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등대 빛 하늘 항로 목표 사명 하늘 목적 소명 비전 방향 길

    모든 사람은 각각 고유한 사명이… 비교 말고 소명 충실하라

    농촌에서 자라난 나는 어릴 때 이삭줍는 경험을 했다. 추수가 끝난 논을 살펴보면 흘려진 벼 이삭들이 있고, 논둑에 있는 쥐구멍 안에는 쥐들이 모아놓은 벼 이삭들이 있었다. 콩밭 귀퉁이에 뽑다 남긴 콩줄기도 있고, 고구마를 …

  • 김형태 총장

    자기 마음 통제할 수 있는 사람, 세상에서 가장 강해

    우리는 육신을 갖고 있기에 음식을 먹고 물을 마시며 적당한 운동을 하고 잠을 자야 한다. 인간 삶의 기본 욕구이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끝나면 동물(짐승)들과 무슨 차이가 나는가? 많은 동물들도 먹이를 구해 먹고 잠을 자며, …

  • 애즈베리 대학교

    기도, 우리 문제를 하나님의 문제로 위임하는 일

    성경을 통해서나 세속 역사를 살펴보면, 위대한 지도자들은 큰 일을 앞두고 반드시 기도를 했다. 기도는 우리의 문제를 하나님의 문제로 위임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① 모세의 기도 모세는 동족의 괴로운 노예생활을 확인…

  • 한산: 용의 출현

    [김형태 칼럼] 충무공 이순신 장군 추모

    2023년 4월 28일은 충무공 탄신(1545년 4월 28일) 478주년이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1545-1598)은 조선 시대 무신(武臣)으로 세종대왕과 함께 조선의 구국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원균 장군이 칠천량 해전에서 대패하자 조정에서는 해…

  • 김형태 총장

    [김형태 칼럼] 시인들이 찬양한 부활

    기독교만이 갖고 있는 예수님의 부활 사건. 실제로 기독교 신앙인들은 예수의 탄생(성탄절)과 죽음을 이기고 다시 사신(부활절)을 2대 절기로 지키고 있다. 사순절(40일+6개 주일)을 보내고, 예수님이 부활하여 우리 인간의 처음 …

  • 양 양떼 형편 목자 목장 성도 신자 청중 설교 순종 염소

    성도들이 할 일 20가지, 안 할 일 20가지

    학생들은 학칙에 따라 해야 할 일(Do)과 해선 안 될 일(Don’t)이 있고, 군인들은 군인 복무 규정에 따라 해도 되는 일과 하면 안되는 일이 있다. 속해 있는 공동체(단체·직장·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세워놓은 규칙(규정·약…

  • 미니언즈 대화 웃음 행복 축복

    아버지와 아들의 허심탄회한 대화 속 교훈

    부자유친(父子有親)은 동양(한국)에서 아버지와 아들 관계를 이름이다. 그런데 옛날 아버지의 인상은 엄한 것이라, 쉽게 접근할 수 없는 두려움이었다. 실제로 ‘엄한 아버지, 자애로운 어머니(嚴父慈母)’란 말이 있을 정도다. …

  • 오징어 게임

    빈부귀천 상관없이, 들으면 신나고 흔들면 즐거운 민속놀이

    미국에 와서 노동하던 아프리카 출신 노예들은 목화밭이나 땅콩 농사의 노동이 고달파 힘든 것보다 북소리가 들리면 고향에 대한 향수병이 돋아나 힘들었다고 한다. 북소리만 들리면 그들은 리듬에 따라 몸을 흔든다. 우리나…

  • pixabay

    우리가 물으며 살아가야 할 3가지 질문

    현대 사회는 끝없이 말(言爭)이 있고 사건사고가 일어난다. TV 방송은 24시간 쉬지 않고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일간신문도 보통 36-40페이지에 경제, 메디컬, 스포츠 등의 섹션 신문이 8페이지 이상 덧붙여 온다. 그래서 때로는 이 …

  • 김형태 총장

    [김형태 칼럼] 새로 보는 <논어>: 위정(爲政) 편

    실제 정치인(정치가)이 아니라도 우리 인간은 정치로부터 초연할 수 없다. 매일 배달되는 신문의 첫 페이지가 정치 이야기로 시작되고, 매 시간 방송되는 TV 채널이 거의 정치 이야기로 채워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을 ‘정치…

  • 마음 사랑 일몰 하트 실루엣 로맨틱 로맨스 love 손하트 러브

    [김형태 칼럼] 마음의 샘터: 사랑의 장

    흔히 유교를 仁(긍휼)의 종교, 불교를 자비(慈悲)의 종교, 기독교를 사랑(아가페)의 종교라 부른다. 그러나 이 세 가지를 함께 묶으면 인애(仁愛)라 할 수 있다. ‘인의(仁義)’나 ‘인자(仁慈)’도 헤세드(측은지심/긍휼)요, 자…

  • 탄일종 크리스마스 종 장식 성탄 종소리

    [김형태 칼럼] 탄일종과 보신각종

    12월이 되면 누구나 한 번쯤, 징글벨 노래를 부르거나 듣는다. ‘사랑의 종소리’는 결혼 축가로 듣는다. 큰 행사 때마다 종소리가 울린다. 구주 예수의 성탄에는 탄일종이 땡땡땡 울리고, 12월 31일 송년 행사엔 보신각종이 울린…

  • 노벨상 2022 nobel prize

    [김형태 칼럼] 폭탄 제조로 노벨상을 만들다

    2022년에도 6개 분야에서 14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었다. 생리의학상 1명, 물리학상 3명, 화학상 3명, 문학상 1명, 평화상 1인 2단체, 경제학상 3명이다. 노벨상은 스웨덴 알프레드 노벨(Alfred Nobel, 1833-1896)이 제정한 상이다. 노…

  • 가을 원두막 풍경 희망 단풍 담양

    [김형태 칼럼] 11월의 시어(詩語)들

    ① “그대의 삶을 살아라/ 젊은이여, 늙은이여/ 저기 저 참나무처럼/ 봄에는 밝고/ 싱그러운 금빛으로// 여름에는 호화로운/빛깔로 그 다음에는/ 가을색으로 물들어/ 다시 한결/ 수수한 금빛으로// 결국 이파리가 다/ 떨어져, 줄기…

  • 루터

    [김형태 칼럼]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1483-1546)가 태어난(1483) 다음 해에 그의 온 가족이 광산 중심지인 만스필드로 이사했다. 아버지 한스 루터는 광부였는데 영주(領主)에게서 빌린 세 개의 용광로로 공장을 운영할 만큼 성공을 거두었다. 1501년 봄 그는…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

기아대책

희망친구 기아대책, 선교사 자녀 지원 위한 ‘Re: 미션 캠페인’

국내 정착 선교사 자녀들 원활한 한국 생활 적응 통합 프로그램 지원 긴급 생계비, 셰어하우스 운영 및 심리·정서 상담 연계, 소그룹 모임 국내 최…

한기총

산불 피해 교회·주민들 위한 마음 이어가는 한기총

한국기독교총연합회(대표회장 고경환 목사, 이하 한기총)는 4월 28일(월) 오전 서울 종로구 한기총 세미나실에서 지역 기독교연합회 대표 목회자들과 …