • [정일웅 칼럼] WCC의 견제세력, 로잔대회의 태동

    8) 세계복음주의 교회의 연합운동 WCC의 신학적 방향의 정체성에 대한 물음이 복음적 시각을 가진 교회들로부터 제기되면서 서구의 복음주의적 입장을 취하는 교회의 지도자들에 의해 세계교회의 연합과 일치의 새로운 운동…

  • [정일웅 칼럼] WCC 출발의 역사적 배경과 신학의 문제점

    6) 코메니우스의 교회연합과 일치의 정신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는 17세기의 보헤미아(지금의 체코) 사람이다. 그는 보헤미아-모라비아 형제단 교회의 3번째 감독이자 마지막 감독이었다. 그는 30년 종교전쟁을 통해 프로테스…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

기아대책

희망친구 기아대책, 선교사 자녀 지원 위한 ‘Re: 미션 캠페인’

국내 정착 선교사 자녀들 원활한 한국 생활 적응 통합 프로그램 지원 긴급 생계비, 셰어하우스 운영 및 심리·정서 상담 연계, 소그룹 모임 국내 최…

한기총

산불 피해 교회·주민들 위한 마음 이어가는 한기총

한국기독교총연합회(대표회장 고경환 목사, 이하 한기총)는 4월 28일(월) 오전 서울 종로구 한기총 세미나실에서 지역 기독교연합회 대표 목회자들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