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

    [크리스천이 보는 성혁명사 26] 쾌락원칙과 현실원칙

    프로이트 정신분석은 우리의 현재 최대 관심사인 성혁명-프리섹스 운동의 핑계의 하나가 되어 왔다. 때문에 가능한 사실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우선 말하고 싶은 것은 프로이트 정통 정신분석 또는 전통적 정신분석은 성해방을…

  • pixabay

    [크리스천이 보는 성혁명사 25] 히스테리

    히스테리(Hysteria)는 통제가 안 되는 일시적인 감정과잉 상태를 지칭하는 일상적 용어로서, 경멸적 의미가 있다. 이 명칭은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하나의 병명으로 나타나 중세에서 근대를 거쳐 현대까지 사용되고 있다. 그 증…

  • 데카당스(Décadence)

    [크리스천이 보는 성혁명사 24] 19세기 말의 데까당스

    데카당스(Décadence)는 운동은 19세기 말(fin de siècle)에 프랑스에서 등장하여 서유럽과 미국으로 퍼진 예술 및 문학 운동이다. 당시 비판가들이 데카당스 예술가(The Decadent 데카당트)들에 대해, 과도하게 정교하다, 병적이다, 퇴폐…

  • 피에르빅토르 갈랑 작. 막심의 술집.

    [크리스천이 보는 성혁명사 23] 벨 에포크의 타락한 성문화

    풍요한 사회는 흔히 성적 타락을 동반하는 것 같다. 그 예로서 19세기 영국의 빅토리아시대의 위선이 있었다면, 프랑스와 유럽대륙에는 벨 에포크(La Belle Époque)라고 부르는 풍요와 타락의 시대가 있었다. 벨 에포크는 “아름다…

  • 1777년 파리 퐁뇌프 다리를 그린 나콜라 장바티스트 라그네의 작품 <파리, 퐁뇌프와 사마리텐>

    [크리스천이 보는 성혁명사 22] 18세기 프랑스의 도덕적 위생 운동

    21세기 한국이나 전 세계적인 성혁명적 프리섹스 현상을 바라볼 때 의사로서 그리고 크리스천으로서 우려를 금할 수 없다. 그런데 비슷한 상황이 18-19세기 프랑스에서 벌어졌었는데, 당시 의사들이 그런 사회적 퇴행에 대해 “…

  • 빅토리아시대

    [크리스천이 보는 성혁명사 21] 19세기 빅토리아시대의 위선

    19세기 영국 빅토리아 시대(Victorian Era)는 영국 역사에서 산업 혁명의 경제 발전이 성숙기에 도달하여 대영 제국의 절정기로 간주된다. 이 시대는 높은 도덕적 기준에 대한 강한 열망이 전체 사회를 지배하였다. 그 일반적 가치관…

  • 사랑, 부부, 가족, 연인

    [소중한 성 거룩한 성] 죽음의 성(性) vs 생명의 성(性)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하나님이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시니라(창1:28)” 하나님께서는 남자와 …

  • 민성길 한국성과학연구협회 회장(연세의대 명예교수)

    [크리스천이 보는 성혁명사 20] 진화론과 섹슈얼리티

    18세기에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인간의 기원“에 대한 연구들은 근대 과학과 정치이론가들에게 압도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드디어 19세기에 이르러 다윈(Charles Robert Darwin, 1809~1882), 월레스(Alfred Russel Wallace 1823~1913) …

  • 민성길 한국성과학연구협회 회장(연세의대 명예교수)

    [크리스천이 보는 성혁명사 19] 낭만주의와 성문화

    낭만주의(Romanticism)는 유럽에 18세기 말에 계몽주의에 뒤따라 나타나 19세기 말(1890)년까지 왕성하였던 예술적, 문학적 음악적 및 지적 운동이다. 낭만주의가 나타난 배경은, ① 계몽사상의 합리주의와 고전주의와 귀족적 사회적 …

  • 들라크루아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크리스천이 보는 성혁명사 18] 프랑스혁명과 성문화

    17-18세기에 발달하였던 자유(방탕)사상(Libertinism)이나 계몽주의는 도시적 사회문화, 성(섹스)에 대한 이해, 성적 자유, 등등에서 핵심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었다. 즉 현대인이 현재 구가하는 성적 자유, 자율성, 사생활보호 등은, …

  • 민성길 한국성과학연구협회 회장(연세의대 명예교수)

    [크리스천이 보는 성혁명사 17] 바로크와 로코코 문화

    르네상스 이후 인본주의는 모습을 달리하며 지속적으로 성적 자유를 기리고 찬양하여 왔다. 역사적으로 성혁명적 사건은 대개 작가나 예술가 같은 엘리트 집단에 의해 “문화와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나타났다. 17세기에서 18…

  • 민성길 한국성과학연구협회 회장(연세의대 명예교수)

    [소중한 성 거룩한 성] 젠더 개념 창시자의 이중성과 ‘리머형제’의 비극

    브루스 리머라는 남자아이가 1965년 태어났다. 불행하게도 생후 8개월 때 포경수술 부작용으로 음경에 회복할 수 없는 손상을 입었다. 당시 미국 존스홉킨스대 정신과에서 근무하던 임상심리학자 존 머니(1921~2006) 교수는 리머가 …

  • 민성길 한국성과학연구협회 회장(연세의대 명예교수)

    [크리스천이 보는 성혁명사 16] 계몽시대의 성

    르네상스 휴머니즘에 이어, 17세기에 서구에서는 계몽사상이 나타나 18세기에 지배적이 되었다. 계몽사상가들은 당대의 종교적 신념들에 대해 도전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의 원인은, 제1차 산업혁명과 농업 개선 및 의학…

  • 민성길 한국성과학연구협회 회장(연세의대 명예교수)

    [크리스천이 보는 성혁명사 15] 방탕

    방탕아(libertine)란, 감각을 통해 경험하는 육체적 쾌락에 가치를 두는 사람이다. 사전적 의미는 도덕성, 책임감, 또는 성적 절제가 없는 사람, 불필요하고 바람직하지도 않은 행동을 하는 사람 또는 사회의 다수에 의해 받아들여…

  • 민성길 한국성과학연구협회 회장(연세의대 명예교수)

    [크리스천이 보는 성혁명사 14] 청교도와 경건주의

    15세기 종교개혁 이후 다시 조금씩 세속적 타락이 나타났다. 다시금 전 세계적으로 기독교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신앙개혁적 흐름들이 나타났다. 16세기 영국의 청교도 운동, 17세기 독일의 경건주의 운동, 그리고 18세기 영국 …

에디터 추천기사

바이어하우스학회

“북한 열리면, 거점별 ‘센터 처치’ 30곳부터 세우자”

지하 성도들 단계적 준비시켜 각 지역별 사역 감당하게 해야 과거 조선족 교회 교훈 기억을 자치·자전·자립 네비우스 정책 주신 각 은사와 달란트 …

이세종 심방

“심방, 우리 약점 극복하게 하는 ‘사역의 지름길’”

“열 번의 단체 공지보다 한 번의 개인 카톡이 더 효과적이다. 열 번의 문자보다 한 번의 전화가 더 효과적이다. 열 번의 전화보다 한 번의 심방이 더 …

대한성서공회

지난해 전 세계 74개 언어로 성경 첫 번역돼

성경전서는 총 769개 언어 번역 아직 전체 48% 언어 번역 안 돼 새 번역된 74개 언어 중 16개는 성경전서, 16개 신약, 42개 단편 2024년 말 기준 세계 성서…

조이풀빌리지, (주)투웰브마운틴즈

교회·지자체·기업의 삼겹줄로 지역 소멸 문제 대안 제시

(주)투웰브마운틴즈(대표 김수홍 목사)는 로컬 콘텐츠를 만드는 기업으로 출판문화예술 분야에서 꾸준히 성과를 내고 지역민들을 위해 헌신함으로써 …

 ‘공명선거전국연합’ 전국 대표자 모임

“사전투표 감시 강화”… 공명선거전국연합, 대선 앞두고 본격 시동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6월 3일 조기 대선을 앞두고, 선거의 공정성을 촉구하는 ‘공명선거전국연합’이 본격 출범 준비에 돌입했다. 지난 11일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