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이명진 원장(200)

    [이명진 칼럼] 생명윤리를 무너뜨린 미국의 신학 사조

    청교도 정신(Puritanism)과 신앙의 전수 청교도들은 1620년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신앙의 자유를 찾아 신대륙에 도착한다. 종교적 박해를 피해 이주한 청교도들은 종교 자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성경을 신앙과 생활의 유일한 기준…

  • 이명진 원장(200)

    [이명진 칼럼] 더 이상 기독교 국가가 아닌 영국

    더 이상 기독교 국가가 아닌 영국 1866년 여름 대동강에 배 한 척이 화염에 싸여 있었다. 제너럴 셔먼호다. 배를 벗어난 한 청년이 조선인들에게 한 권의 책을 건네주고 죽음을 맞이한다. 영국 런던 선교회 소속 29세의 토마스 선…

  • 이명진 원장(200)

    [이명진 칼럼] 생명윤리 무너뜨린 독일 신학사조

    세속화된 신학과 독일의 인종 학살 고대부터 생명 존중 문화가 있어 왔지만, 생명윤리에 대한 전 인류적인 공감대를 형성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다. 뉘렌베르그 전범재판을 통해 독일의 인체실험과 아우스비츠의 대량학…

  • 이명진 원장(200)

    [이명진 칼럼] 선택할 수 있는 피임법과 하지 말아야 할 피임법

    피임이 필요한 상황들 육체적으로나 환경적으로 허락만 된다면 생육하고 번성하라는 문화명령에 따라 많은 자녀를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이다. 하지만 모든 육체가 많은 출산과 양육을 감당하기에 합당한 조건을 가진 것…

  • 이명진 원장(200)

    [이명진 칼럼] 결혼과 가정: 성관계에 관한 4가지 질서

    결혼의 목적은하나님이 인간들에게 목적을 두고 주신 선물의 하나가 결혼제도다. 결혼제도를 주신 첫째 목적은 인간에게 가정을 이루어 주시기 위함이다. 아담이 독처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시고 하와를 배필로 만들어 최초…

  • 이명진 원장(200)

    [이명진 칼럼] 낙태옹호 주장, 어떻게 설득하고 대응할까? (5)

    (1) 생명, 인간, 인격에 대한 논쟁 (2) 권리와 공정성에 관련된 논쟁 (3) 낙태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사회 문제들에 관련된 논쟁 (4) 건강과 안전에 관련된 논쟁 (5) 결정하기 어려운 복잡한 문제들에 관련된 논쟁 (6) 프로라…

  • 이명진 원장(200)

    [이명진 칼럼] 낙태옹호 주장, 어떻게 설득하고 대응할까? (4)

    (1) 생명, 인간, 인격에 대한 논쟁 (2) 권리와 공정성에 관련된 논쟁 (3) 낙태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사회 문제들에 관련된 논쟁 (4) 건강과 안전에 관련된 논쟁 (5) 결정하기 어려운 복잡한 문제들에 관련된 논쟁 (6) 프로라…

  • 이명진 원장(200)

    [이명진 칼럼] 낙태옹호 주장, 어떻게 설득하고 대응할까? (3)

    (1) 생명, 인간, 인격에 대한 논쟁 (2) 권리와 공정성에 관련된 논쟁 (3) 낙태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사회 문제들에 관련된 논쟁 (4) 건강과 안전에 관련된 논쟁 (5) 결정하기 어려운 복잡한 문제들에 관련된 논쟁 (6) 프로라…

  • 이명진 원장(200)

    [이명진 칼럼] 낙태옹호 주장, 어떻게 설득하고 대응할까? (2)

    (1) 생명, 인간, 인격에 대한 논쟁 (2) 권리와 공정성에 관련된 논쟁 (3) 낙태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사회 문제들에 관련된 논쟁 (4) 건강과 안전에 관련된 논쟁 (5) 결정하기 어려운 복잡한 문제들에 관련된 논쟁 (6) 프로라…

  • 이명진 원장(200)

    [이명진 칼럼] 낙태 옹호 주장, 어떻게 설득하고 대응할까? (1)

    낙태를 옹호하는 진영(프로초이스)은 다양하고 그럴듯한 논리를 펼치면서 낙태의 정당성을 주장한다. 이들의 주장에 대해 크리스천은 성경에서 알려주는 근거들을 바탕으로 논리적이고 합당한 대답을 해야 할 상황이 있다. …

  • 이명진 원장(200)

    [이명진 칼럼] 사랑 안에서 진리를 말하는 지혜

    지혜로운 자의 마음은 그의 입을 슬기롭게 하고 또 그의 입술에 지식을 더하느니라 (잠16:23) 프로초이스(낙태찬성측)는 낙태를 인간의 권리라고 주장한다. 반면 프로라이프(낙태반대, 생명존중측)는 인간에게는 인간을 죽일 …

  • 이명진 원장(200)

    [이명진 칼럼] 2024년 이후 생명 운동

    프란시스 쉐퍼(Francis A. Schaeffer)는 일찍이 생명윤리 타락 현상을 예측했다. 그는 인간을 물질로 보는 세속적 세계관을 받아들이게 될 때 나타날 미끄러운 경사길 현상을 경고했다. 처음에는 여성의 권리를 주장하며 피임과 낙태…

  • 이명진 원장(200)

    [이명진 칼럼] 인간에게 인간을 죽이는 것은 권리가 될 수 없다

    인간이 인간을 죽일 권리가 없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하고 받아들인다. 인간을 죽일 권리를 인정하는 판결이 수많은 생명을 죽음으로 몰고 갔다. 영국은 1968년에 임신 24까지 낙태를 허용하고 천만 명의 생명이 낙태로 죽었고, 미…

  • 이명진 원장(200)

    [이명진 칼럼] 생명존중(낙태반대) 3대 원칙

    히포크라테스 선서는 생명을 살리고 존중해야 한다는 개혁 선언이다. 고대 히포크라테스 학파 의사들은 낙태와 당시 의사들의 비윤리적인 행위에 항거했다. 생명을 존중하고 생명을 살리려는 의사들의 정신은 수 세기를 거쳐 …

  • 이명진 원장(200)

    [이명진 칼럼] 실제적인 낙태 쟁점들과 해결 방안

    인간의 탄생과 죽음의 모든 과정에는 고통의 문제가 동반된다. 낙태를 선택하려는 사람들이 호소하는 것이 고통의 문제다. 고통에 대한 바른 시각은 인간이 어떤 선택을 하는 것이 옳은지 길을 알려 준다. 모든 인간은 고통을 …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

기아대책

희망친구 기아대책, 선교사 자녀 지원 위한 ‘Re: 미션 캠페인’

국내 정착 선교사 자녀들 원활한 한국 생활 적응 통합 프로그램 지원 긴급 생계비, 셰어하우스 운영 및 심리·정서 상담 연계, 소그룹 모임 국내 최…

한기총

산불 피해 교회·주민들 위한 마음 이어가는 한기총

한국기독교총연합회(대표회장 고경환 목사, 이하 한기총)는 4월 28일(월) 오전 서울 종로구 한기총 세미나실에서 지역 기독교연합회 대표 목회자들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